[태그:] Acetaminophen

  • ICU case study MI(Myocardial Infarction)+ Hyperglycemia A+ 실제 간호사 작성

    목차

    1.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2) 현질병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시오.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결과를 해석하시오.
    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을 파악하시오.
    5) 대상자의 기타 치료 및 간호 (I/O check, special V/S, education, pre,post op care등)
    6) 추가 검사 결과

    2. 간호진단 도출 ( S.O.A.P.I.E )
    1) 심장기능 악화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2)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성

    본문내용

    (1) 교환
    ① 의식수준
     alert □ drowsy □ stupor □ semicoma □ coma

    ② 활력증후
    체온 36.4 ℃ 측정부위 고막
    호흡 20 회/분 호흡을 위한 보조기구: □무  유 Nasal cannula
    맥박 99 회/분 측정부위 인공심장박동기 착용여부  아니오 ☐ 예
    혈압 120/66 mmHg

    ③ 영양
    건강식품의 섭취  안한다 ☐ 한다
    식욕상태 ☐ 왕성 ☐ 보통 ☐ 식욕부진
    식사종류  일반식 ☐ 금식 ☐ 특별식이
    음식물섭취 경로  구강 ☐ 위관 ☐ 위루

    ④ 배설
    배변 빈도 3 회/일
    양상:  정상 ☐ 기타
    경로:  정상 ☐ 기타경로
    배뇨 빈도 3 회/일
    양상:  정상 ☐ 빈뇨 ☐ 배뇨지연 ☐ 긴박뇨
    경로:  정상 ☐ 유치도뇨 ☐ 방광루 ☐ 기타

    ⑤ 피부
    피부손상  무 ☐ 유
    손상부위
    손상종류 ☐ 찰과상 ☐ 발진 ☐ 욕창 ☐ 화상 ☐ 기타
    탄력성 ☐ 양호 ☐ 보통 ☐ 불량
    부 종  무 ☐ 유 부위
    (2) 의사소통
    언어장애  무 ☐ 유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급성심근경색증(문헌고찰+간호과정3개)

    목차

    1. 사례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ardial infarction; AMI)
    1) 정의: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혈전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발생하는 ST분절 상승 심근경색과 관상동맥의 부분 폐색 등으로 발생하는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한다. 급성 심근경색은 심근손상의 크기와 정도에 따라 심장의 펌프능력에 영향을 주어 심인성 쇼크와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신속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2) 원인: 주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손상,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도 발생된다.
    3) 병태생리: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히면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는 폐색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다르며 첫 12시간까지는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인다.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부위를 식별할 수 있고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로 변한다.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은 심근허혈의 정도에 따라 외층의 허혈층과 중간층의 심근 손상, 완전히 혈류가 차단된 중앙부위 괴사층을 볼 수 있다.
    (1) 2~4일이 경과되면 괴사부위가 명확해지고 4~7일이면 중앙부는 유연해져서 이때에 출혈과 심근의 파열이 올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급성심근경색(AMI) CASESTUDY- 간호과정 2개, 간호진단 10개(급성통증, 비효율적조직관류, 출혈위험성,감염위험성, 비효과적 호흡양상, 불안, 낙상위험성, 활동지속성장애, 피부통합성장애의위험, 지식부족)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6. 결론
    7. Reference

    본문내용

    김00씨는 69세의 남환으로 저녁 식사 도중 발생한 한 시간 가량의 앞가슴이 터질듯한 통증과 금일 기상 이후 가슴이 먹먹한 느낌이 들어 응급실에 내원했다. Acute myocaridal infarction(NSTEMI) 진단하에 집중치료위해 CCU로 입실하였다. 의식은 명료했고, 몹시 아파보이는 외관을 보였다 과거력으로 2012년 STEMI 진단 및 PCI 시술을 하였고, 2013년과 2022년 CAG f/u을 했다. 키 167cm 몸무게 70kg이고 알레르기•가족력은 없다. 당뇨는 있으며 과거 30년동안 1갑 반/일의 흡연력과 한 병/주의 음주력을 가지고 있다. 최근 투약으로는 동맥경화용제, 고혈압약물, 고지혈증 치료제, 혈관확장제를 외래 통해 투약했다.

    입원일(사정 1일)인 12월 26일 16시 V/S은 T/P/R = 36.4도/87회/분/19회/분, BP = 126/82mmHg, SpO2 : 99%이었다. 주증상은 흉통이고 “자고 나서도 앞가슴이 먹먹한 느낌이 지속되었어요.”라고 말하며 NRS 척도 4점이었다. heparin 2만 unit + 50W 500ml : 20ml/hr로 주입중이며 출혈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왼쪽 동맥관 삽입하였고 감염 증상 사정하였다. EKG 결과 NSTEMI를 보였고 LAB DATA 심장 표지자 검사에서 CK-MB 24.64 Troponin-T 0.357 Pro-BNP 384.7 D-dimber1.529 FDP test2.91 LDH266 AST50 pH7.344 PCO255.0 PO214.5가 관찰되었다.

    사정 2일인 12월 27일 V/S은 T/P/R = 36.2도/71회/분/19회/분, BP = 132/76mmHg, SpO2 : 99%이었다. 동맥관 주변 감염증상 관찰되지 않았고 EKG 상 T wave의 역전이 있는 정상 리듬이 관찰되었다. apTT 54.0으로 관찰되어 heparin 2만 unit + 50W 500ml : 24ml/hr로 증량했다. 오른쪽 팔의 미세한 부종 및 호흡수 29회, 25회 관찰되었다. 처방난 산소를 비강 캐뉼라를 통해 6L/min 투여하였다. Hct40.8 Monocyte %9.70 Procalcitonin 0.17 PDW11.4 aPTT54.5가 관찰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교통사고 TA환자 3개 간호진단

    목차

    없음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5/15 “아파..”
    5/24 “ 배랑 목이 너무 아파요”
    객관적 자료
    -5/15 조수석 TA 환자임
    -5/22 NRS 5점 측정됨
    -진단명:Multiple rip FX
    -가만히 누워 있을 때도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이 관찰됨
    -얼굴을 찡그리는 모습이 관찰됨
    간호진단
    5/15 뼈 연속성 소실과 관련된 급성통증

    <중 략>

    -NRS 점수를 통해 통증의 정도를 객관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통증의 부위와 양상에 따라 간호 중재가 달라지므로 올바른 사정이 필요하다.
    -진통제를 이용해 통증을 확실하게 완화 시킬 수 있다.
    -복대는 갈비뼈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반좌위를 취하도록 하여 심호흡을 시행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냉찜질을 통해 혈관을 수축하여 염증과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과격한 기침은 갈비뼈에 무리가 갈 수 있어 지지가 필요하다.
    -대상자의 통증이 심할 때 스스로 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심호흡은 통증을 완화시킨다.

    <중 략>

    <치료적 수행>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함
    ● TS team에 Noti후 처방에 따라 Normal Saline 100ml + Tridol inj 50mg IV side 투약함, 5/22 00:00 NRS 사정시 5점 측정되었고 14:00에 다시 사정시 대상자 조금 나아졌다 표현하면서 NRS 2점 측정됨, 부작용 나타나지 않음
    -복대를 이용하여 흉곽을 지지함
    -의사 처방대로 head up 5도까지만 올림
    -목 좌/우와 흉부 좌/우에 냉찜질 시행함

    <교육적 수행>
    -복대 착용으로 기침 시 가슴 지지에 대한 교육 하지 않았음, 과격한 기침은 피하도록 교육함
    -대상자에게 심호흡 법에 대해 교육함, 천천히 가슴이 올라오도록 숨을 쉬고 천천히 내뱉을 것을 교육함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1개)

    목차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간호사정 요약 ]
    대상자는 2022년 02월 21일 문구점에서 물건 구입 중 양쪽 가슴이 조이는 양상의 chest pain이 나타나 00대학교 병원 ER에 내원한 상태이다. 과거력에는 Lt 백내장 operation이 있었다.
    신체검진 상으로는 흉부 청진 시 악설음이 들리고 약간의 호흡곤란, 기침, 기침 시 객담배출이 있었다. 이외에 특이사항은 없었다.
    Hematology에서 WBC는 2월 21일(16.77), 2월 24일(11.78)에 정상수치에서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CAG(Coronary Angiography)시술 후 4시간 뒤에 측정한 Hematology 결과로 침습적인 시술로 인한 염증 및 감염의 결과로 보인다. Hb(hemoglobin)와 Hct(hematocrit)은 각각 3월 4일에 (Hb, 13.6), (Hct, 40.0)으로 정상수치에서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상자의 과잉 수분 섭취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Seg. Neutrophills은 2월 21일(85.2), 2월 24일(75.9)에 정상수치에서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CAG로 인한 급성감염 또는 심근경색으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Lymphocytes는 2월 21일 (9.1), 2월 24일(17.1), 3월 4일 (19.6)에 정상수치에서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점차 증가하고 있는 수치를 통해 심장질환으로 인해 낮아진 Lymphocytes가 치료를 통해 회복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Blood Chemistry에서 T. Calcium(8.3), I.Phosphorus(2.2)는 2월 24일에 감소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CAG와 PCI 시술로 인한 금식(총 12시간)으로 인한 영양부족 상태로 볼 수 있다. Glucose(FBS)는 2월 21일(194), 2월 24일(221), 3월 4일(157)에 정상수치보다 증가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대상자의 불안정한 혈당 위험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증 문헌고찰

    목차

    1. 질병 명: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2. 원인과 병태생리
    3. 심근경색증의 주요 임상증상
    4. 주요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 명: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종류) 심장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ease, CAD)에는 안정형 협심증, 변이형 협심증, 급성심장동맥증후군이 있다. 급성심장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에는 불안정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과 심근경색증(MI)이 있다.
    정의) 심근경색증은 심장동맥이 완전히 차단되어 심근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경색이나 괴사가 발생하는 것이다.

    2. 원인과 병태생리
    1) 심근경색증 원인 (사진 출처 : 서울아산병원)
    급성 심근경색증의 일반적인 원인은 섬유소 플라크 파열과 혈전 형성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심장동맥 내강이 폐색되어 발생한다.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당뇨병, 운동부족, 비만 등에 의해 관상동맥을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고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나 죽종(atheroma)이 형성되는 죽상경화증이 진행된다. 죽종 내부가 묽어지고 그 주변 부위는 단단한 섬유성 막(fibrous cap)인 경화반으로 둘러싸이게 되는데 경화반이 불안정하게 되어 파열되면 급성으로 혈전(thrombus)이 만들어져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 심근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를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MI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 5개 간호과정 2개

    목차

    1. 문헌고찰
    2. 일반적 사항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급성 심근경색의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협심증과 달리 심장근육을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 가는 질환입니다. 발생 직후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환자의 1/3은사망하게 되며, 병원에 도착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을 혈전이라는피떡이 갑자기 막으면 심장근육으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2.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게 되면 이를둘러싸는 섬유성막(fibrous cap)이 생기게 됩니다. 어떤 이유로든 이러한 섬유성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게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완전히 막히게 되는 것입니다.

    3. 급성 심근경색의 위험요인
    급성 심근경색의 위험요인으로는 고령(노화 현상), 가족력,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스트레스, 음주, 비만, 통풍, 폐경, 경구피임제, 서구화된 식생활, 운동부족 등이 있습니다.

    4. 급성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심장의 관상동맥에 발생한 동맥경화반에 파열이나 균열이 발생하면서 혈전이 형성되고 그로인해 혈액의 흐름이 완전히 막히면서 심장근육이 괴사되는 것입니다. 그 외에 관상동맥의 경련성 수축, 다른 곳에서 발생한 혈전이 이동하여 관상동맥을 막는 관상동맥 색전증, 그리고 관상동맥이 벗겨지며 찢어지는 관상동맥 박리증 등이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A+ case / 급성 심근경색 (AMI) 문헌고찰 및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선행문헌고찰보고서 시나리오 질환명 : 급성 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사례환자의 질환, 치료 및 간호에 필요한 선행 문헌고찰 내용을 간략하게 작성한다(A4 1~2
    매 분량).
    1. 정의
    :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가는 질환으로, ‘혈전’이라는 피떡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을 갑자기 막아서 심장 근육으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서 발생하므로 협심증과는 다르다. ->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1/3은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사망하므로, 병원에 도착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이다. 2. 원인
    :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 막(fibrous cap)이 생기는데, 어떤 이유로든 이러한 섬유성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된다.
    3. 병태생리
    :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30분 이상 지속적으로 완전히 막혀 허혈 상태의 심근세포에 괴사가 시작된다. 첫 12시간까지는 괴사된 심근조직이 육안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이나 18~24시간이 지나면 육안으로 괴사부위를 식별할 수 있고 적갈색의 심근이 빈혈을 일으켜 회갈색으 로 변한다. 심근허혈의 정도에 따라 심장내막밑허혈(T파 역전), 심근 손상(ST분절 상승), 전층 심근괴사(이상 Q파)이 발생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급성심근경색 응급상황 시나리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아버지의 친구분 가족이 우리 집에 오셨다. 4일 전에 아버지와 아버지의 친구분과 다른 분들과 함께 만나서 삼겹살 집에서 과식을 하시면서, 아버지가 우리 집에 아버지 친구분 가족을 초대하신 것이다. 아버지와 아버지 친구분은 어제도 만나셔서 등산을 다녀오셨다. 그래서 아버지와 아버지 친구분은 가볍게 식사를 마치고 쇼파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시면서 어제 등산이 엄청 힘들어서 너무 무리한 것 같다는 대화를 나누시면서 과일을 드시고 계셨다.
    그런데 갑자기 아버지 친구분이 매우 심하고, 강한 흉통을 느끼셨다. 아버지의 친구분의 증상을 볼 때 바로 응급 및 재해관리 과목에서 배운 급성 심근경색을 떠올리게 되었다.
    나는 바로 아버지 친구분의 아내분께 지병이 있으신지 여쭤보았다. 아버지 친구분의 아내분께서 아버지 친구분이 고지혈증으로 인한 죽상경화증이 있으시다고 말씀하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 심근경색(MI) 간호과정 보고서(진단 4개, 과정1개)

    목차

    1. 문헌고찰
    1) 병태생리 및 원인
    2) 증상
    3) 진단
    4) 치료 및 간호
    5) 합병증

    2. 대상자 정보
    1) 환자 정보
    2) 약물치료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우선순위
    2)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tion] : 심장혈관이 혈전, 연축 등의 원인에 의해 갑자기 막혀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1. 병태생리 및 원인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 내피세포가 손상당하여 죽상경화증으로 발전하게 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생긴다.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 심장근육의 일부 괴사하는 경우가 심근경색이며, 괴사하지 않았으나 혈관 내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흉통이 발생하는 것을 협심증이라고 한다.

    위험요인으로 고령, 흡연, 고혈압, 당뇨, 가족력,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다.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