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cute bronchiolitis

  • 아동간호학실습A+ 급성세기관지염 case study

    목차

    Ⅰ.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과거력
    3. 가족력
    4. 예방접종
    5. 현재 건강상태
    6. 신체사정 및 건강상태 사정
    7. 성장발달 사정
    8. 진단검사
    9. 방사선검사
    10 투약

    Ⅱ. 간호과정
    1.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2. 좁아진 기관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3. 점액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A. 일반적 정보
    (1) 성별: 남 ■ 여 ☐ (2) 출생일:
    (3) 월령: 1년 1개월 (4) 입원일:
    (5) 진단명(medical diagnosis): Acute bronchiolitis due to respiratory syncytial virus
    (6) 주호소(chief complaint): fever, 기침
    (7) 현병력(present illness): 상기 13M 남자 환아 IUP 36wks, 30.5kg, NSVD, 7/16 local에서 아데노 바이러스 확진 받았던 환아로 내원 당일 아침부터 peak 39도 intermittent한 양상의 fever 있어 응급실 통해 입원함

    B. 과거력
    (1) 분만형태: 자연분만 ☐ 제왕절개 ☐ (2) 출생 시 체중:
    (3) 임신기간이나 출산 시 투약: 무 ☐ 유 ☐ ( )
    (4) 임신기간이나 출산 시 건강문제: 무 ☐ 유 ☐ ( )
    (4) 과거 입원력 및 수술력:

    C. 가족력
    (1) 가족력(가족 구성원, 만성질병, 유전성 질병, 사망 시 원인/나이 등 가계도를 이용하여 작성)

    D. 예방접종

    필수예방접종
    #1
    #2
    #3
    #4
    #5
    #6
    결핵(BCG)

    B형 간염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홍역/볼거리/풍진(MMR)

    수두

    소아마비(폴리오)

    일본뇌염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기타(A형 간염)

    기타(뇌수막염)

    E. 현재 건강상태
    (1) 식이습관: 모유수유 ☐ 분유수유 ☐ 이유식 ☐ 일반식 ☐ 기타 ☐
    (2) 배뇨습관: ( )회/일, 기타:
    (3) 배변습관: ( )회/일, 기타:
    (4) 수면습관: ( )시간/일
    (5) 알레르기: 무 ☐ 유 ☐ (약물: 음식: 기타: )
    (6) 복용약물: 무 ☐ 유 ☐ ( )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실습 A+ 세기관지염 문헌고찰

    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임상 경과
    5. 진단
    6. 치료
    7. 합병증

    본문내용

    1. 정의
    호흡기는 코에서부터 시작해 상부 기관지를 거쳐 점점 더 작은 기관지로 나뭇가지처럼 분지되어 마침내 폐포까지 이르게 된다. 세기관지는 폐포 바로 상부의 가장 작은 기관지 분지를 세기관지라고 하며, 세기관지는 직접 폐포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폐포는 이를 받아 혈액으로 산소를 공급한다.

    세기관지염은 호흡기에서 가장 작은 가지인 세기관지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기관지에 발생하는 세기관지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일어난다. 바이러스는 기관지 염증 반응을 일으켜 기관지 점막이 붓고 분비물이 많아지게 하고, 이로 인해 좁은 세기관지 막힘 현상이 생겨 폐포로의 산소 공급에 장애가 발생하고 결국에는 전신적인 저산소증 상태가 된다.

    세기관지염은 영유아와 어린 소아들이 입원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실제로 모든 연령에서 나타날 수는 있으나 기관지가 매우 좁아 쉽게 막히고 그로 인한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는 2세 이하의 연령에서 주로 발생하며 1세 전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대다수의 소아는 처음 시작된 후 1~2주 이내에 증상이 회복되나 특정 기저 질환을 가진 소아들은 심한 증상을 야기할 수 있고 면역 기능이 아직 미숙한 6개월 이하의 영아도 증상이 빠르게 진행할 수 있어 증상과 경과를 주의해서 관찰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세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보고서)

    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합병증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7. 예방
    8. 문헌고찰

    본문내용

    1. 정의
    – 세기관지염은 기관지 중 가장 작은 가지인 세기관지에 감염에 의해서 생긴 질환이다. 바이러스에 의해 세기관지에 감염이 생기면 기관지 점막이 붓고 분비물이 많아져 작은 세기관지가 막히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래서 세기관지염이 생기면 폐포로의 산소 공급에 장애가 발생하여 전신적인 저산소증이 나타나며, 증상으로 호흡곤란이 생긴다.
    – 세기관지염은 영유아와 어린 소아들이 입원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주로 2세 이하의 연령에서 발생하고 1세 전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함. 그러나 특정 기저 질환을 가진 소아들은 심한 호흡곤란 증상을 야기할 수 있고 면역 기능이 아직 미숙한 6개월 이하의 영아도 증상이 빠르게 진행할 수 있어 증상과 경과를 주의해서 관찰해야 한다.

    2. 원인
    1) 병원체
    –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
    :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50-7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
    – 마이코플라즈마균(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한 세기관지염은 바이러스 감염에 비해 조금 나이가 든 소아(학동기 이후)에게 더 자주 나타남

    2) 유행시기
    – RSV: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유행. 1-2월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음.
    –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가을에 주로 유행.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