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cute peritonitis

  • 무기화학실험 결과보고서-A Shape Memory Alloy, NiTi

    목차

    1. Subject

    2. Object

    3. Result & Discussion
    1) <Result>
    2) <Discussion>

    4. Reference

    본문내용

    1. Subject: A Shape Memory Alloy, NiTi
    2. Object: NiTi의물리적특성에대해알고, NiTi 고체상변화의전이온도를결정할수있다.
    3. Result & Discussion (Theory 포함)

    ① NiTi wire를 구부린 후 warm water에 넣으면 다시 원래상태로 돌아와 펴진다.
    ② NiTi rod를 구부린 후 warm water에 넣으면 원래상태로 돌아오지 않는다.
    ③ NiTi wire에게 큰 압력을 가한 후 warm water에 넣었을 때 60% 정도 돌아왔다. 그리고 room temperature에서 100% 폈다가 다시 warm water에 넣었을 때 60%의 형태로 돌아 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주식 투자 지표(ROE, EPS, PER, PBR, EV/EBITDA) 간단 정리

    목차

    ①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②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③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④ PBR(Price Book 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⑤ EV(Enterprice Value)/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rate, Tax, Depreciation & Amortization)

    본문내용

    ①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자기자본만으로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 자기자본수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 100
    – cf) ROA(Return On Assets): 기업이 이익을 낼 수 있는 힘(차입금+자기자본)
    – 총자산수익률(ROA) = (이익 ÷ 총자산) × 100

    – ROE가 타사에 비해 높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타사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함
    – 향후 ROE가 높아진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올라감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주가도 상승할 것이다.
    – 종목을 선정할 때 자기자본에 비해 이익을 많이 낼수록 이익을 창출하는 힘이 강해지므로 ROE를 반드시 체크해야 함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 응급실실습 담관염, 약물중독 간호과정

    목차

    Ⅰ. cholangitis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자료수집
    (1) 자료수집
    (2) 현병력
    (3) 과거력
    (4) 신체사정
    (5) 진단검사결과
    (6) 치료적처치
    (7) 약물치료
    (8) 대상자 상태사정
    2. 간호진단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작성

    Ⅱ. Acute Drug Intoxication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자료수집
    (1) 자료수집
    (2) 현병력
    (3) 과거력
    (4) 신체사정
    (5) 진단검사결과
    (6) 치료적처치
    (7) 약물치료
    (8)대상자 상태사정
    2. 간호진단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작성

    본문내용

    (2) 현병력

    ① 발병당시부터 현재 입원시까지의 병력
    내원 당일 오후 1시부터 시작된 abdominal pain을 주호소로 구미 차병원 내원 후 r/o CBD stone 진단하에 f/e 위해 본원 내원
    우리한 양상의 복부 통증이 있어 거동도 힘들었으나 현재는 구미 차병원에서 진통제 맞은 후 완화된 양상

    ② 현시점에서 주호소
    abd pain

    (3) 과거력

    A. 개인습관
    흡연: ■ 무 □ 유
    고혈압: ■ 무 □ 유
    당뇨병: ■ 무 □ 유
    수술력: □ 무 ■ 유
    수십년 전 맹장염→복막염으로 수술받았다고 함

    B. 가족력
    ① 가계도(그림 제시)
    알 수 없음
    ② 가족 중 앓았던 질병
    □ 무 □ 유
    알 수 없음

    C. 주호소
    abd pain

    <중 략>

    2) 간호과정 작성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머리가 좀 어지러운데”
    “지금 추운 거 같아”

    객관적 자료
    – 2022.12.22. 8A BT 37.8℃
    – 기운이 없고 시트를 온몸에 덮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 2022.12.21.
    WBC ▲20.81 CRP ▲5.695

    <중 략>

    (2) 현병력

    ① 발병당시부터 현재 입원시까지의 병력
    보호자가 새벽에 환자 혼자서 횡설수설하는 모습을 관찰함. 환자가 보호자의 약물과 소주 2병을 마신 흔적을 발견함.
    복용 추정 약: enafon 10mg tab 15정, ativan 1mg tab 15정, Riperidone 0.5mg tab 15정, stablon 12.5mg tab 15정

    ② 현시점에서 주호소
    deep drowsy

    (3) 과거력

    A. 개인습관
    흡연: ■ 무 □ 유
    고혈압: ■ 무 □ 유
    당뇨병: ■ 무 □ 유
    수술력: ■ 무 □ 유

    B. 가족력
    ① 가계도(그림 제시)
    알 수 없음
    ② 가족 중 앓았던 질병
    □ 무 ■ 유
    어머니 간암

    C. 주호소
    deep drowsy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ER 심근경색 case study(간호진단 2개)

    목차

    1. 응급 의무 기록지
    2. 일반적 정보
    3. 질병에 대한 정보
    4. 사정내용
    5. 간호과정

    본문내용

    병원 내원 동기 (사고원인, 경위)
    23.3.14 chest pain, acute MI로 본원에서 PCI 시술 후 퇴원한 환자가 금일 15시 45분경 갑작스럽게 발생한 흉통과 숨참을 호소하여 119 통해 내원함

    질병이나 상황 발생 시간: 15시 45분

    사고 및 발병 당시 처치
    응급실 도착 시간 : 23.4.3 16시 03분
    M/S : Alert
    내원 당시 V/S : BP 70/40 P 106회/분 R 30회/분 BT 36.4℃ SPO2 92%
    통증부위/NRS 점수 : chest/9점
    AED & all monitoring apply함
    주호소 및 현병력 :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다고 통증을 호소(NRS 9점)하였으며, 매우 아프나 참고 있다고 하였음. 보호자인 친누나와 함께 119 구급차를 통해 내원하였으며 의식 상태는 Alert 하였음.

    응급실 내 주요 처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정 및 검사, 치료 등 간략히 작성
    ● 16시 07분
    치료 plan 설명

    ● 16시 08분
    EKG check

    ● 16시 09분
    키/몸무게 : 170cm/73kg
    NPO Time : 4/3 15:00 ~

    ● 16시 10분
    foley cath(18Fr) insert
    U/A check
    소변주머니 항상 아래에 유지하도록 교육

    ● 16시 10분
    fluid IV stated done
    IN site 상태 redness, swelling 양상 관찰되지 않음
    환자 IV site 불편감 호소 없음
    O2 2L inhalation

    ● 16시 28뷴
    시술 필요성 설명하여 동의서 & 중환자실 입실 동의서 본인이 작성함

    ● 16시 37분
    S-car로 영상의학과 안내(chest AP)
    심초음파 안내

    ● 16시 45분
    return to ER
    낙상방지 위해 both side rail 올림, 침대 바퀴 고정함
    close observation중임

    출처 : 해피캠퍼스

  • 응급실ER 실습 담관염, 약물중독 문헌고찰

    목차

    <담관염 문헌고찰>
    1. 진단명
    2. 질환 선정 이유
    3. 정의
    4. 원인
    5. 발생률
    6. 증상과 징후
    7. 진단검사
    8. 치료
    9. 합병증
    10. 예방

    <약물중독 문헌고찰>
    1. 진단명
    2. 질환 선정 이유
    3. 정의
    4. 원인
    5. 독물의 종류
    6. 증상과 징후
    7. 진단검사
    8. 치료
    9. 합병증
    10. 예

    본문내용

    1. 진단명
    : cholangitis

    2. 질환 선정 이유
    응급실에서 실습하면서 abd pain을 주증상으로 오시는 분들이 많이 계셨다. 그들 중 하루 한 명 정도는 담관염 환자를 볼 수 있었다. 흔히 발생하는 만큼 이번 실습으로 담관염의 병태생리와 간호를 공부하고자 한다. 이 문헌고찰을 통해 추가적이고 세부적인 학습과 적절한 간호중재를 고민해 봄으로써 차후 임상에서 도움이 되고자 이 질환을 선정하게 되었다.

    3. 정의
    담관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소화액)을 장으로 흘려보내는 마치 수도관과 같은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수많은 담관으로 이루어진 담도는 간 안에 퍼져있는 작은 담관(간내담관)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차 굵은 담관으로 합류하여 간 밖으로 나와 총담관을 형성하고 마지막에 유두부를 통해서 십이지장까지 도달하게 된다.
    담관염은 담관의 염증성 질환으로 담관 벽이 두꺼워지게 되어 좁아지거나 협착이 생기는 질환이다. 급성 또는 만성의 염증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말하는 담관염은 급성 담관염을 의미한다.

    4. 원인
    담관염의 원인으로 췌장염, 췌장의 섬유화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면역 계통의 변화, 독소, 세균 등이 간접적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담즙에 세균이 감염되면 매우 빠르게 번식하게 되는데 담관 내부의 담즙에 염증이 생긴 경우, 하부 담도에 폐쇄가 동반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 경우 담즙은 배출되지 못하고 담관염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담관 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담관에 발생한 담석으로 담관염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관의 결석을 지니고 있다. 담관의 결석은 대부분 담낭의 담석으로부터 기원하며 선천적인 담도의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목차

    A. 환자 사정
    B.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C.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D. 개념도(Concept Care Maps)
    E. 간호계획, 수행, 평가

    본문내용

    날 짜 성 명 나이 성 별 입원 날짜
    2015. 11. 19 이◯◯ 3 M 2015. 11. 13

    A. 환자 사정

    I. 입원 사유
    a. 입원 동기
    내원 1일 전 오전 치즈를 먹고 vomiting(#1, food content) 한 차례 하였고 상기 증상 지속되어 evaluation 및 treatment 위해 본원 ER통해 PG 입원함.

    b. 의학적 진단
    Small bowel obstruction
    Acute peritonitis

    c. 증상과 징후
    통증, 구토, 허약감

    II. 현재력
    내원 12일 전 pm 3부터 abd. pain (periumbilical, 20min-30min 지속, #10, not cyclic, not colicky) develop되었고 pm 4:30부터 vomiting (#10 이상, postprandial, regurgitant, not bloody, not bilous) develop되어 내원 11일 전 ER 통해 본원 PGS. adm. 하여 small bowel wedge resection op 후 내원 2일 전 퇴원하였고 이후 변 보지 못하며 abdominal pain (dull, whole abdomen, continuous) 있고 식사를 잘 하지 못하였다고 하며 내원 1일 전 vomiting 증상 지속되어 입원함.

    III. 가족력
    (-)

    IV. 과거력
    a. 산과력
    (-)

    b. 출생력 (재태연령, 출생순위 등)
    IUP 40주, 4200gm, 자연분만으로 출생하였으며 모유수유함. 첫 째 아이임.
    c. 출생시 상태(APGA Score 등)
    만삭아로 출생 당시 good activity, crying 보임.
    d. 예방접종

    1차 2차 3차 추가
    4차 추가
    5차 추가
    6차
    BCG √
    B형간염 √ √ √ √ √
    DPT √ √ √ √
    소아마비 √ √ √
    MMR √ √
    수두 √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