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cute Tonsillitis

  • A+ 자료 아동간호학 급성 편도선염 (Acute Tonsillitis) Case Study(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1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중재
    7) 합병증
    8) 예후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금과 같은 겨울철에 빈발하는 각종 호흡기 질환 환자가 요즘엔 계절에 관계없이 부쩍 증가하고 있다. 호흡기 질환은 특히 어린 아동들에게 빈발하는데 여러 가지의 종류 중에 대표적인 것이 바로 편도선염이다. 편도선염은 편도가 비대해지면서 섭취불량이나 호흡곤란,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며 급성 편도선염의 경우 갑자기 40℃를 오르내리는 고열과 함께 목이 빨갛게 부어오르고 오한, 두통, 사지통증, 귀의 통증, 인후 건조감, 전신 권태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증상이 심할 경우 연하통 및 언어장애, 임파선의 종창을 초래하기도 한다. 더욱 심해지면 합병증으로 기도폐색이 일어날 수 있으며 아데노이드가 비대해지는 경우 이관이 막히면 분비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중이염이나 청력 장애가 올수 있다.
    아동의 경우 신체적 구조상 합병증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인은 아동들에게 빈발하는 호흡기 질환인 편도선염에 관한 지식을 함양하고 이 질환에 필요한 간호적 지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심층적인 연구와 깊이 있는 고찰을 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ⅰ. 문헌고찰

    1) 정의
    편도선은 인두강에 위치한 림프조직으로 병원체를 여과하고 항체를 형성하여 병원체의 침입을 막음으로써 소화기와 호흡기를 보호한다. 상기도 감염에 감수성이 높은 어린 아동의 편도선은 분비성 면역 글로불린을 생산하여 호흡기 점막의 1차 방어역할로 작용하기 때문에 청소년이나 성인의 편도크기에 비해 크다(6세 때 성인의 2배가 되며 12세에 성인의 크기가 됨). 이러한 편도는 출생 시 부터 커지기 시작하여 면역학적으로 4~10세에 가장 활발하다가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퇴화한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편도는 구개편도로 입안을 보았을 때 목젖의 양쪽에 동그랗게 있는 구조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