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garose gel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6. Genomic DNA prep & Gel Electrophoresis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2. 실험 도구
    – Sample : mouse tail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EP tube , tube rack, 라텍스 장갑, nanodrop, UV lamp, 전기영동장치, shaking incubator, centrifuge
    – 시약 : lysis buffer(1M Tris HCl, 0.5M EDTA, 010% SDS, 5M NaCl), proteinase K, isopropanol, agarose powder, 1X TAE buffer, 70% DEPC-EtOH, DNA size marker, DW, 6X loading dye, gel electrophoresis buffer, EtBr

    3. 이론
    ① Genomic DNA
    Genomic DNA는 긴 이중사슬로서 세포 핵 내에 존재한다. 게놈 DNA 또는 gDNA는 유기체의 염색체 DNA로 유전 물질의 대부분을 나타낸다. 세포가 본래 가지고 있는 DNA로, 외부에서 들어온 plasmic DNA같은 extra genomic DNA가 아닌 chromosome DNA이다. 세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유전정보들을 담고 있는 DNA이다. 진핵세포 생물의 경우, 핵 내에 존재하는 chromosome DNA 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genomic DNA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진핵세포가 가지고 있는 total genomic DNA를 의미하기도 한다.
    ② DNA 추출
    Genomic DNA와 plasmic DNA 추출의 기본 원리는 같으나, plasmid DNA는 genomic DNA로부터 plasmid를 분리하기 위한 단계를 거쳐야 한다. 세포로부터 DNA 추출은 크게 세포의 수확(cell harvest), 세포의 파괴(cell lysis), DNA 추출과 정제(DNA purification)의 과정으로 나뉜다.
    1) 세포의 수확 : 일반적으로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를 수확한다.
    2) 세포의 파괴
    세포로부터 DNA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 DNA가 세포 밖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세포벽, 세포막을 분해해야한다. 이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나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5. Restriction Enzyme Cutting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2. 실험 도구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EP tube , tube rack, 라텍스 장갑, microwave, UV lamp, 전기영동장치, shaking incubator, vortex mixer, centrifuge, 스티로폼 박스, 삼각플라스크
    – 시약 : Plasma DNA, Not Ⅰ, Hind Ⅲ, 10X fast cut buffer, DNA marker, DW, agarose powder, TAE buffer, 6X loading dye, gel electrophoresis buffer, EtBr, ice

    3. 이론
    ① Restriction enzyme
    세균이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온 DNA를 절단하여 배제시키기 위해서 가지고 있는 일종의 자기방어효소이다. DNA의 염기 서열의 특정 부분만을 가수분해하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유전공학에서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한효소는 이들의 조성과 필요로 하는 효소 보조인자, 이들이 작용하는 서열에 따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모든 제한효소는 DNA 내부에 존재하는 짧은 서열을 인지하여 작용한다.
    Type Ⅰ의 경우 제한효소와 메틸화효소가 뭉쳐져 있고, 인식자리와 제한자리가 서로 다르다. 염기서열은 특이적으로 인식하지만, 인식자리에서 약 1000개 염기 정도 떨어진 곳에서 비특이적으로 DNA를 자른다. 또한, 활성에 ATP나 S-아데노실메티오닌, Mg2+ 등을 필요로 한다. DNA 절단 위치의 특이성이 없기 때문에 실험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Type Ⅱ는 인식자리가 특이적이고 제한자리 또한 주변의 염기로 특이적으로 작용한다.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 유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4. Plasmid perp & Gel Electrophoresis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2. 실험 도구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1000 μL, 200 μL), tube (10 mL, 50 mL), tube rack, 라텍스 장갑, microwave, UV lamp, nano drop, 전기영동장치, shaking incubator, vortex mixer, centrifuge, 스티로폼 박스, 삼각플라스크
    – 시약 : E.coli 배양액, agarose powder, TAE buffer, 6X loading dye, isopropanol, 70% EtOH, gel electrophoresis buffer, EtBr, DW, P1, P2, P3 solution, ice

    3. 이론
    ① Plasmid DNA
    세균의 세포 내에 염색체와는 별개로 존재하면서 독자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DNA이다. 고리 모양을 띠고 있으며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는 아니다. 유전공학에서는 세균 내 플라스미드를 세포 밖으로 빼내고 제한효소로 끊은 뒤, 필요로 하는 유전자를 삽입하여 이를 다시 세균에 넣어 배양하는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사용한다.
    ② Plasmid DNA를 추출하는 방법
    Ⅰ. 크기 차이를 이용한 plasmid 추출 및 정제 방법
    유전체 DNA가 절단되지 않도록 매우 조심히 수행하여야 한다. 먼저, EDTA, 라이소자임 및 25% 자당(sucrose) 용액을 처리하여 세포벽이 부분적으로 파괴된 원형질체를 형성한 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을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킨다. 이후,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에 있는 플라스미드를 추출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실험보고서) PCR product를 전기영동으로 확인하기

    목차

    I. Purpose
    II. Introduction
    III. Materials
    IV. Methods
    V. Results
    VI. Discussion
    VII. Reference

    본문내용

    I. Purpose
    유전자 확보를 위해 PCR을 수행하고, agarose gel electrophoresis를 통해 PCR로 증폭된 DNA를 확인
    하며, 제한효소처리와 cloning을 위해 PCR nucleotide만 정제하기 위한 PCR purification을 한다.
    II. Introduction
    1. PCR 기본원리
    1-1. 준비물:
    복제할 DNA 서열(template), Primer, DNA nucleotide, Taq DNA
    polymerase, DNA 중합효소용 완충용액
    1-2. 순서:
    (1) Denaturation (92~95℃) : DNA 가닥 분리를 위한 열처리 단계
    (2) Annealing (50~65℃) : primer 결합을 위해 식히는 단계
    (3) Elongation (70~74℃) : DNA polymerase가 DNA를 연장함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봉와직염 Cellulitis(간호과정 2개-간호과정 1개 당 간호수행 10개 이상)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 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6. 합병증

    Ⅲ. 간호 사정
    1. 일반적 사항
    2. 입원 관련 정보
    3. 간호력 (건강 상태)
    4.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개인, 가족, 지역사회자원)
    5. 각 기관 별 문진
    6. 진단검사
    7. 통증 상태 사정 도구(NRS)
    8. 활력징후
    9. 욕창사정도구
    10. 낙상사정도구
    11. 치료 및 경과

    Ⅳ. 간호과정

    Ⅴ. 결론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봉와직염은 세균과 높은 빈도로 접촉하는 손과 발에서 잘 발생한다. 작은 상처, 모기에 물린 자리 등을 자극해 긁거나 침을 바르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되면 세균에 감염될 수 있다. 초기에는 피부가 붉은색으로 변하다가 점차 색도가 뚜렷해지고 부어오르며 통증과 부종이 심해진다. 사소한 상처 탓에 부은 거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매우 심한 경우엔 고름이 형성되기도 하고 심지어 피부 괴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 균이 피하 지방층 아래에 있는 근육 등으로 퍼지면 패혈증으로 이어져 목숨까지 위험해지는 상황이 될 수 있기에 봉와직염의 초기 증상을 파악하고 조기에 치료하고자 연구가 필요하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왼쪽 종아리에 걸을 때마다 통증이 있고 열이 나 응급실을 방문했다가 그날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고 입원한 후에도 통증과 열이 심하여 이 환자에 적절한 간호 목표를 세워 적절한 간호과정을 시행함으로써 환자의 증상을 호전하고자 연구한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봉와직염(Cellulitis)은 세균이 피부의 진피와 피하 조직을 침범하여 생기는 염증 반응으로 급성 세균 감염증이다. 대부분이 A군 용혈성 사슬 구균이나 황색 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한다. 나이가 많은 고령자, 면역억제 환자, 말초혈관 질환자 등에서 발생률이 더욱 높으며 세균이 침범한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압통이 있다.

    2. 원인
    원인균: A군 용혈성 사슬 구균, 황색 포도알균 등
    ① 무좀이나 발가락 사이 짓무름: 피부 장벽을 파괴하여 그 틈으로 세균이 침입함 (세균의 침입 경로 제공)
    ② 선행 피부 감염 (궤양, 모낭염, 종기, 감염 상처 등)이 있을 때

    출처 : 해피캠퍼스

  • GE의 Digital Transformation 전략

    목차

    없음

    본문내용

    GE의 Digital Transformation 전략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 ?
    GE는 1878년 발명왕으로 불리는 에디슨이 창업한 회사로, 약 150년 정도의 긴 역사를 보유한 장수기업입니다. GE는 제조업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리딩한 기업으로, 혁신성을 위해 2017년 대비 현재 연구개발에 2배를 더 투자하고, 고객사와 GE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GE의 Digital Transformation은 제조기업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큰 변화였습니다. 실제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GE의 사례를 기반으로 미국, 중국 등에서는 새로운 제조 방식과 새로운 제품과/서비스 제공 방식을 모색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실험실습보고서_ Agarose gel 전기영동

    목차

    1. 생명공학 기초실험I 실험실습 보고서 (1)
    1) 실험주제 및 목표
    2) 사용한 실습장비
    3) 실험원리
    4) 실험과정

    2. 생명공학 기초실험I 학습활동보고서 (2)
    1) 실험결과
    2) 고찰
    3) 좋았던점
    4) 아쉬웠던점 (건의사항)

    본문내용

    실험주제 및 목표
    아가로스를 이용하여 미지의 DNA를 분리하고 분석한다.
    Agarose gel 을 직접 만들 수 있다.

    사용한 실습장비
    Agarose gel, EtBr, Agarose, UV transilluminator, 비커, measuring cylinder, micropipette, tip, DNA sample, Loading dye, casting tray, 전자레인지, comb, well, TAE buffer, 플라스크

    실험원리
    전류를 흘러주면 음전하를 가진 DNA가 두 전극 사이에서 +극 쪽으로 이동하는 원리이다.

    실험과정
    [1] Agarose gel 전기영동
    1. Loading dye를 한 tube 당 10ul 씩 DNA sample(P, PR, S) 에 넣어준다.
    *Loading dye를 첨가하는 이유*
    ➀Loading dye: 전기영동 시 샘플과 함께 섞어 내리는 염료
    ➁샘플에 밀도를 추가하여 DNA가 buffer 속에 확산되지 않고, 밑으로 가라앉을 수 있 도록 한다.
    ➂색상을 제공하여 DNA의 위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한다.

    2. 각자 조원들은 1kb, 100bp, P, PR, S를 5ul로 왼쪽, 오른쪽 agarose gel의 상단 홈에 각각 넣어준다. (조원 모두 왼쪽, 오른쪽 각 한 번씩 실시)
    3. 전원장치를 100V로 60분 설정해준다. (running:전기장을 걸어주고 띠가 나올 때 까지 기다림/ 전압이 높을수록 이동이 빠르다.) ->DNA가 크기 별로 분리된다.
    4. 노란색 line이 끝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10분 간격으로 관찰한다.
    5. UV light를 이용하여 전기영동 결과를 확인한다.

    [2] Agarose gel 만들기
    1. TAE buffer에 파우더 형태의 아가로스를 정해진 농도로 넣는다. (25ml buffer를 0.8% 농도로 만들어야함 = 0.2g의 아가로스 파우더 필요)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