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lcoholic

  • Alcoholic Hepatitis (알코올성 간염) 케이스스터디 / A+ 자료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목차

    1. 질병연구(문헌고찰)
    (1) 대상자의 진단명
    (2) 정의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My patient와 비교
    (5) 치료_진단검사, 약물, 처치
    (6) 간호

    2. 대상자 간호력
    (1) 간호사정

    3. 주요 신체 검진 결과
    (1) 일반적 상태
    (2) 피부 상태
    (3) 머리, 눈, 귀, 코, 구강 및 목의 상태
    (4) 호흡기 상태
    (5) 순환기 상태
    (6) 소화기 상태
    (7) 유방 및 비뇨생식기 상태
    (8) 근골격 상태
    (9) 신경 상태
    (10) 내분비 및 기타 상태
    (11) 활동
    (12) 배설양상
    (13) 기타
    (14) 특수사정 – 낙상, 욕창

    4. 대상자 진단검사, 특수처치
    (1) Hematology
    (2) 기타 혈액 검사
    (3) Blood Chemistry
    (4) Urinalysis
    (5) 기타 진단검사 및 특수처치

    5. 주요 약물

    6. 총괄적 소견

    7. 간호진단 진술 및 우선순위
    (1) 간호진단
    (2) 우선순위

    8. 간호과정

    본문내용

    대상자의 진단명
    주) Alcoholic hepatitis (알코올성 간염)

    정의
    알코올성 간질환은 과다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간 질환을 의미한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무증상 지방간부터 알코올성 간염, 간경변, 말기 간부전에 이르는 다양한 질환을 말한다.
    *과도한 음주의 기준
    과도한 음주량의 기준은 유전적인 특징, 성별에 따라 개인적인 차이가 있다. 그러나 하루 80g 이상의 알코올을 10~20년 정도 매일 섭취하거나, 남자 주 210g 이상, 여자 주 140 g 이상의 알코올의 섭취를 하는 경우 알코올성 간염이나 간경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음주량은 남성 일일 40g, 여성 일일 20g 이하이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알코올을 적게 섭취해도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주 1잔, 맥주 1잔, 양주 1잔, 막걸리 1홉에 약 10g의 알코올이 포함되어 있다.

    *My Patient
    대상자의 경우 평소에도 음주를 즐겨했으며, 입원 전 식사 대신 매일 2병의 막걸리를 마셨기 때문에, 과도한 음주를 섭취했다고 볼 수 있다.

    병태생리
    *알코올성 간질환(알코올성 간염 포함)
    알코올성 간질환은 과다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나, 아직 완전한 기저 매커니즘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의 칼슘 농도를 급격히 상승시켜 간세포의 심각한 손상을 유발한다.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하며, 이때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저하는 활성산소 생성을 촉진해 스트레스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켜 알코올성 간질환이 발병하게 한다.

    증상 및 징후
    가장 경미한 형태인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들의 경우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경미한 간비대(간이 정상보다 크게 된 상태)가 나타난 경우 오른쪽 상복부에 가벼운 압통을 호소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