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nswer

  • NS CASE STUDY SAH 지주막하출혈 NS케이스

    목차

    1. Clinical Data
    2. Medical Diagnosis
    3. Abnormal Data Lists
    4.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5. Nursing Diagnosis
    6. Nursing Plan/Intervention/Evaluation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 정의
    사람의 뇌 실질을 감싸고 있는 뇌막은 경막, 지주막, 연막의 3종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중간에 있는 막이 마치 거미줄 모양과 같다고 해서 지주막 또는 거미막이라 하고, 가장 안쪽에 있는 연막과의 사이에 있는 공간이 지주막하 공간이다. 이 지주막하 공간은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뇌의 혈액을 공급하는 대부분의 큰 혈관이 지나다니는 통로인 동시에 뇌척수액이 교통하는 공간이 된다.
    그래서 뇌혈관에서 출혈이 생기면 가장 먼저 지주막하 공간에 스며들게 되는데 이렇게 어떤 원인에 의해 지주막하 공간에 출혈이 일어나는 질환을 뇌 지주막하 출혈이라 하며, 대부분의 경우 뇌동맥류 파열과 같은 심각한 원인이 있을 수 있고, 이 외에도 뇌혈관의 기형이나 외상 등에 의해서 지주막하 공간에 출혈이 발생하는 모든 경우를 말한다.

    ▶ 원인/병태생리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은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것이 전체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다.
    지주막하 출혈은 크게 자발성 출혈과 외상성 출혈로 나눌 수 있는데, 자발성 출혈은 나이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뇌혈관에 꽈리 모양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선천적인 뇌동맥류나 기타 뇌혈관 기형이 있다가 우연한 기회에 터져 뇌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으로는 뇌동맥류의 파열, 뇌동정맥 기형의 출혈, 추골 동맥의 박리, 뇌혈관염, 혈액응고 이상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 중에서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이 80%로서 지주막하 출혈이 있을 때 가장 먼저 의심하게 된다.
    뇌동맥류의 원인 및 병태 생리는 아직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으나, 원인으로는 선천성 뇌혈관 벽의 이상, 동맥경화, 고혈압, 심방의 점액종(양성종양)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색전, 균사체에 의한 혈관염, 외상 등이 있으나, 대개 나이든 환자의 경우는 동맥경화나 고혈압과 같은 원인에 의한 것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NS CASE STUDY viral meningitis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NS케이스

    목차

    1. Clinical Data
    2. Medical Diagnosis
    3. Abnormal Data Lists
    4.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5. Nursing Diagnosis
    6. Nursing Plan/Intervention/Evaluation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정보
    직업: 학생
    교육정도: 고
    종교: 무교
    결혼여부: 미혼
    경제상태: 중

    입원정보
    입원일시: 2022-06-06
    입원경로: 응급센터
    입원방법: 눕는차
    병에 대한 인식: 무
    주증상: headache, fever
    입원동기: 기저력 없는 환자로 내원 2일 전부터 지속된 headache, fever로 본원 ER 내원 후 검사 후 이상소견 없어 귀가한 뒤 당일 두통 지속되어 다시 응급실 내원하여 adm.
    과거력: 없음
    입원 및 수술경험: 없음
    가족력: 부-HTN
    최근 투약 상태: 없음

    건강습관
    흡연: 무
    음주: 무
    활동: 완전 독립

    수면상태
    수면시간: 7(시간/일) 수면장애: 없음

    활동상태
    신체적 기형: 없다
    보조기구: 안경

    건강 상태
    키: 176.0cm
    체중: 64.0kg
    피부상태: 정상
    식욕: 보통
    연하곤란: 없음
    체중변화: 없음
    욕창: 없음

    호흡기계
    호흡곤란: 없음

    순환기계
    부정맥: 없음
    호흡곤란: 없음
    부종: 없음
    요흔: 없음

    소화기계
    식욕: 보통
    소화불량: 없음
    배변 양상: 정상 색깔: Normal 횟수: 1일 2회 양: Moderate

    비뇨기계
    양상: 정상 색깔: Yellowish 횟수: 4~6 회 정도/일
    생식기 문제: 없음
    월경: 해당없음

    신경계
    시력장애: 안경 착용
    청력장애: 없음
    신경근육: 이상없음

    의식상태
    의식수준: Alert
    지남력: 사람 intact, 시간 intact, 장소 intact
    의사소통: 원만함
    정서상태: 적절

    출처 : 해피캠퍼스

  • 수두증 NS케이스 NS CASE STUDY hydrocephalus

    목차

    1. Clinical Data
    2. Laboratory data
    3. Diagnostic tests
    4. Medication
    5. Medical Diagnosis
    6. Abnormal Data Lists
    7.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8. Nursing Diagnosis
    9. Nursing Plan/Intervention/Evaluation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사회정보
    – 종교: 기독교
    – 결혼여부: 기혼

    2. 입원정보
    – 입원일시: 2022년 06월 07일 14:00
    – 병에 대한 인식: 유
    – 주증상: 말이 어눌함
    – 입원동기: 22‘ 1/18 낙상 후 head trauma로 본원 Tx 후 요양 병원에 있던 중 c.c 생겨 B-CT 상 hydrocephalus 소견 보여 입원함
    – c.c : gait distrubance, cognitive d/o
    – 과거력: 고혈압
    – 가족력: 없음
    – 최근 투약 상태:

    3. Allergy: 없음

    4. 흡연: 비흡연

    5. 음주: 무

    6. 영양상태: 연하곤란 무
    체중 52 kg
    신장 158 cm
    체중변화 없음

    7. 신체사정
    – 피부상태: 정상
    – 호흡기계: 없음
    – 순환기계: 없음
    – 소화기계: 없음
    – 배변: 양상 정상 색깔 정상
    – 배뇨: 정상
    – 임신 가능성: 없음 (폐경)
    – 활동상태: 완전 의존
    – 보조기(이동) 사용: o
    – 기타 보조기구: 없음
    – 신경계: 의식수준 alert
    의사소통 곤란함
    시력장애 없음
    청력장애 있음 (Rt hearing loss)
    신경근육 이상 없음

    <중략>

    수두증(Hydrocephalus)
    정의
    수두증은 뇌척수액의 생산과 흡수 기전의 불균형, 뇌척수액 순환 통로의 폐쇄로 인해 뇌실 내 또는 두개강 내에 뇌척수액이 과잉 축적되어 뇌압이 올라간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인
    수두증의 원인은 선천성 요인과 후천성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선천적 원인
    뇌척수액 순환 통로의 폐쇄

    ② 후천적 원인
    – 종양으로 발생한 내적, 외적 압박이 뇌척수액의 이동 통로를 막는 경우
    – 염증
    – 출혈
    – 뇌척수액의 과잉 생산
    – 뇌 정맥동 압력의 증가
    – 흡수 부위의 막힘 등

    출처 : 해피캠퍼스

  • 간질발작 NS케이스 자세한 환자사정부터 간호과정까지 진단6개 과정2개

    목차

    A. 일반정보
    B. 건강력
    C. 생활양식
    D. 신체사정 및 진단검사
    E. Medical Diagnosis
    F. Abnormal Data Lists
    G.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H. Nursing Diagnosis
    I. Nursing Plan/Intervention/Evaluation

    본문내용

    경과기록
    6/3
    18:26 머리를 좌우로 흔드는 양상. eyeball devition x. 의식소실 x.
    -> 에필라탐 투여
    18:50 발작 멈춤.
    6/4
    05:55 머리를 좌우로 흔드는 양상. 양 손을 떠는 양상.
    낙상위험사정 : MFS 45점 – 부진단있음(의식장애)15, IV중20, 걸음걸이허약함10
    -> 에필라탐 투여
    06:30 발작 멈춤.
    09:50 양쪽 어깨 ~ 양 손을 떠는 양상.
    09:55 발작 멈춤.
    -> 오르필 투여
    10:40 발작 멈춤.
    11:09 양쪽 어깨 ~ 양 손을 떠는 양상. 머리를 간헐적으로 좌우로 흐드는 양상.
    11:26 발작 멈춤.
    11:38 양쪽 어깨 ~ 양 손을 떠는 양상.
    11:53 발작 멈춤.
    14:52 양쪽 어깨 ~ 양 손을 떠는 양상.
    15:10 발작 멈춤.
    6/5
    06:20 양쪽 어깨를 떠는 양상.
    -> 기넥신에프, 토파맥스, 케프라, 글리타민 투여
    06:30 발작 멈춤.
    06:35 양쪽 어깨를 떠는 양상이지만 이전보다 미약.
    06:40 발작 멈춤.
    07:58 양쪽 어깨를 떠는 양상.
    08:05 발작 멈춤.
    -> 오르필 투여
    11:34 양쪽 어깨를 떠는 양상.
    11:50 발작 지속 중
    -> 케프라 투여
    12:15 발작 멈춤.
    13:58 머리 좌우로 흔드는 양상.
    14:08 발작 지속 중
    -> 아티반 투여
    14:13 발작 멈춤. sedation된 상태지만 느리게 obey 가능함.
    18:54 양쪽 어깨를 떠는 양상.
    -> 산소 3L 비강캐뉼라 투여, 오르필 투여
    19:50 산소 중단하고 saturation 떨어지면 다시 시작하기로 함.
    22:31 양쪽 어깨 ~ 양 손을 떠는 양상, 머리를 좌우로 흔드는 양상.
    -> 아티반 투여
    22:41 발작 멈춤.
    6/6
    10:41 양쪽 어깨를 떠는 양상, 머리 좌우로 흔드는 양상.
    -> 아티반 투여
    10:52 발작 멈춤.
    17:15 오른쪽 어깨 떠는 양상.
    -> 케프라 투여
    17:20 발작 멈춤.

    출처 : 해피캠퍼스

  • 뇌출혈 NS케이스 환자사정부터 간호과정까지 진단 6개 뇌조직관류의 위험

    목차

    1. Clinical Data
    2. Medical Diagnosis
    3. Abnormal Data Lists
    4. Data Clustering & Preliminary Diagnosis
    5. Nursing Plan/Intervention/Evaluation
    6. 참고문헌

    본문내용

    General patient data

    사회정보
    직업 회사원
    교육정도 응답원치않음
    종교 불교
    결혼여부 유
    의료비 지불능력 유

    입원정보
    입원일시 2022/00/04 06:20
    입원경로 응급센터 *수술실 경유
    입원방법 눕는차
    병에 대한 인식 무
    주증상 Lt.side weakness, dysarthria
    입원동기 0/3 23:30 경 티비 보던 중 Lt.side weakness, dysarthria 관찰되어 ER 통해 OP 후 입원함
    수술명 Craniotomy and hematoma removal
    과거력 없음
    입원 및 수술경험 없음
    가족력 친형 – 이차성 고혈압
    최근 투약 상태 해당없음
    입원 시 활력징후 BP 211/122 BT 36.4 PR 114 RR 18

    건강습관
    흡연 유 양(갑/일) 1 기간(년) 30 흡연시작나이 15 (세) 마지막 흡연일 2022/00/23
    음주 유 종류 소주 횟수(월) 2회 기간(년) 30 동안

    수면상태
    수면시간 6 (시간/일) 수면장애 없음

    활동상태
    신체적기형 없다
    보조기구 다른사람과 보조기구 필요 사유 M/S: sedation

    건강 상태
    체중 82.0(kg)
    신장 180.0(kg)
    피부상태 정상
    식욕 보통
    연하곤란 없음
    욕창 없음
    체중변화 없음

    호흡기계
    호흡곤란 없음

    순환기계
    부정맥 없음 호흡곤란 없음 부종 없음 요흔 없음

    소화기계
    식욕 보통 소화불량 없음 배변 양상 정상 색깔 Normal 횟수 1일 1회 정도

    출처 : 해피캠퍼스

  • NS CASE Cerebral Arachnoid Cyst 환자사정부터 간호과정까지 피드백 수정본 지주막낭종 이론적 근거

    목차

    가. 자료수집
    A. 일반 정보
    B. 건강력
    C. 생활양식
    D. 신체사정
    E. 진단적 검사
    F. 투여 약물

    나. 간호과정
    A. 비정상적 자료 목록
    B. 자료 분류 및 예비 진단
    C. 간호진단 (우선순위에 따라 서술하기)
    D. Nursing Plan/Intervention/Evaluation

    다. 진단에 대한 자가학습
    A. Disease 질병
    B. Etiology 원인
    C. Signs & symptoms 증상
    D. Diagnostic tests 진단검사
    E. Treatment & intervention 치료 및 중재
    F. Complications 합병증

    라. 참고문헌

    본문내용

    A. 일반 정보

    – 성별: 남
    – 나이: 64세
    – 종교: 불교
    – 결혼유무: 기혼
    – 퇴원 후 갈 곳 : 자가
    – 사회복지서비스 필요 : 無

    B. 건강력

    – 입원일: 2022.00.07
    입원 경로: 외래
    입원 방법: 자차
    – 주 증상: Rt side weakness, OP
    – 진단명: Cerebral Arachnoid Cyst (지주막낭종)
    – 입원동기: Known Arachnoid Cyst (16’ Prof.000 Dx. OP)로 f/u CT상 cyst size 커져 op위해 adm
    – 과거력: 고혈압, 이상지혈증
    – LHP(hyperlipoproteinemia:고지방단백혈증) : 15‘ 000병원 Dx(+), PO(+)
    – HTN : 16’ 본원 CVC 000 Dx(+), PO(+)
    – 가족력 : None
    – 최근 투약 상태
    Norvasc (10mg) 1TA (원외) *01. 아침 식후 30분. PO for 30 Days.
    Glitamin SC (400mg) 1CA (원외) *02. 아침, 저녁 식후 30분. PO for 30 Days.
    Ginexin F (80mg) 1TA (원외) *02. 아침, 저녁 식후 30분. PO for 30 Days.
    – 최근 4주이내 항혈전제(항응고제/항혈소판제) 복용 無
    – 알레르기 유무 : 無
    – 흡연 : 현재 흡연
    – 음주 : 有 (주 5회 이상 음주) – 소주 0.5병
    마지막 음주일자 : 2022-00-06
    금단 증상 교육 : 금단증상 (미식거림/ 구토, 불안, 식은땀, 떨림, 초조함, 두통, 지남력과 의식변화, 촉각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에 대해 교육함
    – 입원시부터 현재(0/15)까지의 경과:
    Cerebral arachnoid cyst의 사이즈가 커진 것 발견하고 0월 8일 Burr hole 수술시행 하였음. 이후 Hematolic Anemia(용혈성 빈혈) 확인되었고, 지남력 현저하게 떨어져..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뇌출혈(Cerebral hemorrhage)_A+ CASE STUDY(간호진단 6개/비효과적 기도청결, 뇌조직 관류의 위험, 감염위험성, 피부통합성 장애, 영양불균형, 활동의 지속성 장애)

    목차

    1. 임상자료 수집
    2. 비정상자료 목룍
    3.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5. 개념도(Concept maps)
    6. 간호중재(진단&계획&평가)

    본문내용

    (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간호병동
    NICU
    환자 성명
    김OO
    나이
    77세
    성장과 발달
    자아통합 대 절망감
    성별
    M
    입원날짜
    2021.10.28

    *의학 진단명
    : Lobar intracerebral hemorrhage

    *입원사유(History of present illness)
    : P/I
    2021.10.28.
    PM 5:00 병원가야겠다고 보호자 얘기함.
    PM 5:30 왼쪽 팔다리에 힘이 빠져 119 불러서 오는중 Mental deterioration 발생하여 본원 응급실 내원.

    P/ex
    Mental : E1V1M1 -3/15 semi coma
    motor : uncheckable
    2021.
    05.27
    C/C
    : 1. dizziness
    : 2. disturbance. gait
    PI or PHx
    : 작년부터 말이 어둔하다. 당시 local에서 시행한 brain MRI: mild cerebellar atrophy
    머리가 간혹 띵하다.
    걸으면 휘청거린다.
    shuffling gait(+)
    1달전 내리막을 내려가다가 넘어졌다. 앉았다가 일어서면 어지럽다. + Lt.limb ataxia
    2021
    .06.03
    VOG:bilarteral saccade and pursuit impairment
    AFT : normal
    cerebellar ataxia로 work up
    2021.
    08.03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가 중심을 잃고 넘어져 local에 입원중. shoulder fx로 수술.

    출처 : 해피캠퍼스

  • 남부아프리카경제발전론 ) Answer based on Nunns article (Understanding the long-run effects of Africas slave trades) see chapter 2 of

    목차

    1. Answer based on Nunn’s article (Understanding the long-run effects of Africa’s slave trades)—see chapter 2 of the attached book (pages 36-48):
    2. How does Southern Africa differ from the rest of Africa when considering the association between weather, colonialism, and economic development? (20 points)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Commission Territories and Self-governing Colonies? (15 points)
    4. Choose whether True or False:
    5. Which three Southern African countries had the best economic performance from 1960 to 2020,
    based on the historical real GDP trend in the attached Excel file?

    본문내용

    a. Between 1400 and 1900, what slave trades occurred in Africa? Did the Southern African region (here considered as countries of the SADC region) participate in any of them? Briefly explain. (7.5 points)
    Ans) Between 1400 and 1900, the African continent experienced four major slave trades:
    1) Trans-Atlantic Slave Trade: This was the largest and began in the fifteenth century, where slaves were shipped from West Africa, West Central Africa, and Eastern Africa to the European colonies in the New World.
    2) Trans-Saharan Slave Trade: Slaves were taken from areas south of the Saharan desert and sent to Northern Africa.
    3) Red Sea Slave Trade: Slaves were taken from the inland regions of the Red Sea and shipped to the Middle East and India.
    4) Indian Ocean Slave Trade: Slaves were taken primarily from Eastern Africa and transported to the Middle East, India, or plantation islands in the Indian Ocean.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