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RDS

  •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호흡곤란증후군, Pneumonia 폐렴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대상자 사정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1. 정의
    • 정의: 폐포 모세혈관막의 손상으로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액 내 액체가 사이질을 통해 폐포 내로 투과됨으로써 폐포에는 액체로 차게 되고 그 결과 극심한 호흡곤란, 산소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저산소혈증, 폐신장성 저하 및 광범위한 폐침윤을 나타내는 증후군
    • 원인: 원인은 60가지 이상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다양한 원인에 의한 증후군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패혈증이며 직접적인 폐손상(흡인, 흉부 외상, 폐색전, 독가스 흡입, 익수, 산소 흡입으로 인한 독성, 방사선성 폐렴 등)과 전신 염증, 광범위한 중증 외상, 쇼크 시 나타나는 다장기 기능부전 증후군(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MODS) 이후 발생된다.

    2. 병태생리
    ARDS에서 폐포-모세혈관막이 파괴되는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염증반응과 면역체계 자극으로 중성구가 폐사이질에 부착함으로써 나타난다. 중성구는 생화학적, 체액성, 세포성 매개물질을 분비시켜 폐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 엘라스틴과 콜라겐 파괴, 미세 색전 형성 및 폐혈관 수축을 포함한 폐의 변화를 유발한다. ARDS의 병태생리 단계는 3단계로 구분된다.
    ① 손상 또는 삼출기: 폐손상 직후 첫 24~48시간이며 보통 1~7일 사이에 발생한다. 백혈구가 폐의 미세혈관에 부착하여 혈관 내피세포는 손상되고 모세혈관막의 투과성이 증가된다. 기관세포 주변과 간질의 울혈로 간질부종이 발생하며 간질액이 폐포상피를 통과해 폐포안으로 이동함으로써 혈액의 산소화를 방해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