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RDS

  • 호흡기계_ARDS_급성호흡기질환증후군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

    목차

    1) 서론_사례연구
    2) 문헌고찰
    3) 진단적검사
    4) 약물치료
    5) 간호진단 (5개)
    6) 간호과정 (2개)

    본문내용

    1) 서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폐포 모세혈관막의 손상으로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액 내 액체가 사이질을 통해 폐포 내로 투과됨으로써 폐포에는 액체로 차게 되고 그 결과 극심한 호흡곤란, 산소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저산소혈증, 폐신장성 저하 및 광범위한 폐 침윤을 나타내는 증후군이다.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은 50%이상이며, 그람음성균으로 인한 패혈증과 ARDS가 합병된 환자의 사망률은 70~90%이다.

    2) 문헌고찰 (원인, 증상, 응급처치-치료, 약물포함, 간호)

    ①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패혈증이며 직접적인 폐손상(흡인, 흉부외상, 폐색전, 독가스 흡입, 익수, 산소흡입으로 인한 독성, 방사선성 폐렴 등)과 전신 염증, 광범위한 중증 외상, 쇼크 시 나타나는 다장기 기능부전 증후군 이후 발생된다.

    ② 증상
    증상과 징후는 서서히 나타나며 초기에 호흡곤란, 빈호흡, 기침, 불안정의 증상을 보인다. 폐 청진상 정상호흡음 또는 미세한 거품소리가 산발적으로 들리고 동맥혈 가스분석에서 저산소혈증과 과호흡으로 인한 호흡성 알칼리증을 보인다.
    ARDS가 진행되면서 간질과 폐포 내 체액 축척과 함께 폐탄성이 저하되고 노력성 호흡을 보이며 폐기능 검사 시 기능적 잔기량이 감소된다. 빈맥, 발한, 의식 변화, 창백증과 청색증을 보이며 흉부 X-선 촬영 검사상 광범위한 양측성 간질과 폐포의 침윤을 보이고 심장성 폐부종이 아니기 때문에 폐모세혈관쐐기압은 상승하지 않는다.
    고농도 산소 공급에도 PaO2/FiO2의 비율은 200 이하로 저산소혈증은 개선되지 않는다. 저환기로 과탄산혈증을 보이고 ARDS가 악화되면서 양측폐는 경화와 침윤으로 인해 X-선 촬영에서 폐부위가 하얗게 나타나는 소견을 보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실습 사례연구(케이스스터디) RDS(신생아일과성빈호흡) 비효율적 호흡양상 (진단1 과정1)

    목차

    Ⅰ 서론 :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진단명
    2. 원인
    3. 임상증상
    4. 치료
    5. 간호

    Ⅲ 연구 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출생 시 신생아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즉각적인 생리적 변화는 호흡의 시작이다. 일시적인 빈호흡이 주 증상인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은 주로 제왕절개 출생 후 신생아 폐 속에 있는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생후 1-3일 정도 호흡곤란이 약하게 지속되다가 호전되는 신생아 질환이다. 출생 시 Apgar 점수는 양호하나 출생 후 4~5시간 내 빠른 호흡, 시끄러운 호흡, 흉골 견축, 비익호흡 및 경도의 청색증 등을 보인다. 보조적인 산소 공급만으로도 회복 가능하며 회복 후에도 큰 합병증 또는 후유증이 거의 없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심한 경우에는 드물게 기흉이나 호흡 부전이 올 수도 있어 세밀한 초기 관찰 및 간호가 중요하다.
    따라서 출생 후 TTN으로 인해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유○○ 산모의 아기를 대상으로 증상 완화와 건강 증진을 위한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을 작성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진단명: 신생아의 일과성 빈호흡(TTN;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출생 후 신생아 폐 속에 있는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생후 1~3일 정도 호흡곤란이 약하게 지속되다가 호전되는 병으로, 일시적인 빈호흡이 주 증상이다.

    2. 원인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던 폐액의 제거와 흡수가 정상보다 늦어져서 발생한다. 제왕절개로 출생한 아기, 분만 시 마취로 인한 과다 진정, 둔위분만, 저체중아, 당뇨병 산모의 아기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주로 만삭이 가까운 신생아에서 발병되나, 미숙아에서도 나타난다.

    3. 임상 증상
    출생 시 또는 초기에 일과성 빠른 호흡과 경한 호흡곤란이 보이며, 저농도 산소 치료로 수일 내 호전 가능하다. 출생 후 4~5시간 내 빠른 호흡(60회/min 이상), 시끄러운 호흡, 흉골견축, 비익호흡 및 경도의 청색증을 보인다. 호흡곤란 증상은 2~3일간 지속되나, 24시간 후 호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사례연구보고서, Case study

    목차

    Ⅰ. 문헌고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폐(Lung)의 위치, 구조와 역할
    3.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Ⅱ. 간호정보조사

    Ⅲ. 약물

    Ⅳ. 일반사정

    Ⅴ. 진단검사 및 임상검사 결과
    1. 혈액검사
    2. X-ray(chest PA)
    3. CT(chest)
    4. 동맥혈가스분석(Artery blood gas analysis, ABGA)
    5. 소변검사(Urinalysis)

    Ⅵ. 치료경과 및 계획

    Ⅶ. 간호진단과 간호과정(SOAPIE)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는 내과계 및 외과계 환자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이다. 패혈증, 폐렴, 외상과 흡인 등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와 연관된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호흡 곤란이 심해지면 이를 의심하여 예방하려는 여러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효과적인 예방법이 없으며 ARDS에서 회복된 생존자들은 대부분 질병 발생 후 1~2주 이내에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사망률이 30~40%에 이른다.
    이와 같은 높은 사망률에 따라 임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질병이므로 원인, 병태생리, 치료와 합병증 등을 꾸준한 연구를 통해 습득한 후 질병에 대한 이해를 높인 간호중재를 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증진시켜 질환자들의 빠른 회복을 도와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 폐(Lung)의 위치, 구조와 역할
    1) 구조
    – 가슴 속에 가운데 심장이 있고 폐는 오른쪽, 왼쪽에 각각1개씩
    – 오른쪽 폐: 크게 세 개의 폐엽/ 왼쪽 폐: 두 개의 페엽으로 나누어짐(우측 폐:정상 폐기능의 55% 담당)
    – 숨을 들이 쉴 때 공기는 코나 입을 통해 들어가서 성대를 지나 ‘기관’으로 먼저 들어감
    – 기관은 오른쪽 기관지와 왼쪽 기관지로 나누어지고 이 기관지는 더 작은 기관지로 갈라져서 폐와 이어져 있음
    – 폐: 폐포라 불리는 작은 공기 주머니로 구성.
    – 림프절: 원형 또는 완두콩 모양으로 세포 사이사이에 있는 물과 림프에 있는 미생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기관지를 따라 분포

    2) 역할
    (1) 호흡작용
    – 체외 공기로부터 산소를 혈액으로 받아들이고, 혈액 속의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배출하고 폐를 통해 공기 중의 산소가 혈액 내로 이동하고, 혈액순환을 통해 산소가 우리 몸의 모든 세포로 공급됨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간호과정1개(자세함)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
    3.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정의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폐포가 흡기 및 호기 시 풍선처럼 찌그러지지 않고 폐포가 팽창된 상태로 모양을 유지하도록 하는 물질인 계면활성제의 생성 또는 분비 부족으로 가스 교환 역할을 담당하는 폐포가 펴지지 않아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계면활성제는 폐포에서 표면장력의 저하와 폐포의 안정성 유지를 통해 폐포의 허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주된 작용이고 그 밖에 방어력 유지, 감염 방어 작용, 면역 반응 조절 기능 등을 한다.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되지 않으면 우리 몸에는 저산소증 및 고탄산가스혈증이 발생하는데,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심한 저산소증 및 산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원인
    대부분 미숙아의 폐 미성숙으로 인한 계면활성제 생성 및 분비가 부족한 것이 원인이고 일반적으로 RDS의 발병 위험인자에는 미숙아 자체, 분만진행 전의 제왕절개술, 신생아 가사, 남아, 당뇨병 산모의 아기, 쌍둥이중 둘째, 중증 Rh부적합증, 산모출혈, 산모의 과거 RDS 출산력, 저체온증, 저혈당증, 동맥관개존증, 저혈압 등이 있다. 그러나 발병 빈도가 낮은 경우는 산전 산모에게 steroid 투여, 조기 양막파수, 산모의 임신중독증, 산모의 고혈압증, 만성 자궁 내 스트레스, 만성 자궁 태반 부전증, 산모의 특수 약물 중독, 자궁 내 발율 부전 등이다. 최근 RDS 중증의 빈도 감소는 미숙아 출산을 예방하는 산전치료의 결과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실습 RDS 간호진단5+간호과정1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2. 문헌고찰(해부생리 및 질환)

    Ⅱ. 본론
    1-1. 간호사정(자료수집단계)
    1-2. 간호사정 (자료수집단계)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중재)
    5.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폐의 발달이 완성되지 않은 미숙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폐표면활성제의 생성 또는 분비의 부족에 의해 가스교환의 역할을 담당하는 폐포가 펴지지않아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사망하는 미숙아의 비율은 높으며 세이브더칠드런의 신생아사망3대요인중 하나로, 높은 사망비율을 차지한다. 하지만 출산과정과 출산후 적절한 조치를 취할시 살릴 수 있는 많은 신생아들이 있다고한다. 신생아 호흡부전 증후군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함으로 신생아의 건강을 회복시키고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통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모하기위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에 대해 작성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해부생리 및 질환)

    1) 정의

    정상 폐포의 내면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인한 호흡곤란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재태주수 34주이하의 미숙아, 제왕절개만출아, 당뇨병모체의 산아에게 많이 나타난다. 이것은 단일 질환으로서는 사망률이 가장 높으며 신생아기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시 체중이 작을수록 발생빈도가 높으며. 재태기간별로는 재태기간 28주 미만에서 60~80%, 32주~36주에서 15~30%, 37주 이후에서 5% 정도 발생하며, 만삭아에서는 드물다. 출생 체중별로는 1,500g 미만의 극소체중아에서 30~40%의 빈도를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전 출생아의 1~2%, 미숙아의 10~15%에서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 실습(NICU), RDS(호흡곤란증후군) CASE STUDY, 부족한 계면활성제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간호과정 1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기 신생아는 C.C grunting으로 출생 1시간 후부터 nasal flaring, tachypnea, chest retraction 보였다. 타 병원 입원하여 RDS 진단하에 surfactant 1회 사용 및 ventilator care 하였으나 증상 호전 없어 proper management 위해 ETT intubation된 채로 ambubagging 하면서 본원 ER 통해 에 입원하였다. vent 연결(SIMV 70% 50회 PIP 20 peep 4)하였으며 폐 부위 청진, ABGA 정도 모니터링 하며 계속해서 호흡 상태 지켜보았다. ABGA 결과 PH 7.269, PCO2 49.5mmHg, PaO2 42mmHg로 호흡성 산증과 함께 저산소증을 보였다. 적절한 산소공급과 흉부 물리요법 시행 후 RDS 징후, 증상 사정하였다. first meconium& first urine passed 하였으며 anti Tx 시작하였다. 약간의 blood 섞인 secretion 제법 나와 suction 하였으나 이후 SpO2 회복되지 않고 whole body cyanotic color change도 보여 다시 ambubagging 반복하여 시행하며 vent mode 조정하였다. Newfantan inhalation 시행 후 SpO2 97~98% cheked 되며 이후 99~100% 잘 유지되었다. 치료적 NPO 진행 중이며 NG tube 적용 중이다.
    대상자는 OO병원에서 2023년 2월 23일 13시 24분에 Repeat C/S으로 태어나 grunting 보여 본원 adm하였다. 산모 산과력 2-0-0-1이며 산모병력 2013년 S.A 1# 있었다. 재태연령은 38주 5일째로 태어났을 시 체중 3080g, 키 49.5cm, 두위 35cm 흉위 31cm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급성호흡곤란증후군, Pneumonia 폐렴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대상자 사정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1. 정의
    • 정의: 폐포 모세혈관막의 손상으로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혈액 내 액체가 사이질을 통해 폐포 내로 투과됨으로써 폐포에는 액체로 차게 되고 그 결과 극심한 호흡곤란, 산소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저산소혈증, 폐신장성 저하 및 광범위한 폐침윤을 나타내는 증후군
    • 원인: 원인은 60가지 이상으로 알려져 있을 정도로 다양한 원인에 의한 증후군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패혈증이며 직접적인 폐손상(흡인, 흉부 외상, 폐색전, 독가스 흡입, 익수, 산소 흡입으로 인한 독성, 방사선성 폐렴 등)과 전신 염증, 광범위한 중증 외상, 쇼크 시 나타나는 다장기 기능부전 증후군(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MODS) 이후 발생된다.

    2. 병태생리
    ARDS에서 폐포-모세혈관막이 파괴되는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염증반응과 면역체계 자극으로 중성구가 폐사이질에 부착함으로써 나타난다. 중성구는 생화학적, 체액성, 세포성 매개물질을 분비시켜 폐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 엘라스틴과 콜라겐 파괴, 미세 색전 형성 및 폐혈관 수축을 포함한 폐의 변화를 유발한다. ARDS의 병태생리 단계는 3단계로 구분된다.
    ① 손상 또는 삼출기: 폐손상 직후 첫 24~48시간이며 보통 1~7일 사이에 발생한다. 백혈구가 폐의 미세혈관에 부착하여 혈관 내피세포는 손상되고 모세혈관막의 투과성이 증가된다. 기관세포 주변과 간질의 울혈로 간질부종이 발생하며 간질액이 폐포상피를 통과해 폐포안으로 이동함으로써 혈액의 산소화를 방해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