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rray

  • 성인간호학실습 회복실 척추관 협착증 case study

    목차

    1. 일반적 정보
    2. 문헌고찰 ( 수술 및 질환에 대한 조사 )
    3. 회복실 입실 대상자 사정
    4. 회복상태 관찰
    5. 사용한 약물조사
    6. 경과 및 퇴실 시 환자상태
    7. 간호문제

    본문내용

    진단명
    Pre OP Dx : spinal stenosis on L3/4
    Post OP Dx : spinal stenosis on L3/4

    수술명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on L3/4, both

    마취종류
    General Anesthesia 전신마취(흡입+정맥)
    – 정의 : 마취제를 투여하여 중추신경기능을 억제함으로써 의식이나 전신적인 지각을 소실시키는 마취방법이다. 약체의 투여경로에 경로에 따라 흡입마취와 정맥마취로 나누어지는데 산소와 마취가스를 혼합하여 호흡기를 통해서 폐로 투여하는 경우를 흡입마취라고 하고, 정맥 내로 약물을 주사하여 의식을 소실시키는 경우를 정맥마취라고 한다.

    – 목적 : 두부, 경부, 상체, 광범위 복부수술 등에 사용된다.

    – 과정
    1) 마취 전 환자 평가
    : 이 과정의 목적은 수술에 앞서 환자가 정신적, 신체적으로 최상의 상태에 있도록 하는데 있다. 더불어 혹시 일어날 수 있는 위험과 그 대책에 대해 환자와 함께 의논함으로서 환자의 불안과 공포를 해소시키고 자연스럽게 마취계획에 대한 동의를 이끌어내기도 한다.

    2) 마취 전 투약
    : 수술 전 환자에게 전(前) 투약하는 주요한 이유는 환자의 진정 및 불안 해소, 혈역학적 안정의 도모, 위내용물 흡인 기회의 감소, 진통효과의 제공, 수술 후의 오심 및 구토의 방지, 그리고 감염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3) 기관 삽관을 위한 사전 평가
    : 마취제가 투여되고, 환자의 의식이 없어지면 기도폐쇄나 호흡억제가 쉽게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대부분의 전신마취에서는 일반적인 기도관리의 한 방법으로 기관 삽관을 시행한다.

    – 방법
    1) 흡입마취 : 가스나 액체 마취제를 기체로 만들어서 마스크와 기관내관을 거쳐 폐포를 통해 신체에 흡수시키는 방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교양 수업 ) square kilometer array(SKA), Breakthough Starshot(스타샷 프로젝트) 중 하나의 주제를 선택해서 레포트 작성

    목차

    1, 서론

    2. 본론
    (1) 우주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
    (2)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
    (3) 전파망원경
    (4) square kilometer array(SKA)
    1) square kilometer array(SKA)란 무엇인가?
    2) square kilometer array(SKA)의 의의
    3) square kilometer array(SKA)의 효과
    4) square kilometer array(SKA)에 거는 기대

    3. 결론

    4. 참고 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 서론
    우리가 터를 지어 살고 있고 앞으로 살아갈 지구에 대해 많은 걸 자신 있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정말 중요한 삶의 원천이며 알아야 할 곳인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더 놀라운 사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라는 행성과 그 크기와 특성을 달리하고 있는 여러 행성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우리는 이를 큰 우주라고 부르고 우주라는 공간에서 보면 우리 인간은 너무나 작은 존재라는 것이다.

    2. 본론
    (1) 우주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
    이렇게 경계나 끝. 안과 밖의 개념이 없는 말 그대로 암흑의 공간, 미지의 세계인 우주에 대한 관심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현재 인간의 이기심과 욕심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로 인해 잘 모르는 곳이지만 지구의 이웃 행성들을 조사하고 탐사를 시도하는 것은 생존을 위한 수단이든 미지를 향한 호기심이든 계속돼 왔었다. 지구에서 사람의 손길이 비교적 적게 닿은 남극으로의 탐사가 나라별로 치열하게 계속되는 이유와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