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aspiration pneumonia

  • 성인간호학실습_Pneumonia(폐렴)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2. 본론
    1) 건강사정
    2) 약물
    3) 진단검사 소견
    4) 치료경과 및 계획
    5)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본 사례는 M/93 (r/o COVID)폐렴을 진단으로 가진 환자이다. 폐렴은 2020년도 기준 인구 10만 명당 폐렴 사망자 43.3명으로 사망원인통계 3위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의 2021년 생명표에 따르면 65세 이상에서 폐렴이 주요 사망원인으로 사망할 확률에서 평균 9.85%를 나타냈고 65세 남성에서는 암 다음으로 폐렴이 사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연령만을 보지 않더라도 남녀 모두 전 연령대에서 폐렴에 의한 사망확률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폐렴이 암, 심장 질환과 같이 3대 사인에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폐렴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해당 사망원인으로 사망할 확률이 높아지는데 현재 국내 기대수명이 OECD 평균보다 남녀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하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서 최근 5년간 폐렴 진료 환자를 보면 2017년 1,380,730, 2018년 1,345,780, 2019년 1,413,932, 2020년 873,663, 2021년 513,065이다. 코로나가 발생하게 되면서 증가하던 폐렴 환자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활동으로 2020년부터 감소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와 중증 폐렴과 같은 침습성 폐렴 구균성 질환이 동시에 발병할 경우 침습성 폐렴 구균성 질환 단독으로 감염되었을 때와 비교하여 치명률이 약 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두 질환의 예방은 더욱 더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기에 코로나 폐렴 사례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여 폐렴에 대해서 이해하여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진단을 세워보고 진단에 맞게 대상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간호중재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 정의
    폐렴은 폐(허파)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공기주머니)에 발생한 염증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ICU case study A+ HF(Heart failure) 심부전, 실제 간호사 작성

    목차

    1.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2) 현질병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시오.
    3)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결과를 해석하시오.
    4)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을 파악하시오.
    5) 대상자의 기타 치료 및 간호 (I/O check, special V/S, education, pre,post op care등)
    6) 추가 검사 결과

    2. 간호진단 도출 ( S.O.A.P.I.E )
    1. 심장기능 악화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2. 폐기능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본문내용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하시오.

    성명: 김아무개
    성별: 남
    연령: 79
    병록번호: 1234567890
    주소: xx
    전화번호: XXXX
    입원일자: 2024년 X월 X일
    입원경로: ☐ 병실  응급실
    정보제공자: 아내
    C.C): Mental change
    P.I) : asthma, HFrEF/RV failure/moderate MR/severe TR, a-fib RVR
    : COPD
    : bronchiectasis
    : HFrEF[RV failure/moderate MR/severe TR, a-fib RVR]
    + R/O pulmonale, AKI, hepatic congestion

    (1) 교환
    ① 의식수준
    □ alert □ drowsy  stupor □ semicoma □ coma

    ② 활력증후
    체온 37.6 ℃ 측정부위 이마
    호흡 20 회/분 호흡을 위한 보조기구: ☐무  유 ventilater
    맥박 142 회/분 측정부위 인공심장박동기 착용여부  아니오 ☐ 예
    혈압 99/45 mmHg

    ③ 영양
    건강식품의 섭취  안한다 ☐ 한다
    식욕상태 ☐ 왕성 ☐ 보통  식욕부진
    식사종류 ☐ 일반식 ☐ 금식 ☐ 특별식이
    음식물섭취 경로 ☐ 구강  위관 ☐ 위루
    좋아하는 음식
    싫어하는 음식

    출처 : 해피캠퍼스

  • ICU case study aspiration pneumonia A+ 실제 간호사 작성

    목차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도출 ( S.O.A.P.I.E )

    본문내용

    2) 현질병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시오.

    (1) 현병력
    ① 질병 발생부터 병원에 오기까지 경과 (history of present illness)
    24.X.X일 상환 lung cancer with bone lymph node metastasis 있으신 분으로 내원 1일전 발생한 dyspnea에 대하여 OO병원에서 R/O aspiration pneumonia, severe dehydration 및 hypercalcemia 진단 받고 치료 받다가 ICU care를 위하여 본원으로 의뢰됨

    ② 현 시점에서 주호소(chief complaints) : desaturation

    <중 략>

    단기목표
    대상자는 2주 내에 새로운 피부손상이나 손상부위의 악화가 되지 않는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3개월 내에 피부 손상 부위 1단계 이상 줄어들고 회복된다.

    1.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한다. (supine → Rt. lateral → Lt. lateral → supine)
    2. 매 근무교대 시 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상태변화가 있을 시 보고한다.
    3. heel, 뼈 돌출부위를 보호한다.
    4. air mattress와 스펀지 pillow를 적용한다.
    5. Back care와 massage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6. 시트에 주름이 없이 관리하고 침구 또는 방수포가 젖었을 때 즉시 교환한다.
    7. 피부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관리한다.
    8. 억제대 착용 할 경우 착용 부위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침구 교환 시 같이 확인하며 억제대를 잠시 풀어 바람이 통하게 해준다.
    9. 매일 아침,저녁 2회씩 욕창 부위 드레싱을 해준다.
    10. 체위변경 시 옷에 구김이 있으면 원인으로 작용 할 수 있기 때문에 펴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세균성폐렴(Bacterial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목차

    1) 간호력 (해당 기관의 nursing history form 참고)
    2) 질병의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 간호사정 (치료적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에게서 수집할 것)
    4) 입원중의 처치
    5) 수술방법(해당 환자) 및 입원 후 경과기록
    6) 의학적 치료 및 경과
    7) 기타 사정자료 (활력징후, 낙상사정도구, 욕창사정도구 등)
    8) 간호진단

    본문내용

    1) 간호력 (해당 기관의 nursing history form 참고)
    (1) 일반정보
    환자이름: 병실: 나이: 80 성별: 남 / 여
    결혼상황: 기혼 직업: 무직 종교: 무교 학력: 대졸
    입원일: 23.5.10면담일: 23.5.10 정보제공자: 며느리
    • 진단명 Bacterial Pneumonia 수술명 수술날짜 수술후 기간
    • 직업 무직 경제수준 (상, 중, 하)
    • 결혼상태 기혼
    • 건강습관(술 없음 담배 하루 1갑/ 40년 수면장애 유 /무 )
    • 병식유무 없음 및 심리적 상태 불안

    (2) 병력
    • 입원시 주증상(Chief Complaints) Dyspnea

    • 현병력(Present illness) : 입원하기까지의 경과, 입원 후 사례환자로 선정되어 만나게 되기까지 과정
    ① 현재 주증상(Chief complaints) : Dyspnea
    ② 이 증상의 발현과 질병의 진행과정: 내원3일전부터 호흡곤란이 있다가 내원 당일 갑작스러운 악화로 119를 통해 ER로 내원하여 VNP 1L/min inhalation하여 입원함
    ③ 증상완화를 위해 취한 해결책: VNP 1L/min inhalation, sputum을 suctuion 후 VEST적용

    출처 : 해피캠퍼스

  • 폐렴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 내용 많음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간호사례

    1. 문헌 고찰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Pathophysiology)
    3) 증상(Symptom) 및 징후(sign)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6) 재활(Rehabilitation) 및 건강교육(Health education)
    2. 일반적 간호정보
    3. 건강관련 정보
    4. 신체 사정
    5. 기타 사정
    6. 진단적 검사결과
    7. 약물치료 현황
    8. 기타 치료
    9. 간호과정

    본문내용

    폐렴은 우리 주변에 아주 익숙한 질병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08년에는 사망원인이 9위였지만, 해마다 꾸준히 증가를 하며 2018년에는 결국 뇌혈관질환을 제치고 3위가 되었다. 한 기사를 보면 2017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최근 10년 새 폐렴 사망률은 무려 302.9%가 증가했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은 다들 낮다고 생각하겠지만 생존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진 폐암보다 오히려 높다. 지난 해 기준 폐렴의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37.8명이었다. 폐암은 35.1명이다. 그리고 한국은 OECD 36개국 중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가장 낮은 수준에 속하지만 폐렴 사망률은 36개국 중 2번째로 높았다. 이처럼 우리에게 폐렴은 참 익숙한 질환이지만 결국 사망률은 폐암보다 높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발병하는 질환이고 사망률 또한 높은 편에 속한다. “하지만 우리에게 폐렴은 왜 이렇게 익숙할까?“. 그 이유는 증상이 일단 감기증상이다. 심지어 노인의 경우 무증상인 경우도 많다. 그리고 또한 감기증상이니 많은 이들이 방치하다가 늦게 입원하게 된다. 하지만 폐렴은 합병증 또한 많이 발생하지만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면 합병증 발생률도 많이 감소를 하게 되고 예방도 용이하다. 즉 잘 알기만 한다면 얼마든지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한국통계청.2018)

    그리고 현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과 더불어 폐렴의 연관성도 높아져서 폐렴치료의 중요성이 더욱더 대두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일명 코로나 폐렴이라고 불리며 많은 코로나 확진자가 폐렴에 걸렸고, 사망자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Pneumonia을 가진 환자의 Case study를 통해 호흡기 문제를 가진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의 적절한 지지방법을 알고, 환자와 그들 가족이 요구하는 간호문제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효과적인 질적 간호를 통해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환자의 회복을 도모하고, 특히 노인에게서 취약한 폐렴의 합병증과 그 위험성, Pneumonia에 관한 지식을 얻고 그리고 호흡기계의 ABGA에 대해 관한 지식도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폐렴 케이스스터디 (pneumonia casestudy) (비효율적 기도청결, 체액부족, 피부통합성장애)

    목차

    I. History Taking
    1. 현재 주 호소 (chief complaints)
    2.현병력
    3.과거력
    4.가족력(3대 포함, 사망원인, 질병력, 연령 등)
    5.간호력

    II. Physical Examination(신체검진)

    III.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투약, 처치
    1. 임상검사( 검사내용 및 정상범위, 결과 해석, 정상 범위 벗어난 자료에 표시
    2. 진단검사(방사선검사, 핵의학 검사, 심전도검사, 내시경 검사 등)
    3. 약물
    4. 특수치치 및 처치(각종 tube 포함)

    IV. 간호과정
    1. 문제 목록(Problem List)
    2. 문제 확인 및 해결 과정(간호과정 적용)

    V. Self-Study: 사례 대상자 질환, 간호문제에 대한 study (병인, 증상, 경과, 치료 및 간호)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치료
    6.경과
    7.폐렴 간호

    본문내용

    정의
    :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세기관지 이하 폐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발열, 기침, 가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흉부 X-ray 사진에서 폐렴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확인된다.

    +) 폐렴은 전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사망 원인이며 종종 폐렴은 다른 심각한 만성 질병이 있는 환자들에서 사망을 야기하는 마지막 질병이 된다.
    따라서 독감 및 그 후유증인 세균성 폐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인플루엔자 백신의 매년 접종이 적극 추천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고령자와 심한 폐렴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 즉 만성 심폐 질환자, 신장 및 간 질환자, 종양 환자, 비장 적출술을 받은 환자들은 폐렴구균 백신이 추천되고 있다.

    원인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원인이 되며 드물게는 화학 물질이나 구토물 같은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폐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증상
    : 기침, 가래, 호흡 곤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가래 색깔이 노랗거나 탁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으며 발열, 오한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경미한 폐렴의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피로감, 두통, 설사와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진단
    : 배양 검사의 결과를 통해 진단할 수 있지만 각 개인에 따라 증상이 다른 경우가 존재한다. 균 배양이 되면 정확하게 진단이 되지만, 균 배양은 폐렴의 50% 정도에서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며 객담 검사, 혈액 검사, 혈청 검사, 흉막액 배양 검사 등이 시행되기도 한다.

    치료
    : 주사 혹은 경구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과
    : 폐렴이 진행되면 패혈증이나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국소적인 합병증으로 흉수, 농흉, 폐농양 등이 생길 수 있다. 모든 폐렴 환자에게 합병증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위험군 환자는 합병증이 생길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실습, 중환자실,폐렴,pneumonia간호과정2개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정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 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며, 영아와 어린 아동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폐렴은 원발성이거나 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병인은 직접 폐로 흡입하거나 혈류를 통해 들어온다.
    2) 원인과 분류
    흔한 원인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이고, 드물게 곰팡이에 의한 감염이 있을 수 있다.
    원인 병원체에 따라서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비정형균, 결핵균, 리케치아, 기생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폐렴 이외에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의해 비감염성 폐렴이 발생할 수도 있다.

    세균

    그람 양성 구균
    폐렴구균, 황색 포도상구균, 렌서 구균
    그람 음성 구균
    Branhamella catarrhails
    그람 음성 간균
    폐렴간균, 인플루엔자균, 녹농균, 레지오넬라균
    혐기성균
    Bacteroides fragills, Peptostreptococcus
    특수한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진균
    칸디다(Candida), Aspergillus, Cryptococcus
    바이러스
    호흡기계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 바이러스,
    라이노 바이러스
    비호흡기계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수두, 대상포진),
    사이토메가로 바이러스
    클라미디아
    Chlamydia psittaci, Chlamydia pneumonia, Chlamydia trachomatis(신생아의 산도 감염)
    원충
    Pneumocystis Carinii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ICU 중환자실 pneumonia 폐렴 실습 케이스 보고서

    목차

    Ⅰ.인적사항

    Ⅱ. 대상자 사정

    Ⅲ. 관련검사
    1. 진단검사 자료
    2. 치료적 자료

    Ⅳ. 질병스터디

    Ⅴ. 간호과정 기록지

    Ⅵ. 출처

    본문내용

    Ⅰ. 인적사항
    진단명 : Heart failure, Pneumonia(주진단), Artrial fibrillation,Angina pectoris
    정보제공자 : 배우자

    Ⅱ. 대상자 사정
    영역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내원 이유/주호소(C/C) : dyspnea, sputum (호흡곤란, 가래)
    과거력 : 입원 및 수술경험 : 5년 전 Lung cancer 수술, 2년 전 재발 CRRT PCI 올해 폐렴 치료를 위해 입원, 퇴원 무렵 RT Hip FX 발견하여 수술 이후 심장약 복용
    기타 질병, 건강문제 : MRAB, 고혈압
    현재의 질병에 대한 자기관리 : 무
    간호, 치료에 대한 기대 : 긍정적
    전반적 대상자 상태 : 양호 불량 √ 만성적인 문제 √
    질병과 관련된 정서 상태 : 안정적
    흡연 : 알 수 없음
    음주 : 알 수 없음
    알레르기 : 예 내용 아니오 √
    건강관리 방법 : 약물 복용

    약명

    횟수
    이유
    릭시아나정
    30mg
    1회
    심재성 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의 치료
    플래리스정
    75mg
    1회
    허혈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말초동맥성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의 개선
    네비스톨정
    2.5mg
    1회
    1. 본태성 고혈압
    2. 만성 심부전 (경증~중등증의 만성 안정형 심부전이 있는 70세 이상 노인 환자에서 표준치료시 보조치료)
    복용 약물(입원 전) : 폐암 med, IP 및 IC med

    영역 2. 영양 (Nutrition)
    신장 : 167 cm 체중 : 75kg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 비효과적 기도 청결, 고체온, 욕창

    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및 해석
    6. 진단검사 및 특수치료
    7. 현재 투여약물
    8. 간호과정

    본문내용

    1. 기관 내 분비물 및 자기 객담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2. 세균감염으로 인한 폐의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3. 복합요인(장기간 부동자세, 연령, 당뇨, 의식장애)와 관련된 성인 욕창
    #1 간호진단: 기관 내 분비물 및 자기 객담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1 간호진단: 기관 내 분비물 및 자기 객담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주관적 자료
    ”보호자: 가래를 혼자 못 뱉어서 흡인기를 사용해서 빼“ (5/10)
    ”보호자: 거의 하루종일 잠만 자“ (5/10)
    ”보호자: 숨 쉴 때마다 목에 뭐 있는 거 같은 소리가 나“(5/10)

    객관적 자료
    – 진단명: Aspiration pneumonia (5/1)
    chest X-선 촬영:both lungs 병변이 뿌옇고 consolidation 양상 보임 (5/1)
    – 가래를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 뮤테란 주 6ml (acetylcysteine)을 1일 4회 IV로 투여 중임 (5/1~5/10)
    – 가래를 묽게 하여 배출을 돕는 뮤코미스트 액 800mg/4ml를 1일 4회 nebulizer를 사용하여 흡입 중임 (5/1~5/10)
    – O2 4L/min VNP (5/1~ 5/8), O2 2L/min VNP(5/9~5/10)
    – 기관지경 검사 결과: 다량의 점액농성의 분비물이 관찰됨 (5/3)
    – 가래 그르렁거리는 소리 들리나 자가 배출 안 되며 oral suction 통해 진득하고 노란 가래가 다량 배출됨 (5/7~5/9)
    – 하루종일 기침을 거의 하지 않고 잠만 자며 기침을 해도 효과적으로 분비물이 배출되지 않는 것을 관찰함. (5/10)
    – oral suction 시 suction tip이 2번 막힐 정도의 thick한 가래 중량 흡인됨 (5/10)
    – GCS: E2 V1 M3로 반의식 상태임 (5/10)

    목적
    기침을 통한 효율적인 객담 배출을 통해 기도 청결이 유지된다.

    평가기준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그르렁거리는 가래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