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위내시경(EGD)
2. 대장내시경(CFS)
3.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PEG)
4. 기관지내시경(BFS)
본문내용
1. 위내시경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1. 검사 목적
① 입으로 내시경 기구를 삽입하여 상부 위장관(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면서 염증이나 종양 등을 진단
② 검사의 목적뿐만 아니라 이상이 있는 부위의 조직검사를 시행 할 수 있으며, 병변의 절제도 가능하고 출혈이 있을 시 지혈도 가능하여 치료적 목적으로도 시행
2. 적응증
① 식도 및 위내출혈이 의심되는 질병(ex. 간경화증)
② 상부위장관의 궤양과 암의 감별진단
③ 식도 내 손상, 급/만성 위염 진단
④ 소화기계 증상; 연하곤란(dysphasia), 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 통증 등이 있을 때
3. 검사 방법 – 소요시간; 약 10~15min
① 시야 확보를 위해 위장 내 기포제거제와 위장 운동 억제제를 투약
– 기포제거제: 위 내의 기포와 위점막에 달라 붙어 있는 점막 제거 위해, 검사 10~20분 전 복용
– 위장운동억제제(부교감신경차단제): 타액 및 위액 분비와 위장관 연동 운동 억제를 위해, 검사
10~15분 전 IM or 5~10분 전 IV로 주사
② 내시경이 삽입되는 부위의 국소마취를 시행
– 구역반사(gag reflex)와 연하반사(swallowing reflex)를 억제하고, 인후부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리도카액 등으로 국소마취
③ 수면 내시경의 경우 진정제를 투약
④ 왼쪽으로 누운 상태(Lt. lateral position)에서 검사를 진행
⑤ 구강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공기를 주입하고, 위장관을 확장시킨 후 병변 관찰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