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Bothner-By equation

  • blood culture(혈액배양검사) 및 소변검사(UA)

    목차

    1.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2. 소변 배양 검사(U/A Culture)

    본문내용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환자가 새로운 발열이 생겼을 때 24시간이내 반드시 시행해야하는 검사
    단, 항생제의 투약전에 시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

    정의와 목적
    -혈액 내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혈액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ex) 원인 불명의 열이 갑작스럽게 날 때
    오한, 백혈구수 상승 등 패혈증 징후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
    -환자에게 감염을 일으킨 원인균을 없애기 위해 아무 항생제나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항생제를 투여하여 환자를 치료하기 위함.
    -혈액 중에 세균 또는 진균이 있는지를 알아내어 균혈증 또는 패혈증의 원인균, 그 원인균에 감수성인 치료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

    준비물
    일반: 드레싱 세트 2ea, 구멍포, 20cc syr 2개, 23G needle 2ea, 알콜볼, 헥시딘용액볼, 토니켓, 멸균거즈, 멸균장갑, culture bottle 부위 당 2개(호기성, 혐기성)

    적용순서
    1. 채혈부위 혈관 선정
    2. 토니켓을 묶고 멸균장갑 착용
    3. 피부소독

    출처 : 해피캠퍼스

  • A+ 유기화학실험1 < Wittig-Horner Reaction > 레포트

    목차

    1. Title

    2. Purpose

    3. Theory
    3.1 Wittig reaction & mechanism
    3.2 Stereochemistry of Witting reaction
    3.3 Wittig-Horner reaction(Horner-Wadsworth-Emmons Olefination) & mechanism
    3.4 Karplus Equation & Bothner-By equation

    4. Reagents & Apparatus
    4.1 Reagents
    4.2 Physical properties of chemical reagents
    4.3 Apparatus
    4.4 Apparatus set-up

    5. Procedure

    6. 실험 시 주의해야 할 사항

    7. Data & Results
    7.1 색 변화 관찰
    7.2 결정 사진 및 Yield
    7.3 1H-NMR Spectrum
    7.4 TLC 결과

    8. Discussion
    8.1 반응에 대한 분석
    8.2 실험 과정에 대한 분석
    8.3 1H-NMR spectrum에 대한 분석
    8.4 TLC 결과에 대한 분석
    8.5 Yield 및 purity에 대한 분석

    9. Conclusion

    10. References

    본문내용

    9. Conclusion
    이번 실험에서는 phosphorus ylide를 합성한 후 Wittig-Horner reaction을 진행시켜, aldehdye로부터 alkene을 합성하였다. 반응 과정에서 용액의 색이 무색, 노란색, 갈색 순으로 변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흰색의 결정을 얻을 수 있었다. 이후 얻은 product에 대하여 3가지 staining 방법으로 TLC를 진행하였다. 254nm UV에서는 SM과 Pr이 모두 잘 관찰되었고, 365nm UV에서는 Pr이, p-anisaldehdye staining에서는 SM이 진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1H-NMR spectrum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합성한 product의 stereochemistry를 알 수 있었다. vinyl H의 3J coupling constant를 계산하여, 이들의 관계가 trans임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합성한 product이 (1E, 4E)-1,4-diphenyl –1,3-butadiene임을 알 수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