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Brain MRI

  • Art,Brain뇌과학으로예술이해하기(한양대) 기출문제 족보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다음 중 맞는 답을 모두 고르시오. 1 4 5
    -미적 경험은 문화와 시대적 맥락에 따라 변할 수 있고 내가 가진 지식이나 전문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뇌는 컴퓨터와 비슷해서 세상의 신호를 물리적으로 인지하고 해석하기에 같은 시각,청각 자극에 대해서는 모든 뇌가 동일하에 반응한다.
    -미적 경험은 오직 우리의 뇌가 경험하는 물리적 신호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모든 뇌는 세상의 신호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인지하고 해석한다
    -미적 경험은 우리의 뇌가 경험하는 신호가 어떻게 인지되는지에 따라서 그리고 어떠한 감정을 일으키는지에 따라서 결정된다.

    2 맞지 않는 답을 모두 고르시오 2 3 5
    -뇌의 청각 영역으로 전달되어야 할 신호가 잘못되어 시각 영역으로도 전달되면 소리를 들을 때 색깔이 보이거나 시각적 경험이 수반되는 공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우리가 소리를 들을 때 신경세포는 뇌 바깥쪽에서 뇌 안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만 신호를 전달한다.
    -시각신경이 끊겨 있어 태어날 때부터 눈이 보이지 않던 사람이 성인이 된 후에 수술을 받아 시각신경의 연결성을 회복할 수 있다면 다시 눈이 보이게 되어 완벽히 정상적인 시각 능력을 복원할 수 있다.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을 통틀어 모든 감각 신호가 신경세포 단위에서 전달되는 방식은 뇌안에서 동일하다.
    -시각신경을 통해 뇌의 시각 중추로 전달되는 감각 신호와 청각신경을 통해 뇌의 청각 중추로 전달되는 감각 신호는 신경세포 단위에서 다른 신호라서 명확히 구분된다.

    3 다음 중 뇌과학적으로 예술적 경험을 연구할 수 있는 측정 신호에 해당하지 않는 것? 4
    -피부 전도도

    출처 : 해피캠퍼스

  • 2023-2 Art&Brain뇌과학으로예술이해하기(한양대) 교안정리 및 기출문제, 퀴즈 족보. 장동선

    목차

    없음

    본문내용

    1주차
    -플립러닝
    BJohann sebastian bach 음악의 아버지. 예술가의 능력, 스킬은 유전되는가? 유전은 아니다. 성격이나 기질은 유전됨. 가정환경도 중요함. 태아에서부터 소리를 듣는다.
    대가의 창작 능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반복적 학습. 습관. 정해진 시간에 창작을 하는 루틴.
    다양한 경험도 중요. 다양한 스타일을 공부. 모차르트는 유럽 전역을 여행. DMN(멍 때릴 때)랑 다른 거랑 스위칭이 잘 되는 사람이 창의적. 연구에서 벗어나서도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사람. 무에서 유가 아니라, 많은 것을 섭렵하고나서 그 안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
    예술가의 뇌. 유전되는가? 어느정도는 그럴 수 있지만, 태어나기 전과 후 그리고 환경, 집안의 분위기, 어릴 때부터 배운 것이 큰 영향.

    2주차
    -플립러닝
    바흐의 어린 시절:
    새어머니, 부모를 잃음. 남을 위한 결과물. 1인칭이 아니라 3인칭으로 바라볼 때 객관성을 지니고 스트레스나 압박이 풀림. 신이 주신 선물.
    반골 기질과 창의성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을까? 베토벤도 윗사람에게 굽히지 않았음. 권력에 공손하지 않고 할 말은 하는 사람. 뇌 과학적으로 있을 수도 있음. 새로운 길. 본인의 삶의 태도에서도 기존의 시스템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성이 나타남. 반골 기질이 있는 사람이 더 오래 살고 건강하고 잘 먹고 행복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음. 세상에 저항하는 사람, 자기 결정권이 강하고 스스로 책임을 지면서 목소리를 내는 사람이 건강이나 행복 생산성에도 영향을 주더라.

    -2주차 오프라인
    신경미학-semir zeki: 뇌과학의 방식으로 미학을 연구. 무엇을 뇌가 아름답다고 느끼는가? 연구. 미적 경험에 관여하는 것은 3가지.
    1 지식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연습 맥락 문화 등에 따라서 다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Brain MRI로 판독 가능한 질환

    목차

    1. MRI
    2. BRAIN mri
    3. T1-weight imaging(t1 강조 영상)
    4. 정상 T1-hyperintensity
    5. T2—weight image(t2 강조 영상)
    6. Flair
    7. Diffusion weighted image(dwi)
    8. Case에서 추론한 가설들

    본문내용

    MRI

    조직감별 능력 우수
    해부학적 단면과 유사한 영상
    스캐너 > 컴퓨터 > 재구성

    BRAIN mri

    T1WI, T2WI, FLAIR image 등
    뇌의 전반적인 해부학적 구조, 질환 유무, 병변 관찰

    염증과 붓기
    구조적 문제
    비정상적인 성장 또는 종괴
    유체 누출
    출혈(뇌 내부의 출혈)
    백질 질환

    <중 략>

    T2—weight image(t2 강조 영상)
    Causes of T2 hypointense signal
    Dense cell : lymphoma
    Blood product : acute/early subacute ICH, hemosiderin
    Melanin
    Flow void
    Mineralization / calcification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