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ec

  • A받았고 교수님 칭찬) 모성간호학 분만실 C/sec 대상자 Case 간호과정 간호진단(점수 첨부함.)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정보
    3. 간호문제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의
    제왕절개술(cesarean section)이란 산모의 배와 자궁의 앞 벽을 절개한 후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방법입니다. 대개 척추마취나 전신마취 후에 시행하며 수술시간은 40분-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제왕절개술이 필요한 흔한 원인은 태아가 둔위(엉덩이가 산도 입구에 있는 경우)이거나 과거에 제왕절개술 혹은 자궁근종 절제술을 받은 경우입니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가별로 매우 큰 편차를 보이는데, 우리나라는 최근 수년간 40%를 넘을 정도로 매우 높은 편입니다. 제왕절개술이 자연분만보다 안전할 것으로 생각하는 산모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출혈을 포함한 다양한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고 신생아의 호흡 문제도 더 흔합니다. 따라서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제왕절개술이 더 안전한 분만 방법은 아닙니다.

    치료의 적응증
    제왕절개술은 산모나 태아의 안전을 위해 시행하는 수술로, 대개 질식분만(자연분만)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에 필요합니다. 제왕절개술의 가장 흔한 4가지 이유는 과거의 제왕절개 분만, 난산, 태아의 위치 이상(둔위 등), 태아곤란증으로 전체 제왕절개술 중 85% 이상이 이들 적응증에 의한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산모가 제왕절개 분만을 원해 시행하는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왕절개술의 적응증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전의 제왕절개술, 자궁근종 제거술 등 자궁 수술로 자궁파열 위험이 있는 경우

    2. 난산으로 인한 분만 진행 부전

    3. 태아의 위치 이상(둔위[태아의 엉덩이가 산도 위에 있는 경우] 혹은 횡위[태아가 옆으로 누워있는 경우])

    4. 태아곤란증(태아의 상태가 좋지 않아 급히 분만이 필요한 경우 등)

    5. 전치태반(태반이 산도의 입구를 덮고 있는 경우)

    6. 태아의 안녕이 위협받는 경우

    · 제대 탈출(탯줄이 자궁 밖으로 먼저 탈출한 경우), 태반조기박리 등의 응급상황

    · 활동성 생식기 헤르페스 감염 산모

    출처 : 해피캠퍼스

  • 제왕절개 C/SEC 모성간호학 케이스, 간호진단 3개 및 간호과정 7개/8개/6개

    목차

    1. 일반사항
    2. 동거가족
    3. 과거 건강력
    4. 과거 산과력
    5. 현재 산과력
    6. 분만관찰 기록지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진단
    실제적 (HOD#1, POD#0) pm. 12:00
    분만 통증: abdomen

    간호목표
    1. 장기 목표
    Ÿ 대상자는 퇴원 시에 NRS 점수를 1점 이하로 유지한다.
    Ÿ 대상자는 퇴원 시에 V/S을 정상범위로 유지한다.
    2. 단기 목표
    Ÿ 대상자는 분만 과정에서 NRS 점수가 7점 이하를 넘어가지 않는다.

    간호계획
    ① 30분마다 대상자의 V/S를 측정한다. : V/S은 대상자의 상태를 반영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통증으로 인해 V/S이 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② 30분마다 PQRST로 대상자의 통증의 부위, 양상, 강도, 빈도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사정한다.
    : PQRST는 환자의 통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 및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각 구성 요소는 통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다각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환자에게 최상의 돌봄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③ 대상자에게 epidural anesthesia를 시행하고 1시간마다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 진통제로 통증을 경감할 수 있지만, 대상자의 체질에 따라서 효과의 정도가 다르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④ 대상자에게 비약물적 통증 조절 방법(이완요법: 심호흡)에 대해 교육한다.
    : 심호흡은 신체적 · 정신적 평온 상태를 유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줄여서 통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⑤ 쿠션과 베개를 사용하여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 통증은 근육의 긴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완 요법 및 편안한 자세는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근육의 혈액 순환을 증가시킨다. 이는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⑥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편안한 환경은 신체적 · 정신적 평온 상태를 유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줄여서 통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