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분석 및 첨부 2부
(2) 보건교육 계획서
1. 일반적 학습목표
2. 구체적 학습목표
3. 학습목표 영역(지식,태도,기술)
4. 교수 학습법
(3) 구체적 학습목표 및 교육진행안
(4) 보건교육 평가
1. 사업진행에 대한 평가
2. 교육목적 달성 정도 평가
3. 투입된 노력에 대한 평가
4. 평가기준
(5) 피드백 및 설문조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성 심정지 환자 11년간 1.5배 증가…생존율은 3.3배 ↑
급성 심정지 주요 지표, 지역 간 격차 ‘상당’
그러나 일반인 심폐소생술, 병원 도착 전 자발순환 회복 등의 급성 심정지와 관련된 주요 지표는 지역 간 상당한 격차를 보였고 매년 격차가 커지는 상황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과 낮았던 지역의 차이는 2008년 2.5%에서 2016년 23.5%로, 자발순환 회복률 차이는 2006년 1.6%에서 2016년 12.3%로 지역 간 격차가 10배 이상 벌어졌다.
이로 인해 급성 심정지 치료 결과인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 역시 지역 간 격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지역 간 격차가 나타난 원인이 명확하지 않지만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지역별 관련 지표를 생산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환류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심폐소생술에 대한 일반 주민의 교육 경험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지역 간 차이를 보인다는 결과를 고려했을 때, 국가 전체 생존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심폐소생협회 노태호 홍보위원장(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은 “급성 심장사 환자의 생존율, 심폐소생술 시행률 등에서 지역 간 격차가 크다는 점은 과거부터 문제가 된 부분”이라며 “의학적인 문제보다는 지역사회간 급성 심정지,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이러한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