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ecprocedure

  • 간호학과/ 보건교육 방법론/ A+받은과제 / 심폐소생 CPR / 보건교육 계획서/ 구체적 학습목표 및 교육 진행안/ 보건교육 평가/ 피드백 및 설문지

    목차

    (1) 지역사회분석 및 첨부 2부

    (2) 보건교육 계획서
    1. 일반적 학습목표
    2. 구체적 학습목표
    3. 학습목표 영역(지식,태도,기술)
    4. 교수 학습법
    (3) 구체적 학습목표 및 교육진행안

    (4) 보건교육 평가
    1. 사업진행에 대한 평가
    2. 교육목적 달성 정도 평가
    3. 투입된 노력에 대한 평가
    4. 평가기준
    (5) 피드백 및 설문조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급성 심정지 환자 11년간 1.5배 증가…생존율은 3.3배 ↑
    급성 심정지 주요 지표, 지역 간 격차 ‘상당’
    그러나 일반인 심폐소생술, 병원 도착 전 자발순환 회복 등의 급성 심정지와 관련된 주요 지표는 지역 간 상당한 격차를 보였고 매년 격차가 커지는 상황이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과 낮았던 지역의 차이는 2008년 2.5%에서 2016년 23.5%로, 자발순환 회복률 차이는 2006년 1.6%에서 2016년 12.3%로 지역 간 격차가 10배 이상 벌어졌다.

    이로 인해 급성 심정지 치료 결과인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 역시 지역 간 격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지역 간 격차가 나타난 원인이 명확하지 않지만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지역별 관련 지표를 생산하고 이를 지역사회에 환류해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심폐소생술에 대한 일반 주민의 교육 경험이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지역 간 차이를 보인다는 결과를 고려했을 때, 국가 전체 생존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책 활동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심폐소생협회 노태호 홍보위원장(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은 “급성 심장사 환자의 생존율, 심폐소생술 시행률 등에서 지역 간 격차가 크다는 점은 과거부터 문제가 된 부분”이라며 “의학적인 문제보다는 지역사회간 급성 심정지,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이러한 차이가 나는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심폐소생술(CPR) 정리

    목차

    ① 반응 확인
    ② 응급의료체계 신고
    ③ 호흡과 맥박의 확인
    ④ 가슴 압박
    ⑤ 인공 호흡
    ⑥ 자동 제세동기
    ⑦ 심폐소생술 중 환자의 재평가

    본문내용

    심폐소생술: 심장 마비가 발생하였을 때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 치료법으로, 심정지가 발생하였을 때 환자의 소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시간 내에 심폐소생술을 통하여 순환 및 호흡을 유지시켜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것
    – 기본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후 4분 이내, 전문 심폐 소생술은 8분 이내에 시작되어야 높은 소생률을 기대할 수 있음
    – 심정지의 예방과 조기 발견→ 신속한 신고→ 신속한 심폐 소생술→ 신속한 제세동→ 효과적인 전문 심폐소생술과 심정지 후 통합 치료

    ① 반응 확인: 환자를 딱딱하고 평평한 바닥에 눕힌 후 어깨를 두드리며 큰 소리로 “괜찮으세요?” 라고 질문하여 의식과 반응의 여부 사정

    출처 : 해피캠퍼스

  • 위절제술 B-II Critical Pathway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정

    Vital sign

    PREOP #1
    -입원 시 baseline check
    -routine V/S check

    PREOP
    -당일 아침 routine V/S
    -OP call시 check

    POSTOP
    -OP V/S check
    -기준치 벗어날 경우 즉시 notify
    -mental check

    POD#1
    special V/S check(qid)

    B/W

    PREOP #1
    입원 시 baseline check

    PREOP
    OP당일 아침 check

    POSTOP
    x

    POD#1
    3일에 한 번 측정

    I/O
    x
    x
    check I/O q24hrs

    Drain
    x
    x
    check q24hrs

    Bowel motility
    x
    x
    gas, stool pass check

    활동

    Ambulation

    PREOP #1
    제한없음(병동 내 걷기 운동)

    PREOP
    제한없음(병동 내 걷기 운동)

    POSTOP
    Bed Rest
    Semi Fowler position

    POD#1
    Ambulation
    (병동 내 걷기운동)

    Oral hygiene

    PREOP #1
    Oral hygiene 교육

    PREOP
    x

    POSTOP
    Oral hygiene 교육

    POD#1
    매일 양치

    Respiratory care

    PREOP #1
    Deep breath 교육

    PREOP
    Deep breath 교육

    POSTOP
    Deep breath 교육
    Nasal prong O2 supply

    POD#1
    Deep breath
    coughing

    출처 : 해피캠퍼스

  • C/sec 제왕절개수술 OR Procedure

    목차

    없음

    본문내용

    ● Procedure
    suction 연결하고 skin towel 깔고
    상 들어가기 전에는 침대 포 깔기 (피가 많이 나오니)
    skin towel 깔기 (아기보호)

    * incision
    #20 -> #10 , koche *2 주고 잡고
    army*1 + bovie + metzen
    -> pick up forcep*2 + Scissors
    bovie, mayo(까마귀)로 계속 incision 함.
    peritoneum 열리면 blade+ richardson 주면 됨.
    * dissection(Forceps 올리기)
    – 포셉: pick up 으로 peritoneum 잡고 찢어
    – ret: richardson *2 + ret 로 밑에 잡음.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