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alibration Curve

  •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Iron in Vitamin tablets, 비타민 철 착물 분광광도법 분석실험

    목차

    1. Title
    2. Purpose
    3. Theory
    4. Apparatus and Reagents
    5. Procedure
    6. Data & Result
    7. Discussion
    8.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Iron in Vitamin tablets

    2. Purpose: 비타민 tablets이 포함하는 철을 빛의 흡수가 큰 착물로 만든 후 분광광도법(spectrophotometry)를 이용하여 정량(quantification)한다.

    3. Theory
    1) 착물
    전이 금속을 중심으로 하여 이 양이온에 분자나 이온들이 결합한 물질을 착물이라 말한다. 이때 결합한 분자나 이온들을 리간드라고 한다. 착물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착화합물이라고 하며, 이는 배위화합물의 일종이다.
    배위화합물은 배위결합이 화합물 속에서 중심에 있는 원자나 이온 혹은 분자사이에 형성된 화합물을 뜻한다. 배위결합은 결합에 관여하는 원자 중 한쪽에서만 전자가 영향을 주는 결합이다. 서로의 전자를 공유하여 결합하는 공유결합과 달리 한쪽에서만 결합에 관여한다. 이 결합은 비어있는 오비탈을 분자나 이온이 가지고 있어야하며, 전자를 빌려주는 쪽을 루이스 염기라 하고, 받는 쪽을 루이스 산이라 한다. 배위결합은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는 결합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산-염기 정의가 가능한 것이다.
    착물이 이온일 경우엔 금속 이온과 리간드가 결합한 착이온이 되는데 그 형태가 비교적 안정하기 때문에 형성된다. 착이온이 형성됨에따라 물질의 용해도는 바뀌게 된다.
    착물이 형성될 때의 평형상수를 형성상수 Kf라고 하며, 이 값이 클경우 생성물인 착물의 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착물은 안정하기 때문에 이 과정의 역반응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2) 리간드
    배위화합물 속 중심금속이온이나 원자에 전자쌍을 내주어 배위 결합을 만드는 물질을 리간드라 한다. 결합이 1개일 경우 한 자리 리간드라하고, 두개 이상일 경우 여러자리 리간드라고 한다. 리간드는 보통 중성이나 음의 성질을 갖는데 이는 리간드와 결합하는 중심 금속 이온이나 원자가 양의 성질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