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력
1) 일반적 간호정보
2) 건강력
3) 신체사정
2. 임상검사
3. 진단을 위한 방사선 검사 및 시술
4. 치료 과정
5. 사용 약물
6. 간호 과정
Ⅲ. 결론
1. 참고 문헌
본문내용
– Carcinoma in situ of cervix : 자궁 상피 내 암종 –
<정의>
자궁경부암은 암이 되기 이전인 전암 단계를 상당 기간 동안 거칩니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으로 되는 과정은 수 년 내지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됩니다. 자궁경부 상피 내 종양(정상 조직과 암 조직의 중간 과정)은 경증과 중증을 거쳐서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합니다. 자궁경부 상피 내 암종이란 침윤성 자궁경부암이 되기 바로 전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호발연령은 30세 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50대에 정점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 조기발견율 증가로 인해 높아지는 추세이지만 상대적으로 자궁경부 상피 내 암종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고 있고, 발생 연령층은 낮아지고 있습니다.
<원인>
①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② 경제 수준이 낮은 경우
③ 첫 출산 연령이 빠른 경우
④ 출산 경험이 많을수록
⑤ 경구피임제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⑥ 흡연량이 많은 경우 / 흡연 기간이 긴 경우
⑦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증상>
모든 암이 그렇듯이 초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전혀 없습니다. 비정상적인 담홍색의 질 분비물의 증가 등 경미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병이 점차 진행되면 비정상적 질 출혈(성교 후, 심한 운동 후, 대변을 볼 때 등), 악취 나는 질 분비물의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병이 더 진행되면 골반통, 요통, 하복부와 하지의 동통, 하지 부종이 나타나며, 배변, 배뇨 장애 및 혈뇨, 변비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