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ase study

  • A+아동간호학 카와사키병 간호과정,진단 3개+아동의 시기에 따른 특징, 질병설명

    목차

    1) 환자 소개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가와사키 질환
    (2) 임상증상
    (3) 진단기준
    (4) 합병증
    (5) 치료
    (6) 예후
    (7) 간호

    3) 기간 및 방법

    4) 자료수집
    (1) 일반적 특성
    (2) 현재의 건강문제
    (3) 과거력
    (4) 신체사정 자료
    (5) 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6) 검사 및 치료과정
    (7) 간호진단 및 간호문제 기록

    본문내용

    (1) 가와사키 질환
    가와사키 질환은 원인불명의 급성 전신성 혈관염이다. 모든 인종에서 발생하고 발병의 75%가 5세 미만의 아동에서 발생하며, 유아기에 최고의 발생빈도를 보인다. 가와사키 질환은 자기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치료하지 않은 아동의 20~25%에서 관상동맥 확장이나 동맥류가 발생한다. 가와사키 질환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 가와사키 질환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전염되지는 않으며, 몇몇 전염성 병인이 지목되고 있다. 발병은 대부분 지역적, 계절적 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주로 늦겨울과 초봄에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차적인 발병부위는 심혈관이다. 발병 초기단계에서 세동맥, 세정맥, 그리고 모세혈관에 광범위한 염증이 발생하여 많은 임상증상을 일으킨다. 중간 크기의 근육성 혈관, 주로 관상동맥의 손상이 발생하고, 몇몇 아동에서는 관상동맥류가 형성된다. 사망률은 매우 낮으며, 일반적으로 관상동맥혈전증이나 관상동맥류의 심한 반흔형성과 협착으로 인한 심근허혈의 결과로 발생한다.

    – 동맥병증(anteriopathy)을 초래하는 3단계 과정

    1단계
    (발병 첫 2주간)
    혈관 내막에서 시작하여 동맥벽까지 진행하는 호중구성 괴사 동맥염인데 주머니모양(saccular) 동맥류를 형성할 수도 있다.

    2단계
    림프구, 형질세포 및 호중구가 주도하는 아급성/만성 혈관염으로 수주에서 수년간 지속되고, 방추형(fusiform) 동맥류를 초래할 수도 있다.

    3단계
    아급성/만성 혈관염이 발생한 혈관에서 평활근 세포의 근섬유모세포가 발달하여 진행성 협착을 일으키고, 혈과나 내강에 혈전을 형성하여 혈류를 차단할 수도 있다.

    (2) 임상증상
    발열은 주로 38.5℃ 이상의 고열이며 오르내림열(remittent fever)이고, 항생제에 반응이 없다. 열은 치료하지 않으면 1~2주 동안 지속되고, 어떤 경우에는 3~4주까지 유지하기도 하는데, 오랜 발열은 관상동맥 합병증의 위험요인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질환 보고서 – 심장 3도 차단(artrioventricular block, complete), 간호

    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검사
    6. 치료
    7. 합병증 및 예후
    8. 간호중재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자: 김OO, 나이: 00세
    주진단: Atrioventricular block, complete(3도 차단) / bradycardia HD: 입원 5일차
    주증상: seizure POD: 시술 4일차
    의식상태: drowsy
    시술명: PPM insertion
    과거력: 고혈압, (2021년) T-SAH, SDH
    입원경위: 21년 T-SAH, SDH dx. 후 본원 NS f/u 하시는 분으로 23.5.21 오전부터 3번 G.T.C 양상의 seizure 있어 119를 통해 ER visit. brain image 상 특이소견 없음. EKG 상 AV dissociation 동반한 sinus bradycardia 소견보여 TPM insertion 후 close obs 위해 CCU adm.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성인간호학 천식 (Asthma) Case study(간호진단5개)(간호과정2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Ⅱ. 간호사정
    1. 대상자 자료 수집
    1) 일반적 정보 및 환자 간호력
    2) 신체사정
    2. 진단검사
    1) 진단검사
    2) 특수검사
    3. 약물치료

    Ⅲ. 간호과정의적용
    1) 사례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천식(asthma)은 기도의 만성 염증, 가역적인 기도 폐색 및 기도의 과민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폐쇄성
    폐질환이다. 기도 내 염증으로 인해 쌕쌕거림(천명음), 숨참(호흡곤란), 흉통, 기침 특히 야간이나 이른 아침 에 심해지는 기침 증상을 보이고, 또한 다양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과민반응을 반복적으로 보인다. 그러 나 기도 폐색은 가역적 특성을 보인다.

    2) 원인
    (1) 알레르기 항원
    먼지, 공해 물질, 진드기, 곰팡이 등 다양한 항원이 IgE를 매개로 하는 항체매개과민 반응을 유발한다. IgE 는 비만세포(mast cell)에 부착하여 IgE-비만세포 복합체를 형성하고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화를 촉진시켜 화학 매개체를 분비하며 혈관 이완, 모세혈관성 투과 증진, 부종 및 염증을 일으킨다.
    (2) 운동
    운동유발천식(exercise-induxed asthma)은 운동으로 기관지 경련, 숨참(호흡곤란), 기침, 쌕쌕거림 등의 증상 을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운동유발천식의 예방을 위해서 환자는 운동하기 10~20분 전에 기관지 확장제를 흡입하고, 운동 직전 2~3분 동안 스트레칭으로 준비 운동을 실시하며 찬 공기나 건조한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한다.

    (3) 호흡기 감염
    급성 천식발작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의 하나로 기관-기관지 점막의 변화와 점액섬모 가전의 변화는 천식을 악화시키고 기관지의 과민성을 증가시킨다.

    (4) 코와 코곁굴(부비동) 질환
    천식환자는 알레르키코염(비염), 코곁굴염(부비동염), 또는 코 폴립(nasal polyps)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5) 약물 및 음식
    코폴립이 있으면서 아스피린에 과민성이 있는 경우 천식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B-아드레날린 차단제를 투여하면 교감신경계가 억제되어 기도의 민무늬근육(평활근)이 수축된다. 음식 성분의 tartrazine과 비타민 그리고 맥주나 포도주의 방부제나 과일, 샐러드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sodium metabisulfite 등도 천식을 유발한다. 이런 약물과 음식이 prostaglandin 대사과정에 영향을 주어 강력한 기 관지 민무늬근육의 수축작용을 하는 leukotriene을 분비시키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임상사례연구(case study)__치매, 간헐성 폭발장애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성장 및 성격 발달력
    4) 가족력 (가계도)
    5) 현재상태
    6) 임상병리검사
    7) 임상심리검사
    8)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9) 의학적 진단명
    10) 의사의 치료계획

    2. 정신간호과정
    1) 억압된 불안과 관련된 만성통증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3) 인지능력 저하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3. 총평가

    본문내용

    3. 총평가

    대상자는 경증의 치매와 간헐성 폭발성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로 현재는 조증의 증상보다는 치매로 인한 신체화 증상과 간헐성 폭발성 장애로 인한 폭력성으로 입원치료중이다. 스스로는 화병이라 이야기하나 간호과정을 진행하며 세가지 문제에 대해 간호수행하며 사정된 결과로는 현재 치매증상으로 인한 인지저하에 대해 불안감과 남편에 대한 미안한 감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식사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남편이 식사를 차려주는 것에 대해 미안한 감정을 느끼며, 식사도 점차 거부하게 되었고 자기 전에는 남편이 먼저 사망하면 자신은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전신의 통증이 나타났다.
    입원 후 식사량은 증가하였고 폭발적인 분노표출 또한 볼 수 없었다. 주치의도 퇴원 후 일상으로 돌아가면 또다시 이러한 증상이 생겨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충분한 가족 면담 후에 퇴원을 고려해 볼 것이라 하였다. 처음에는 양극성 장애의 조증 증상으로만 여겼었지만, 치매로 인한 불안감과 자존감 저하로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분노라는 감정으로 표현했던 것이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case study임상사례연구_조현병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성장 및 성격 발달력
    4) 가족력 (가계도)
    5) 현재상태
    6) 임상병리검사
    7) 임상심리검사
    8)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9) 의학적 진단명
    10) 의사의 치료계획

    2. 정신간호과정
    1) 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2) 대인관계기술부족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3) 무력감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3. 총평가

    본문내용

    2. 정신간호과정
    1) 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들립니다 소리… 아까도..어제도..”
    “하루에 8번..”
    “때리라고 했어요”
    .객관적 자료
    활동중에 갑자기 멈춰서서 환청에 집중하는 듯한 모습 보임.
    멀리 서있는 사람을 한참동안 서서 노려보고 있음.
    소리 내용에 대해 물으면 denial함.
    15‘9/24 때리라는 소리가 들렸다며 타환자 폭행함.

    간호진단-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 한달 내에 폭력적인 환청에 대해 표현한다.
    장기목표 : 입원기간 동안 타인에게 폭력을 일으키지 않는다.

    간호중재
    간호계획-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불편한 자극이 지속되는 환경에서 불안이 지속되고 불안은 타인을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할 수 있다.
    간호수행
    – 자극이 적은 환경을 제공한다.
    – 낮은소음, 과격한 환자와 분리

    간호계획-환청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환각에 대한 사정으로 환각에 대해 반응하는 환자에게 조기에 중재가 가능하고 지시에 의한 공격적인 반응을 예방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case study임상사례연구_조울증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성장 및 성격 발달력
    4) 가족력 (가계도)
    5) 현재상태
    6) 임상병리검사
    7) 임상심리검사 (2016.09.12)
    8)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2. 정신간호과정
    1) 불안정한 기분상태와 관련된 타인에 대한 폭력위험성
    2)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불안
    3) 과도한 간식섭취와 관련된 영양과다

    3. 총평가

    본문내용

    2) 학령전기
    유치원에서 많이 산만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으나 잔병없이 건강하여 부모님은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함. 이 시기에 모친이 지인에게 큰 돈을 빌려주고 받지 못해 많이 스트레스 받았으며 평소 대장부 같은 성격 이였으나 모친이 소극적으로 변했다함.

    3) 학령기
    초등학교 시험시간에 시험지의 뒷장을 보지 못해 앞장만 풀었었고 이후로 시험에 대한 공포가 생겼다 말함. 교우관계는 좋은 편으로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편이였고, 공부에 관심이 없어 성적은 낮은 편이였음.

    4) 청소년기
    중학교 선생님의 추천으로 컴퓨터 전공으로 상업고등학교에 진학하였으나 컴퓨터에 대한 적성이 맞지 앉아 성적도 많이 낮았고 진로에 대해 많이 고민했다함. 친한 친구와 함께 간호조무학원에 다니면서 생각보다 적성에 맞아 대학진학 포기함. 이 시기 IMF로 부친이 직장을 그만두고 모친과 함께 식당을 열었고 경제적으로 부족하지는 않았으나 부모님이 바빠서 pt의 진로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고 함. 반면 공부를 잘하는 남동생, 여동생은 비교적으로 부모님의 많은 관심 받고 자라서 사춘기 때에는 많이 서운 했었다 이야기함.

    5) 성인초기에서 현재까지
    1998년 20살 때부터 간호조무사로 돈 벌기 시작함. 22세에 남자친구와 싸운 후 친구들 전체와 사이 안 좋아지면서 우울감 호소하였고 “누가 나를 감시한다. 누군가 나를 부른다”라는 망상, 환청 등의 증상 나타남. 24세경 E의료원에서 조울증 진단받고 3차례정도 입원치료 받음. 약 복용이 규칙적이지 못했다함. 요양병원에 근무하며 직장생활 하였으나 도중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았다고 함. 2007년 친구의 소개로 남편 만나 정신과적 증상 없이 교제 후 2008년 혼전임신으로 결혼함.

    출처 : 해피캠퍼스

  • case study임상사례연구_자폐, 정신지체

    목차

    1.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3) 성장 및 성격 발달력
    4) 가족력 (가계도)
    5) 현재상태
    6) 임상병리검사
    7) 임상심리검사

    2. 정신간호과정
    1) 타인에 대한 불안감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장애
    2) 동기부족과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3. 총평가

    본문내용

    (4) 가족력 (가계도)
    – 친모 : 현재 왕래 없음. 경제적인 이유 및 pt교육 문제 등으로 96년 이혼함.
    – 부친(55,택시운전) : 활발한 성격이나 융통성 없음. pt의 교육에 대해 관심이 많은 편 이였으나 pt를 교육상의 이유로 체벌하기도 하여 pt가 부친을 두 려워함. 과거 레코드점을 하며 부족함 없이 잘 지냈으나 레코드 가게가 망한 후 영업택시일을 하고 있음. 환자의 친모와 이혼하며 환자의 누나는 친모가 데려가 키웠고, 부친은 딸과는 연락한 친모 와는 연락하지 않는다함.
    – 모친 (51,주부): 98년 재혼함. 재혼 전 94년에는 결혼 했으나 성격차이로 한달 만에 이 혼 한 후 환자의 아버지와 재혼하여 잘 지내고 있음. pt에게 적극적이 지는 않으나 관심 가지는 편임. 사무직으로 일하다 현재는 목 디스크 수술 후 쉬고 있음.
    – 외할머니(74) : Alcohol dependence, dementia.
    술을 마시면 pt에게 신경질적인 모습 보였으나 술 마사지 않으면 다정하 게 대해줬다함. 알코올중독으로 부곡병원 수차례 입 퇴원 했으며 알코올 중독 및 문제 행동으로 가족들이 힘들어했다함. 현재는 알코올성 치매로 정신병원에 입원중으로 환자와 왕래 없음.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경막하출혈 case A+받고 칭찬받은 케이스

    목차

    Ⅰ. 본론
    CASE
    1. 간호정보조사지
    2. 임상검사
    3. 진단검사
    4. 투약
    5. 수술방법
    6. 우선순위
    7. 간호과정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적인 사항

    연 령
    60세
    키/몸무게
    170CM/70KG
    성 별
    남자
    입원경위
    외래

    응 급 실
    V
    기 타

    입원방법
    도보

    Wheel chair
    V
    Stretcher

    기 타

    1) 주진단명 : Traumatic subdural haemorrhage
    2) 발병일시 : 2023-07-10
    3) 입원일 : 2023-07-18
    4) 수술명 : burrhole trephination. Lt
    5) 결혼상태 : 기혼
    6) 직 업 : 건축
    7) 종 교 : 무교
    8) 신체계측 : 키 170 cm, 체중 70 kg
    9) 흡 연 : 유 ( V ) 무 ( ) 기간: 40년 0.2갑
    10) 음 주 : 유 ( V ) 무 ( ) 기간: 40년 0.5병 2회
    11) 투 약 : 유 ( ) 무 ( V )

    12) 가계도 : 딸1

    13) 입원 시 활력징후 : 120/70 – 79 – 18 – 36.6 – 97%

    14) 입원동기 :
    7/10일부터 – 20일 전에 우측 temporal area를 시멘트 바닥에 부딪힘 환자분 느끼기에 머릿속 생각나는 말들이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고 함

    15) 주 호소 : 10일전부터 우측 팔다리 힘 빠짐으로 검사를 위해 입원함.

    <중 략>

    간호진단
    # 1.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뇌 조직 관류장애의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1) “그냥 멍하고 어지러워요. ”
    (2) “머리가 지끈거리네요. ”
    객관적 자료
    (1) Dx: SDH(subdural hematoma)
    (2) 대상자의 의식 수준은 Alert~Drowsy mentality이며 주로 졸려 보이는 양상임: 의식 수준의 저하 확인됨.
    (3) 내원당시 V/S 120/70 – 79 – 18 – 36.6 – 97%
    ● 7/18 ( 130/ 74 – 73 – 37.3 ) 7/19 ( 134 /80 – 80 – 37.4 – 96% )
    ● (4) Rt side power 저하 Rt 쪽으로 쏠림증상있음.
    (5) Brain CT: bilateral subdural fluid
    (6) Burr hole trephination drainage(천공배액술) OP 시행함.
    (7) GCS 4/5/5

    출처 : 해피캠퍼스

  • 과천시보건소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실습올백 A++++)

    목차

    Ⅰ. 서론
    1) 지역사회 간호사정 방법
    2) 과천시 지리적 특성
    3) 지역사회 인구구조
    4) 인구 구조 평가
    5) 지역사회 간호사정 내용
    6) 과천시 보건소가 확인해야 할 법적 기준과 지침

    Ⅱ. 본론
    1) 간호진단
    2) 지역사회 간호문제의 우선순위
    3) 간호계획의 목표
    4) 간호 방법 및 수단 선택
    5) 수행 계획
    6) 추진 일정표
    7) 평가 계획

    Ⅲ. 결론
    1) 느낀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지리적 특성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
    ⋅기반암: 대부분 호상편마암
    ⋅주요산: 관악산, 청계산, 삼성산
    ⋅면적: 35.9㎢
    ⋅과천시는 계획된 신도시로서 주거지역이 잘 형성되어 있어 정주환경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음.
    ⋅과천시는 노후화된 주거단지 개선을 위해 아파트 재건축 사업, 지식정보타운, 도시공간의급격한 변화가 예상됨.
    ⋅개발제한구역
    ⋅임야가 많음
    ⋅남부 생활권 상권 낙후
    ⋅지역사회현황분석
    ⋅과천시 행정구역도

    2. 인구 특성
    ⋅과천시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를 연결해주 관문지역으로 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각 생활권 중심으로 구분되어 있음.
    ⋅과천시 인구는 매년 증가추세이며, 갈현동과 별양동의 인구 증가율이 높아지고 있음, 출산율은 전국 대비 높음.
    ⋅의료취약 인구는 수급자의 증가, 장애인 등록 증가, 다문화 가구 등의 현황을 보임, 다각도의 보건의료계획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과천시 연령별 인구는 50대가 12,667명(17.3%)로 가장 많고 40대 10,892명(14.9%) 30대 10,669명(14.6%) 순임.
    ⋅노령인구 타 지역에 비해 적음.
    ⋅작년 대비 인구수 증가
    ⋅인구통계
    ⋅인구학적 특성
    ⋅인구의 전출, 전입 자료
    ⋅연령별 인구수
    ⋅의료취약인구 현황

    3. 건강 수준
    ⋅과천시 기대수명은 전국 및 경기도에 비해 높은 것(평균 약85세 이상)으로 나타남.
    ⋅고혈압성 질환, 뇌혈관 사망률, 만성하기도 질환 사망률, 질병이환 및 사망이외인 사망률은 급격히 증가함.
    ⋅과천시의 치매유병률은 전국 및 경기도는 9%대 비해 과천시는 11,0%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됨.
    ⋅65세 이상 노인치매 진단율은 전국(90.1%)에 비해 과천시는 115,5% 높은 수준으로 치매 예방⋅관리체계 강화 노력 필요
    ⋅65세 이상 치매 유병률은 경기도 평균 치매 유병률에 비해 높음.
    ⋅과천시 치매환자 증가 치매환자 관리 시급
    ⋅심뇌혈관 질환 예방과 심근경색증 조기증상을 인지를 위한 교육이나 홍보 필요
    ⋅만성질환 관리 필요
    ⋅생애주기별 통합적 건강관리 지표
    ⋅치매 등록 관리율
    ⋅전국 및 경기도 수준 대비 건강행태 수준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