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ast study

  • 폐렴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3개

    목차

    I. 사례 – 폐렴
    1. 현병력
    2. 초기사정
    3. 입원당시 의사 처방 및 지시 – 검사 결과
    4. 기타 상태

    II.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NANDA Taxonomy II 사정영역

    III. 문헌고찰
    1. 진단명
    2. 정의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6. 진단 및 검사
    7. 간호중재
    8. 예방법
    9. 합병증

    Ⅳ. 초점 사정

    Ⅴ. 간호진단
    1. 간호진단 1
    2. 간호진단 2
    3. 간호진단 3
    4. 우선순위 결정
    5. 간호진단 1 :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6. 간호진단 2 : 피하지방의 감소와 관련된 영양부족
    7. 간호진단 3 : 비효율적 의사소통 기술과 관련된 비효율적 관계 위험성

    Ⅵ. 사정 도구
    1. NRS 통증척도
    2. Family APGAR

    본문내용

    I. 사례 – 폐렴

    ■ 현병력
    아내와 일찍이 사별한 60세 남성 이○○씨는 일용직 노동자로서 20살부터 꾸준히 흡연을 해왔고 약 1년 전부터는 주기적으로 쇳빛 객담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가지 않고 방치 해왔다. 4월 4일 10AM 입원당시 부터 체온이 높고 객담이 배출되는 기침을 하며 빠르고 힘이 드는 호흡을 한다. 2주 동안 감기를 앓아 왔고 움직일 때 마다 숨이 차고 피곤하다고 호소하였으며, 힘도 없고 너무 피곤하다며 치료를 거부했다.
    그리고는 머리가 아프고 가끔 어지러워 죽겠는데 짜증나게 하지 말라며 예민하게 반응했다.
    입안이 헐어서 음식섭취에 어려움이 있으며 머리가 자꾸 빠진다고 호소하였고 실내온도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춥다고 히터를 더 틀어달라 하거나 이불을 더 달라고 요구하였다.
    한 달 사이에 갑작스러운 체중변화가 있었고 혈당을 체크해보니 저혈당이 나왔다.
    이로 인해 밤잠을 설친다고 불평하며 수면제를 요구하였으며, 식욕 저하, 구강점막 건조, 청진 시 수포음이 들리는 상태이다.
    딸이 병실에 상주하고는 있으나 이씨와 대화가 거의 없으며, 치료에도 비협조적이다.

    <중 략>

    I. 문헌고찰
    1. 진단명 : 폐렴(Pneumonia)
    2. 정의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3. 원인
    호기성 또는 비호기선 세균, 바이러스, Mycoplasma, 진균, Rickettsiae, 원충류, 기생충 등에 의한 경우와 음식이나 토물을 흡인했을 때, 부식성 화학약품이나 먼지 또는 가스를 흡입한 후에 발생한다. 감염원은 대개 흡입에 의해 몸으로 들어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양극성장애 대상자 사례연구 bipolar disorder, cast study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3개

    목차

    Ⅰ. 서론
    1. 간호사례연구 선정이유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하기
    1)간호사정
    2)정신상태 검사
    3)다양한 정보수집
    2. 간호문제 목록 작성하기
    3. 문제원인 탐색하기
    4. 간호진단 내리기
    5. 간호목표 수립하기
    6. 간호계획 세우기
    7. 간호지시하기

    Ⅲ. 결론
    1. 간호중재 수행 및 기록하기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례연구 선정 이유
    뇌의 기분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대표적 질환인 양극성 장애는 기분이 들뜨고 신나는 상태인 조증과 기분이 가라앉는 상태인 우울증이 교대로 나타나면서 사소한 일에도 감정 변화가 심한 상태이다. 국내에서는 인구 100명당 3-5명이 겪는 질환이다. 양극성 장애로 인한 환자의 자살률은 15%에 이르는데 우울증과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정신과 병동에도 몇 명 없는 양극성 장애 환자를 만나게 되었다. 겉으로 보기엔 잘 몰랐는데 대화를 해보니 횡설수설 한다던가, 아침에 라운딩 할 때 기분이 급격히 안 좋아서 옆 환자와 싸운다거나 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었다. 양극성 장애 질환은 처음 접해보기도 하고, 어떤 증상이 있을까 궁금해져서 자세히 관찰하고 대화해보면서 간호문제를 도출하고 학생인 우리가 할 수 있는 간호계획을 세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해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정의
    DSM-IV에서 양극성 장애는 양극성 장애 Ⅰ,Ⅱ형, 순환성 장애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분장애는 우울, 희열과 같은 인간의 내적 기분상태에 지속적으로 장애가 일어나는 병을 일컫는다. 양극성 기분장애(조울증)은 기분장애의 일종으로 조증과 우울증이 합쳐진 말로 조증(mania)은 기분이 고양된 상태, 우울증(depression)은 기분이 저하된 상태인데 양극성 기분장애(조울증)에서는 두 가지 기분상태가 모두 나타날 수 있다.

    2)역학
    양극성 장애의 발병 빈도는 주요 우울장애 보다는 낮지만 평생 유병률은 정신분열병과 비슷하여 약 1%로 추산하고 있다. 남녀성비는 여성이 두배 많은 주요 우울장애와는 대조적으로 I형 양극성 장애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유병률이 같다. 단지 급속 순환성 장애 환자들의 경우에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발병은 주요우울장애보다 더 일찍 시작되는데 아동기(빠른 경우는 5~6세)로 부터 50세, 드물게는 아주 고령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평균 발병 연령은 30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조별과제 홍역 meales

    목차

    본문내용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다. 법정전염병의 신고 누락 및 지연 시 건당 최소 200만 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이러한 가운데 2002년에는 신고가 늦어져 진료의사가 전염병 예방법위반으로 형사 입건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현대의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전염병은 사라지지 않고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에 사라졌던 전염병이 재출현한다든지 신종전염병의 출현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
    다. 이 중 법정전염병은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염병관리의 일환으로, 전염병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함께 철저한 예방법을 준수하여 타인에게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Yoo, 2003) 전염병을 예방하고 발생 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환자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태풍, 집중호우와 같은 일반적 자연재해 뿐 아니라 지진과 미세먼지, 조류독감, 살충제 계란 파동 등 재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시민의 일상생활 깊숙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2014년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정부는 종합적 재난관리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형태의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각종의 재난을 관리하여 사전에 재난을 예방. 대비하여, 재난 발생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본래의 상태로 복구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FDIU(fetal death in uterus)로 인한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 c/sec cast study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3개

    목차

    Ⅰ. 서론
    -간호사례 선정 이유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해부, 병리, 생리
    -원인
    -증상
    -진단적 검사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건강사정
    -진단적 검사 및 투약
    -병의 경과(Progress of disease)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기술
    -모성간호학 실습 소감 간단히 기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ⅰ. 간호사례 선정이유
    임신 20주에서 출생 후 한 달까지의 시기에 일어나는 태아사망,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을 합하여 주산기 사망이라고 한다. 이런 상실을 경험한 부모는 거의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애도기간을 거치게 된다.
    자궁 내 태아사망(Fetal Death In Utero)은 정신적인 상처가 된다. 임신 초기에는 임부 스스로 태아가 사망 했는지 알 수 없지만, 후반기에 태동을 경험한 다음에는 태아의 사망을 알 수 있다. 산전진찰로 이상이 있으면 태아를 인공유산 시키기도 하며, 태아가 사산되었을 경우에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기에 대한 애착은 출생 전부터 시작이 되므로, 언제 유산이 일어났든지 간에 상실과 슬픔반응이 나타난다. 임신 3기 이후의 상실과 슬픔반응은 일반적으로 임신 1기 때보다 크다. 태아사망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면 임신단계에 따라 분만을 유도하기도 하고, 자연적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릴 수도 있다.
    분만의 과정은 거쳤으나 정상분만한 산모와는 달리 대상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따라 간호행위의 수행이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궁 내 태아사망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대상자를 바탕으로 상황에 따른 올바른 치료와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ⅱ.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상기 37세 primi para는 금일 IUP(37+1)wks로 08/27 myoma 7.5cm c/sec 원하였고 09/18 MD CPD&Myoma of uterus c/sec 예정이었다. 그러나 8/29 chest 상 cardiomegaly, blunting of Rt CP시 태동이 없었고 09/03 sono상 fetal(-) FDIU로 2pm on call c/sec 시행하였다.

    Ⅱ. 문헌고찰

    ⅰ. 정의

    출처 : 해피캠퍼스

  • 요추골절 Lumbar comp fracture cast study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3개

    목차

    Ⅰ. Nursing narrative

    Ⅱ. 간호력
    -인적사항
    -주호소(C.C)
    -V/S
    -응급검사
    -실시한 응급치료 및 간호
    -진단명
    -치료결과 및 계획

    Ⅲ. 문헌고찰
    -골절(Fracture)
    -척추골절(Vertebra Fracture)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초임상실습과 성인간호학실습에서 두 번다 응급실에 실습을 하게 되었는데 제일 많이 볼 수 있는 환자케이스 중에 하나가 골절이다. 대부분 나이가 든 어르신들이 넘어지면서 골절이 발생함으로써 응급실로 많이 내원하고는 한다. 골절은 활동의 제한, 무능력, 경제력 손실을 야기함으로써 삶의 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골절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공부하고 수행해보기 위해 나는 이번 case를 절절 환자로 잡았다.

    #Story
    0000/04/26 14:50경 대중목욕탕에서 넘어지면서 수상하고 타의원에 내원하여 X-ray상 압박골절 소견이 있어 ER을 통해 15:27에 내원하셨다. ER에 내원하신 우OO환자는 back pain으로 통증을 호소하여 정밀한 검사를 위해 CT촬영을 한 결과 L1부위에 fracture가 보였다.
    Lab결과 혈소판수치가 현저하게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는 7~8년전 DCMC에서 원인은 모르고 몇 년동안 혈소판 수치가 낮아 입원치료를 한적이 있었고 호전되어 그 이후에는 2~3년동안은 검사한 적이 없고 약을 중단한 상태이다. 혈소판수치가 떨어진 것을 설명한 후 치료를 받을 것을 권했지만 당장 경대병원에 안간다고하여 본원에서 허리를 치료후 DCMC에 가서 추가 치료를 받겠다고 하였다.

    #Reflection
    나는 이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통증을 경감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을 함께 병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통증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여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당뇨병성 족부병증 (DM foot) cast study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2개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문헌고찰
    -건강사정
    -약물
    -진단검사 소견
    -치료경과 및 계획
    -간호과정(SOAPIE)

    Ⅲ. 결론
    -실습소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진단명(Medical Diagnosis)
    :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diabetic foot ulcer

    3)수술명
    : POD#2
    Angioplasty with autologous vessel by other, debridement & skin graft

    4)주호소(C.C)
    : Rt. 5th toe pain

    5)현병력(HPI)
    : 과거력 상 Type 2 DM 있는 자로 2주전 발톱깍다가 오른쪽 발에 상처가 발생한 뒤로 Rt. 5th toe pain develop되었고, color change 있었으며, 증상 aggrevation 되어 본원 ER visit.

    <중 략>

    *진단명(Medical Diagnosis)
    :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diabetic foot ulcer

    *수술명
    : POD#2
    Angioplasty with autologous vessel by other, debridement & skin graft

    *간호진단
    1. 자가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2.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