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당뇨인의 올바른 운동요법
1. 왜 운동을 해야 할까?
2. 어떤 운동을 해야 할까?
II. 당뇨인의 운동요법 시 주의사항
1. 운동 중 저혈당 예방하기
2. 운동 중 케톤산증 발생 예방하기
3. 운동 중 발의 상해 예방하기
4. 운동 중 심혈관계 응급상황 예방하기
III.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운동요법
본문내용
1. 왜 운동을 해야 할까?
1) 근육세포의 포도당 대사과정(Glucose Metabolism)
– 췌장에서 합성 및 분비된 인슐린(Insulin)은 혈액내의 포도당을 세포로 이동시키고, 세포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포도당이 세포내로 이동하여 에너지로 사용되어 지도록 한다.
– 우리 인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근육세포 또한 동일하다.
– 따라서,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거나, 근육세포에서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면 포도당은 에너지로 사용되지 못하고, 혈중에 쌓이게 되어 혈당이 상승하게 된다.
2) 운동의 효과
– 꾸준한 운동은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근육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혈당 소비를 촉진시킨다.
– 따라서, 운동 직후의 혈당 감소효과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혈당대사가 잘 이루어지게 되어 합병증 없는 건강한 신체 유지가 가능하다.
– 또한, 당뇨인이 운동을 할 경우 혈압을 낮추고, 과체중의 경우 체중으로 조절해주며, 나쁜 콜레스테롤(LDL)과 중성지방(TG)을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HDL)을 높인다.
–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우울증을 예방한다.
2. 어떤 운동을 해야 할까?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스트레칭
1) 유산소 운동
– 유산소 운동이란?
: 호흡을 유지하면서 온몸을 규칙적으로 고르게 움직여 주어 산소를 계속적으로 소비하게 하는 운동, 빠르게 걷기, 가볍게 뛰기, 수영, 자전거, 에어로빅 등이 해당된다.
– 유산소 운동의 효과
: 탄수화물 소비를 통한 혈당 감소 효과
-> 유산소 운동 시 가장 먼저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탄수화물. 따라서 유산소 운동 직후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음
(일반적으로 30분정도 빠르게 걷기를 통해 20~60mg/dL정도의 혈당이 감소)
: 지방 소비를 통한 인슐린 감수성의 증진
-> 과체중 혹은 내장지방이 많은 당뇨인이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할 시, 지방의 소비가 이루어져 내장지방이 감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