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DMA

  • 당뇨병(DM, diabetes) 관리를 위한 운동요법

    목차

    I. 당뇨인의 올바른 운동요법
    1. 왜 운동을 해야 할까?
    2. 어떤 운동을 해야 할까?

    II. 당뇨인의 운동요법 시 주의사항
    1. 운동 중 저혈당 예방하기
    2. 운동 중 케톤산증 발생 예방하기
    3. 운동 중 발의 상해 예방하기
    4. 운동 중 심혈관계 응급상황 예방하기

    III.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운동요법

    본문내용

    1. 왜 운동을 해야 할까?

    1) 근육세포의 포도당 대사과정(Glucose Metabolism)
    – 췌장에서 합성 및 분비된 인슐린(Insulin)은 혈액내의 포도당을 세포로 이동시키고, 세포의 수용체에 작용하여 포도당이 세포내로 이동하여 에너지로 사용되어 지도록 한다.
    – 우리 인체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근육세포 또한 동일하다.
    – 따라서,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거나, 근육세포에서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면 포도당은 에너지로 사용되지 못하고, 혈중에 쌓이게 되어 혈당이 상승하게 된다.

    2) 운동의 효과
    – 꾸준한 운동은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근육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혈당 소비를 촉진시킨다.
    – 따라서, 운동 직후의 혈당 감소효과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혈당대사가 잘 이루어지게 되어 합병증 없는 건강한 신체 유지가 가능하다.
    – 또한, 당뇨인이 운동을 할 경우 혈압을 낮추고, 과체중의 경우 체중으로 조절해주며, 나쁜 콜레스테롤(LDL)과 중성지방(TG)을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HDL)을 높인다.
    –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우울증을 예방한다.

    2. 어떤 운동을 해야 할까?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스트레칭

    1) 유산소 운동

    – 유산소 운동이란?
    : 호흡을 유지하면서 온몸을 규칙적으로 고르게 움직여 주어 산소를 계속적으로 소비하게 하는 운동, 빠르게 걷기, 가볍게 뛰기, 수영, 자전거, 에어로빅 등이 해당된다.

    – 유산소 운동의 효과
    : 탄수화물 소비를 통한 혈당 감소 효과
    -> 유산소 운동 시 가장 먼저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탄수화물. 따라서 유산소 운동 직후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볼 수 있음
    (일반적으로 30분정도 빠르게 걷기를 통해 20~60mg/dL정도의 혈당이 감소)
    : 지방 소비를 통한 인슐린 감수성의 증진
    -> 과체중 혹은 내장지방이 많은 당뇨인이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할 시, 지방의 소비가 이루어져 내장지방이 감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보통신개론A+레포트(통신 프로토콜과 무선 및 이동통신에 관한 기술을 이해하고 설명)

    목차

    1. FDMA
    2. TDMA
    3. CDMA
    4. 3G ~ 5G, 셀룰러
    5. OSI 계층
    6. TCP / IP 통신 프로토콜

    참고문헌

    본문내용

    1. FDMA
    FDMA의 가장 초기에 사용되었던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해서 나누어 주는 방식이다. 이는 가장 기본적으로 주파수를 활용하는 방식이며, 만일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다면 기존에 사용하는 주파수가 아닌 남는 주파수를 나누어 주는 방식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무선 전화에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은 무한하게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900MHz~950MHz의 주파수가 무선 전화에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해보자. 만일 5인의 사용자가 무선 전화를 사용할 경우 각각 10MHz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지만 50인의 사용자가 무선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1MHz의 좁은 대역대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만일 그 이상으로 무선 동시의 사용량이 대폭 많아질 경우에는 통화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 뿐만 아니라 주변 노이즈에 취약해지는 문제도 있고, 근본적으로 주파수를 분배하는 것이 감당이 되지 않는다.

    2. TDMA
    TDMA는 FDMA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여 나온 방식으로, 시간축 분할 방식에 해당한다. 실제로 2G폰 사용 시 쓰인 방식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