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ell counting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1. Sampling, Spreading, Cell Counting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2. 실험 도구
    – Sample : 화장실 변기에서 취함, 흙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1000 μL, 200 μL), tube (10 mL, 50 mL), tube rack, vortex mixer, clean bench, 페트리 접시, 도말봉, 알코올램프, 라텍스 장갑
    – 시약 : PBS, LB 배지, 알코올

    3. 이론
    ① Sampling
    검사, 측정, 분석 등을 위해 대상이 되는 물질에서 그 일부를 채취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실험의 필요성에 맞는 적절한 sample을 구하여야 한다.
    ② Serial dilution
    미리 결정한 비율에 따라 순차적으로 희석하는 방법이다. 미생물의 수를 측정할 때 시료를 10배 씩 단계적으로 희석하는 것이며, 희석한 시료를 적절한 배지에 배양하여 colony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한다. 이후 희석 배수를 곱하여 시료에 있는 미생물의 수를 구하는 것이다. 희석한 시료 속 균의 농도를 낮추어 배양한 후 colony가 30~300개가 되면 수를 세어 CFU를 통해 희석 전 시료의 세균 수를 계산할 수 있다.
    ③ CFU(Colony-Forming Unit)
    CFU = 평균 집락수 × 희석배율 × 1/(사용한 시료량(mL)) (CFU/mL or CFU/g)
    미생물학에서, 눈에 보이는 박테리아나 균류의 숫자를 측정하는 것이다. 액체에서는 CFU/mL, 고체에서는 CFU/g의 단위를 사용한다. 집락의 수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을 때는 TNTC(Too Numerous To Count)로 표시하며 집락의 수가 측정 가능 할 때는 TFTC(Too Few To Count)로 표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Cell counting and seeding on plate for downstream experiment A+레포트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s
    8. Discussions
    9. Project
    10.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Cell counting and seeding on plate for downstream experiment

    2. Date

    3. Name

    4. Purpose
    Hemocytometer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실험에 필요로 하는 적정량의 세포 수를 계산할 수 있다.

    5. Materials
    MCF-7 Cells (cultured in T25 flask), DPBS, 0.05% Trypsin-EDTA solution, Media (RPMI1640, FBS, P/S), alcohol lamp, pipette aid, serological pipette, incubator, conical tube, centrifuge, micropipette, tip, rack, beaker, 1.5㎖ ep-tube, trypan blue solution, hemocytometer, 35㎜ dish, 70% ethanol, tissue, clean bench, 광학현미경, 계수기

    6. Methods
    ① 4℃에서 냉장보관 중이던 media를 37℃ water bath에서 충분히 pre-warmed.
    ② Clean bench에 넣기 전, pre-warmed media 및 필요한 실험기구들을 70% 에탄올로 소독한다. (Cell이 들어있는 flask는 에탄올로 소독하지 않고 clean bench로 옮겨준다.)
    ③ 세포주를 배양 중인 flask 내부의 media를 pipette aid를 이용해 aspiration & discard.
    ④ DPBS washing: DPBS 3㎖을 flask에 조심히 분주하고 좌우로 gently washing 해준 후, DPBS를 다시 aspiration & discard.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