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HF

  • A+ 울혈성 심부전(CHF) 간호과정_심장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체액 과다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목차

    1. 대상자 정보
    2. 질병에 대한 고찰(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3. 입원 중 처치
    4. 진단검사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이름

    성별

    나이
    89
    입원일
    2022.11.30
    내원수단
    119 구급차
    주호소
    chest pain
    입원경로
    ER
    전실병동
    MICU
    과거력
    CHF(congestive heart failure)
    ICMP(ischemic cardiomyopathy)
    Balloon & stent angioplasty
    Pulmonary edema
    Dementia
    Senile osteoporosis, site unspecified
    진단명
    [주] CHF(congestive heart failure)
    [부] ICMP(ischemic cardiomyopathy)
    입원동기
    상환 상기 시각 가슴 답답함 양상의 chest pain 및 호흡곤란 있어 응급실 내원함.

    2. 질병에 대한 고찰(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정의
    울혈성 심부전은 여러 원인으로 인해 심장이 신체 조직이나 기관에서 필요한 혈액(특히 산소)을 공급할 수 없는 병태생리학적 상태를 의미함. 심부전은 급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만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심부전은 흔히 다른 심장 질환, 예를 들면 만성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 판막에 이상이 있는 기계적 결함, 만성적인 부정맥(심방 세동이 가장 흔함) 등의 다양한 원인 질환으로 인해서 나타남.
    원인
    고혈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심장근육병, 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심실중격결손) 및 갑상샘 기능항진증 등 모든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심부전의 원인이 되며 심장질환의 유무와 관계없이 고령, 당뇨, 비만, 알코올 중독, 흡연은 고위험 요인
    증상
    • 좌심부전: 피로, 호흡곤란, 기침과 혈담, 신기능 저하, 부종, 체중 증가, 맥박 및 혈압 변화, 뇌의 저산소증
    • 우심부전: 간종창, 소화기계 증상, 심장성 부종, 사지냉감, 영양실조, 심리적 불안, 심장성 쇼크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 심부전HF 케이스 스터디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6. 결과

    본문내용

    이00님은 만 34세 여환으로 입원 당시 167.3cm, 63kg이었으며 갑각류 알러지(+), 의식 alert(+). 한 달 전부터 whole body edema, abomen distention 있던 자로 복부 팽만감이 있어 시행한 복부초음파 상 복수 관찰되어 ER-C78-A88 (12/29)로 adm.
    과거력으로 당뇨, ovarian cancer 있으며 가족력은 폐암, 당뇨, 고지혈증, 신장질환이 있다. fever(-), DOE(+). 입원 당시 BW 63kg였으나 하루 1~2kg(-). I/O check 중이며 불균형하다. 난소암 의심되어 GY외래 잡으려 했으나 대상자가 거부하였다. 조절되지 않는 혈당을 갖고 있으며 저염식이 처방되었다. 입마름 증상(+), 양 다리 튼살(+) 관찰되었다.

    사정 1일차 2023.12.29
    07시 체중 62.3kg 측정되며 Holter Monitering 중이다. Spo2 99% 측정되어 처방된 산소 용량 O2 12/27 O2 nasal prong으로 6L/min씩 주입 중 이었으나 금일 증상 호전되어 5L/min처방되었다. 8시간 마다 V/S check, I/O check 중이다.

    사정 2일차 2023.12.30
    8시간 마다 V/S 및 I/O check 중이다.
    IC fluid로 half saline 1L/5gtt/min으로 주입 중이다. 다음날 MRI 시행하기 위해 물을 포함하여 NPO함을 알리고 시행중이다. day duty I/O: 1150/1000(+150)측정되었고 24시간 I/O: 1900/2000(+100) 측정되었다.

    사정 3일차 2023.12.31
    07:40분 IV site 사정하고 O2 2L/min 적용중이다. 05시 total I/O: 1450/1700(-250). BW 58.7kg, BMI 20.75 측정되었다.(전일대비 –1.1kg) 발목에 요흔성 부종과 피부 벗겨짐이 관찰되며, 대상자 의사 및 간호사에게 계속해서 이뇨제 달라고 요구

    출처 : 해피캠퍼스

  • 신부전과 관련된 체액과다 (간호과정 A+)

    목차

    1.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2. 진단명, 정의
    3. 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 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5. 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6. 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7. 간호평가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하루종일 피곤하고, 아무 것도 하기 싫어져요”
    “입맛이 없어요, 음식이 별로 맛있게 느껴지지 않아요”
    “살찌기 전보다 숨이 많이 찬 것 같아요”
    “다리가 부어 있어서 불편하고, 코끼리 같아요”
    “가끔 숨이 턱 막혀요”
    “종종 두통이 있고, 속이 안 좋아져서 힘들어요”
    “소변을 자주 봐요, 자다가도 깨서 화장실에 자주 가요”
    “손과 발이 차가워서 꼭 전기장판에 있어요”

    객관적 자료
    진단명: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성별/나이: 65/M
    전신 부종이 관찰됨: 주로 양쪽 다리와 발
    지난주에 비해 1.5kg의 체중 증가 관찰됨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낌
    기침과 가래 관찰됨
    흉부부위 압박감을 표현함
    입안이 건조하다고 말함
    때때로 오심을 호소하여 prn macperan 0.5amp IV 처방남
    11/13 I/O
    Input에 비해 Output이 1200ml 적음 -> lasix 1amp IV
    하루 소변량 1500ml 측정되나, 투여한 수액에 비해 적은 양 으로 확인됨.

    V/S BP 110/80 PR 100 BT 36.8 RR 20

    진단명: 신부전과 관련된 체액과다 라는 간호진단을 받은 대상자가 있다.
    정의: 등장성 체액 정체의 증가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안정적인 몸무게 양상을 보인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소변의 배출량이 시간당 30ml 이상으로 증가한다.
    대상자는 5일 이내 균형잡힌 섭취와 배출을 한다.
    대상자는 5일 이내 심박수가 분당 60~100번이 유지된다.

    진단적계획
    1. 가능한 체액 장애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대상자로부터 건강력을 얻는다.
    2. 대상자가 매일 같은 시간(아침식사 전)에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3. 섭취량과 배설량을 면밀하게 관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