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NPS

  • 간호학과/지역사회간호학/하남시/CNP/간호과정3개/A+자료/추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사회 자료수집
    2. 자료분석 및 요약
    3. 지역사회 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4. 우선순위 결정
    5. 간호목표설정
    6. 지역사회간호 수행계획
    7. 지역사회간호 평가계획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대상자인 지역사회에 대한 건강문제와 건강요구,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된 자료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는 의사소통 과정으로 지역사회 역동과 건강 관련 활동에 대한 지역사회의 반응을 예측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조가 맡게 된 하남시는 ‘2021년 제9회 하남시 사회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지금 살고있는 지역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보통(30.3%)이 가장 많았고 10점 만점에 평균 6점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큰 불만족 이유는 교통이 불편해서(46.3%)가 가장 높았고 그 뒤로 주거시설이 열악해서(18.4%), 편의시설이 부족해서(15.4%) 등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공공시설에 대한 조사는 보건의료 시설(45.5%)이 가장 높고 체육시설 및 경기장(25.8%) 공영주차 시설(19.5%)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조는 주민들이 위와 같은 조사 결과를 보이는 원인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하남시를 인구와 환경을 포함한 지역 특성, 건강상태와 건강 행위를 포함한 건강수준, 지역사회자원으로 구분해 각 영역별로 사정 후 건강 수준의 향상을 위한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하남시를 조사하게 되었다.

    II. 본론
    1. 지역사회 자료수집
    1.1 지역특성
    (1) 지역 위치
    하남시는 서울 동쪽에 인접해 있으며 경기도 중심부에 있다. 서쪽은 서울, 남쪽은 광주와 성남, 북측은 구리와 남양주에 접해있다.

    (2) 지역사회 특징
    하남시는 서울 강동구, 송파구와 접하고 있는 수도권 도시로, 주민 대부분이 서울 지역에 직장을 두고 있다. 또한, 도로를 통한 서울 접근성이 우수하다. 광역교통의 요충지로써 중부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올림픽대로(강변도로), 팔당대교, 서울춘천고속도로(미사대교)를 지나며 서울과 경기 동남부를 잇는 관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2019 지역사회 하남시 CNP

    목차

    서론
    배경 및 필요성

    본론
    1. 지역사회 자료수집
    Ⅰ. 지역 특성
    1. 지리학적 특성
    2. 인구학적 특성
    3. 사회경제적 특성
    4. 교통, 통신, 공공시설
    5. 환경적 특성
    6. 문화적 요소
    Ⅱ. 건강수준
    1. 사망실태
    2. 질병이환상태
    3. 건강행위
    Ⅲ. 지역사회자원
    1. 건강관련기관
    2. 인적 자원
    3. 사회자원
    2. 자료 분석 및 요약
    3. 지역사회 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4. 우선순위 결정
    5. 간호 목표 설정
    6. 지역사회 간호 수행계획
    7. 지역사회 간호 평가계획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배경 및 필요성
    이번 과제를 수행하면서 여태까지 접해보지 못한 지역사회를 범위로 한 간호계획을 해봄으로써 간호는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지역사회 간호과정의 적용을 한다는 것을 알고자 하였다. 또한 집단으로 하여 자료 수집과 수집된 자료의 통합 및 분석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를 간호하는 능력을 기르고, 수집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간호진단, 계획, 수행 및 평가 활동을 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자원, 복지관 사업을 조사하고 활용하며 자조집단의 관리 상태를 파악하고 이해하며 지역사회 간호과정 개념 틀을 이용하여 개인, 가족, 집단, 조직 및 지역사회의 간호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간호중재를 수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남시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사정하여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수행을 실시하여 적절한 건강증진에 기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 략>

     대상자들의 질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도록 건강증진관리사업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 심혈관계 질환이 끼치는 영향과 증상, 합병증을 교육한다.
    (교육내용: 고혈압, 고지혈증, 협심증의 증상 및 합병증 )
    – 대상자 정보를 기록, 관리할 수 있는 전산 프로그램 개발
    -대상자 인적 기초정보와 더불어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된 생활 습관, 영향, 증상, 합병증, 등록관리 사업을 알게된 동기 등 서면의 설문지를 전산 프로그램에 옮겨 관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통증 사정도구(PQRST, NRS, FPRS, FLACC,CNPS)

    목차

    1. 통증의 사정, 사정방법, 사정도구
    1) 통증의 정의
    2) 사정방법
    3) 사정도구

    2. 출처

    본문내용

    1) 통증의 정의
    통증이란, 실제적인 혹은 잠재적인 조직 손상 혹은 그에 준하는 손상과 관련된 불쾌한 감각이나 정서적 경험으로 통증은 주관적인 특징을 갖는다.

    <중 략>

    3) 사정도구
    ▶숫자통증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
    :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숫자 척도라고도 한다.
    점수 0점~10점까지 0점은 통증 없음, 경도(1~3점), 중등도(4~6점), 중증(7~10점)으로 해석
    12세 이상 수개념을 이해하는 환자 즉 의식이 명료한 환자에게 사용된다.

    ▶얼굴통증척도(pain affect face scale, FPRS)
    : 얼굴 표정 척도라고도 하며 0점에서 10점까지 있으며 0점은 통증 없음, 2점은 약한 통증, 4점은 보통 통증, 6점은 심한 통증, 8점은 아주 심한 통증, 10점은 최악의 통증을 나타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