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OD

  • [서강대학교 분석화학실험 A+ 레포트] Exp10.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측정 (과망간산칼륨법)

    목차

    Ⅰ. Title
    Ⅱ. Purpose
    Ⅲ. Theory
    Ⅳ. Apparatus and Reagents
    Ⅴ. Procedure
    Ⅵ. Data & Results
    Ⅶ. Discussion
    Ⅷ. Reference

    본문내용

    Ⅰ. Title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측정 (과망간산칼륨법)

    Ⅱ. Purpose
    과망간산칼륨법을 이용하여 한강 상, 하류의 샘플에 대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측정하여 수질의 오염 정도를 확인하고, 기준치와 비교한다.

    Ⅲ. Theory

    1.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COD는 물에 있는 물질을 산화제를 통해 산화시킬 때 소모되는 산소 양을 일컫는 말로, 산화제 즉 화학적 방법을 택하기에 “‘화학적’ 산소 요구량” 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동일한 시료를 분석하더라도 측정 방법에 따라 COD 값이 다를 수 있다. COD 분석 방법에는, 80% 가량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K2Cr2O7을 사용하는 방법과 60% 가량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KMnO4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KMnO4 를 사용하는 방법은 또 20도에서 측정, 100도에서 측정, 알칼리성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나뉜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KMnO4를 100도에서 사용해 COD를 측정하는 것이다. COD의 측정법은 전부 사용한 산화제 양을 통해 소모된 산소 양을 계산하는 방법을 택한다. COD 측정법의 장점은 유기 물질 이외에, 유화물, 아질산염과 같은 무기물도 측정 가능하다는 것이지만, 단점으로는 유기물이 안정된 상태에서는 측정이 불가하다는 점이 존재한다. COD는 BOD와 달리 높은 온도에서 2시간 안으로 측정 가능하기에, 시간 부분에서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생물학적인 분해가 되지 않는 물질 양을 측정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COD는 해수와 공장폐수의 수질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2.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BOD는 그 값이 높을수록 수질의 오염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BOD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며 소모되는 산소의 양을 의미한다. BOD5는 BOD와 일반적으로 동의어로 사용되는데, 초기 측정된 DO에서 5일 동안 20도에서 배양 후 측정한 DO를 빼서 도출된 값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