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OPD

  •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 관리 및 환자 간호(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 폐렴 환자 간호(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과정)

    목차

    Ⅰ. 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
    1. 만성 폐쇄성 폐질환 대상자 산소요법, CO2 narcosis 기전 및 증상
    2. SVN(small volume nebulizer) 이용한 분무요법 시 대상자 교육(기도에 약물 침착 증진 방안)
    3. LVN(large volume nebulizer) 이용한 가습적용1.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판독
    4. Chest physiotherapy(with palm cup)
    5. Nasopharyngeal(oropharyngeal) suction
    6. Ambu bagging, preparing intubation
    7. 만성 폐쇄성 폐질환 합병증: cor-pulmonale 기전 및 증상

    Ⅱ.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간호
    1. 간호사정
    2. 간호중재
    3. 간호과정

    Ⅲ. 폐렴 환자 간호
    1. 간호사정
    2. 간호중재

    본문내용

    Ⅰ. 만성폐쇄성 폐질환 대상자 치료관리
    1. 만성 폐쇄성 폐질환 대상자 산소요법, CO2 narcosis 기전 및 증상
    1) COPD 대상자 산소요법
    ● 폐모세혈관 수축을 완화하여 폐고혈압을 경감, 활동내구성 증가시킴
    ● 적혈구 증가증 개선,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치료
    ● 안정상태에서 PaO2 55mmHg 이하인 경우 투여
    ● 간헐적 투여하는 것보다 24시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

    2) CO2 narcosis 기전 및 증상
    ● 정의: 산소치료로 인해 COPD 대상자에서 CO₂가 더 쌓이는 증상
    ● 혈중에 CO₂가 쌓여 apnea, confusion, coma 상태가 될 수 있음
    ● 치료로 산소투여를 중단하는 것이 아닌 환자 상태 사정

    기전
    내용
    V/Q mismatch
    ① 수축되어 있던 폐혈관이 산소 공급에 의해 확장
    ② 환기가 잘 되지 않던 곳의 혈관이 상대적으로 더욱 확장하고 이는 V/Q(환기/관류) 악화시킴
    Haldane 효과
    ●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이산화탄소 둘다 결합가능
    ● COPD 환자는 산소분압이 떨어진 상태 →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해리시켜서 조직에 나눠주려고 함. 상대적으로 산소보다는 이산화탄소와 결합력이 높아진 상태
    ● 산소투여를 해준 경우에는 산소 분압이 높아진 상태 → 헤모글로빈은 산소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이산화탄소와의 결합력을 떨어지게 됨 → 혈중에 이산화탄소가 축적
    저환기
    CO₂ 축적
    ● 앞서 고농도 산소치료가 위험한 이유와 동일한 개념
    ● 산소치료로 폐포 환기가 일시적으로 떨어지다가 결국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여 의문시되는 개념
    의식이 나쁘면 intubation 혹은 기계환기, 의식이 괜찮으면 O₂ 농도 줄이고 집중 관찰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COPD 케이스 스터디(진단 2개, 과정 2개)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6. 합병증
    7. 예후뇌졸중의 합병증

    Ⅲ.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정보
    2. 검사 결과
    3. 투약기록

    Ⅳ. 간호과정

    Ⅴ. 결론 및 소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은 급성 기관지염과 기관지확장증이 동반되어 발생하는 만성적인 폐쇄성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는 중요한 건강 이슈 중 하나입니다. COPD는 흡연, 환경 오염,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폐 기능의 점진적인 감소와 호흡곤란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 COPD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COPD의 특성과 진단,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 환자 사례를 통해 이 질병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본 CASE STUDY에서는 실제 환자의 COPD에 대한 케이스를 살펴보고, 이 환자의 전반적인 의료 상황, 증상, 진단, 치료, 그리고 예방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COPD의 다양한 측면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환자 중심의 종합적인 치료 전략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기도 내 공기유통의 폐쇄가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특징적인 호흡기계 질환군이다.
    대게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의 두 가지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의 경우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이 공존하고 일부는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및 천식이 공존할 수 있다.

    (1)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의 만성염증을 말하며 감염성 자극이나 담배연기 같은 비감염성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발병한다. 기관지의 염증반응에 의해 혈관확장, 울혈, 기관지 점막에 부종과 기관지 경련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서 기관지의 내경이 좁아져서 기도의 폐쇄를 가져온다. 대개 흡연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호흡곤란ㆍ기침ㆍ가래(대개 색이 푸르고 점도가 높은 가래)가 주증상이다. 점막마개와 2차 감염 때문에 공기유통과 가스교환을 방해하여 저산소혈증(PaO2감소)과 호흡성산증(PaCO2증가)을 유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COPD 케이스스터디 중환자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대상자의 건강력
    3. 건강사정
    4. 약물
    5. 진단검사
    6. 입원후 질병진행 경과

    Ⅲ. 간호과정 적용
    1. 정체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2. 비효과적 기도 청결과 관련된 가스 교환 장애
    3. 장기 침습적 기구 사용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Ⅳ. 느낀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란 대개 유해한 입자나 가스 노출에 의해 유발된 기도와 폐포의 이상으로 인해 지속적인 기류제한과 호흡기계 증상이 발생한 질병이다.

    1. 원인
    ① 흡연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의 주요한 유발 원인
    흡연 시 3, 4 벤조피린과 같은 위험한 발암인자를 포함 한 약 4,000 종류의 화학물질과 가스가 폐 안으로 흡입
    술잔세포(goblet cell)를 포함한 폐세포의 증식 → 점액 생산 및 분비물 제거의 어려움
    점막부종을 동반한 감염 및 감염세포 유입 → 세기관지의 기능 변화 및 기관지 주변의 섬유화

    일산화탄소: 혈색소와 친화력이 높아 산소보다 빠르게 혈색소와 결합함 → 폐포 에서부터 산소 운반 용량이 저하
    니코틴: 발암인자는 아니나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심박동수 증가, 말초혈관 수축, 고혈압 및 심근의 과부담을 유발함→ 허혈 심장병의 위험요인
    간접 흡연: 환경성 흡연 또는 2차 흡연으로 폐기능 감소, 폐암 발생, 허혈 심장병, 사망률

    ② 작업 환경(화학물질, 먼지) 및 대기 오염 물질
    작업장 먼지와, 자극제, 연기, 대기 오염, 가정 내의 난방과 음식 조리로 발생하는 물질 등

    ③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악화의 주요인
    반복감염은 기도의 정상 방어기전을 파괴하고 세기관지와 폐포를 파괴 시킴
    정체된 분비물은 세균 증식을 하는 가장 좋은 매개체가 됨

    ④ 유전
    a1-항트립신(cl-antitrypsin; AAT): 폐포에서 단백질 용해효소의 폐포 조직의 용해를 억제하는 효소
    AAT가 결핍 시 폐포 조직을 용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어 폐포가 파괴되며 폐기종이 발생

    ⑤ 노화
    폐 구조, 흉곽 및 호흡 근육의 변화를 유발하며 폐기 종에 영향
    → 폐포 지지조직의 감소, 폐포 내 중격의 상실 등으로 폐포의 기능이 저하
    → 산소 확산이 감소되어 동맥혈 산소분압이 저하됨
    기능 잔기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흉부는 술통형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COPD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3개)

    목차

    Ⅰ. 병동실습 보고서
    1. Data collection

    문헌고찰
    1. 질환의 정의 및 원인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
    6. 간호

    본문내용

    Ⅰ. 병동실습 보고서
    1. Data collection

    <표 중략>

    문헌고찰

    1. 질환의 정의 및 원인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원인에 관계없이 장기간 기침, 담(sputum) 분비 및 호흡곤란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 상태를 흔히 만성 폐질환이라고 하고 이 가운데에서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pulmonary emphysema) 및 기관지천식(bronchial asthma)은 원인, 증상 및 치료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칭해서 COPD라고 부르고 있다.

    <그림 중략>

    기침, 객담,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는 만성 기도 질환으로서, 기관지에서 허파꽈리에 이르는 공기 통로인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대기오염과 함께 흡연 인구, 노령인구의 증가로 우리나라에도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만성기관지염의 원인과 폐기종의 원인 모두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흡연이 제일 큰 원인이며 자동차 배기가스, 더러운 공장 매연, 먼지 등이 환경적인 요소이고, 어렸을 때에 폐렴이나 폐결핵과 같은 폐질환에 많이 걸리고 치료를 제대로 못 받아서 허파가 망가지면 이런 변화가 남들보다 빨리 올 수 있다. 사는 곳의 기후, 유전적인 요소, 경제적인 수준도 병을 일으키는 원인 중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vsim vincent brody 브이심 빈센트브로디 COPD, A+자료, 사전문제~레포트까지 총집합

    목차

    1. Vsim pre-simulation quiz (시뮬레이션 전 퀴즈)
    2. Vsim post-simulation quiz (시뮬레이션 후 퀴즈)
    3. vsim 구동 시 tip (순서대로)
    4. 간략한 대상자 정보 리뷰 (대상자가 직면할 수 있는 합병증 포함)
    5. 레포트5번 : Documentation Assignments
    6. 레포트6번 : Guideline Reflection Questions

    본문내용

    1번. The nurse recognizes that risk factors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clude which of the following? (Select all that apply.)
    Air pollution
    Secondhand smoke
    Exposure to dust
    Smoking tobacco
    Alpha1-antitrypsin excess

    2번. Arterial blood gas (ABG) levels may be obtained when the patient is experiencing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How would the nurse interpret the following ABG levels? pH: 7.33 PaCO2: 55 mmHg HCO3: 22 mEq/L PaO2: 78 mmHg
    Respiratory alkalosis with full compensation and normal oxygenation
    Respiratory acidosis with no compensation and mild hypoxemia
    Metabolic acidosis with partial compensation and severe hypoxemia
    Respiratory alkalosis with no compensation and moderate hypoxemia

    3번. The nurse understands that the pathophysiology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related to which of the following?
    Chronic vasoconstriction of airways
    Chronic inflammation and narrowing of airways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