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PD case

  • CPD C/cec 케이스스터디(A+)

    목차

    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문헌고찰
    1. CPD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분만에 미치는 영향
    5) 협골반 시 분만기전
    6) 진단
    7) 관리
    2. C/sec
    1) 정의
    2) 적응증
    3) 수술 전 검사
    4) 수술방법
    5)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Ⅲ. 간호사정
    1. 건강사정
    2. 입원상태 및 신체검진
    3. 과거력
    4. 월경력
    5. 산과력
    6. 가족력
    7. 제왕절개분만
    8. 임상검사
    9. 투약하고 있는 약물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역사적으로 제왕절개 분만은 사망했거나 사망해가는 모성의 신체로부터 영아를 배출하기 위한 기술로 시도되었으나 19세기 이후 현대적 마취와 무균 수술 기술이 발전되면서 국제적으로 제왕절개를 통한 분만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26.9%에서 58.7%로 증가했다.
    주된 상승의 이유로는 한국에서 아이를 낳는 여성의 평균연령이 지속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지목되고 있으나, 분만을 경험한 여성의 연령을 25세 미만 집단, 25-34세 집단, 35세 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한국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지속해서 증가했다. 특히 25세 미만과 25-34세 집단에서 제왕절개 분만율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35세 이상 집단에 비해 더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2012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실태 조사’에 따르면 제왕절개 분만 사유의 1순위는 ‘아두골반불균형’이었다. 이에 따라 아두골반불균형으로 인한 제왕절개 분만을 한 대상자에 대해 케이스 스터디를 하고자 한다.

    Ⅱ.문헌고찰

    1. CPD (cephalopelvic disproportion)

    1) 정의
    아두골반 불균형이란, 아두가 분만 과정에서 골반에 진입할 때 양두정골면(biparietal plane)이 골반 입구를 통과하는데, 이때 아두와 골반과의 사이에 크기불균형이 생긴 것을 의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