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PD Csec

  • A+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제왕절개 C/S cesarean section case study(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

    목차

    목 차

    Ⅰ. 문헌고찰
    1. 제왕절개 정의
    2. 제왕절개 적응증
    3. 제왕절개 종류 및 과정
    4. 제왕절개에 대한 간호
    5. 제왕절개 합병증과 위험성

    Ⅱ. 연구 기간 및 방법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의 적용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제왕절개 정의
    임신부의 복부를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것으로 복벽과 자궁의 절개를 통해 자궁으로부터 태아를 꺼내는 것이다. 모든 분만의 25% 정도를 차지한다.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낮아져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은 더 크다.

    2. 제왕절개 적응증

    산모측 요인
    – 협골반으로 태아의 머리보다 골반 크기가 작을 때

    – 35세 이상의 노초산모

    – 임신중독증 (전자 간 혈압이 130/90 이상으로 단백뇨가 나오고 전신에 부종이 나타날 때, 자간 혈압이 190/90 이상
    으로 단백뇨가 나오며 간질까지 하는 때)

    – 출산 12시간 전에 양수가 터져 아기의 감염이 우려되는 때

    – 출산 전에 양수가 터져 탯줄이 밖으로 나온 때

    – 태아를 밀어내는 자궁의 힘이 약할 때

    – 산모의 혈액형이 RH(-)일 경우

    – 기존에 제왕절개술을 한 경험이 있는 산모

    – 성병으로 자궁경부나 질에 균이 있을 때

    – 유도분만에 실패했을 때
    태아측 요인
    – 태아가 거꾸로 선 경우나 옆으로 누워있을 때

    – 분만전, 분만 중 맥박이 정상이 아니거나 태아의 상태가 나빠져 사산의 위험이 있을 때

    – 태아가 너무 커 골반을 못 빠져 나올 때

    – 제대 탈출 시 태아가 생존한 때

    3. 제왕절개 종류 및 과정

    (1) 제왕절개 종류
    ① 재래식 제왕절개술(classical cesarean section)
    종적 절개가 직접적으로 자궁 체부의 벽으로 이어진다. 자궁체부에 수직절개를 하는 수술방법으로 제왕절개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방광과 자궁하부에 유착이 심할 때 그리고 횡위전치태반이 있을 때 등에 적용된다.

    a. 방광과 하부근육의 유착이 광범위할 때 유용하다.
    b. 전치태반일 때 선택된다.
    c. 태아가 횡위일 때 선택된다.
    d. 혈액 유실이 증가한다.
    e. 추후 분만시 자궁파열 위험이 증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종합실습 췌장암 Pancreatic cancer 문헌고찰&케이스 / 간호진단 2개, CP 2개, 인수인계 보고서 2개 포함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 문헌의 개요

    II. 본 론
    1. 간호사정
    2. 진행기록
    3. 문제목록(Problem List)
    4. 간호진단
    5. 인수인계 상황

    Ⅲ. CP사례
    1. 외과계(췌장암, Pancreatic cancer)
    2. 내과계(천식, Asthma)

    Ⅳ. 인수인계 보고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췌장암(pancreatic cancer)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발생 위험이 높아져 65~80세에 최고의 발생률을 보이며, 2021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췌장암은 전체 암 발생의 3.2%로 8위를 차지했다. 대부분의 이자 종양은 관의 상피세포로부터 발생하는 선종이고, 종양의 절반 이상이 췌장의 두부에 발생하므로 종양이 성장하면서 총담관이 막히고 폐쇄성 황달이 나타난다. 췌장의 종양은 커지기 전까지 아무런 증상이 없어 대부분의 경우 진단 시 이미 전이되어 있다. 대부분은 진단 5~12개월 내에 사망하며, 5년 생존율은 10% 이하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예후가 좋지 않은 췌장암에 대한 원인,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와 간호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지식을 췌장암 대상자에게 적용해보아 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위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2. 관계 문헌의 개요

    이자(췌장, Pancreas)
    1) 구조
    이자는 위와 샘창자(십이지장) 가까이에 있으며, 샘창자 가까이에 있는 두부(head)와 체부(body), 지라(비장) 쪽에 있는 미부(tail)로 이루어져 있다. 성인의 경우 길이는 약 14cm 정도다. 이자관(duct of Wirsung)은 온쓸개관(총담관)과 함께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를 통해 샘창자로 이어진다.

    2) 기능

    내분비기능
    랑게르한스섬에서 인슐린을 생성하여 분비한다.
    외분비기능
    전해질, 수분, 소화 효소를 분비한다. 주 기능은 십이지장 내의 pH조절이며, Na+, K+, Cl‐, HCO3‐ 등의 전해질을 분비한다.

    췌장암(pancreatic cancer)
    췌장은 명치끝과 배꼽 사이 상복부에 위치한 일종의 소화기관으로서 각종 소화효소와 인슐린을 분비하여 장내 음식물을 분해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췌장은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어 분비된 소화효소는 십이지장으로 배출되고 위에서 내려온 음식물들과 섞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A+] 여성간호학 산과 CPD C/SEC / 제왕절개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여성생식기 해부
    2. 난산의 정의 및 원인
    3. 골반의 정의 및 제왕절개 적응증
    4. 아두골반 불균형의 정의 및 원인
    5. 제왕절개 분만의 정의, 유형, 적응증과 금기증, 간호중재
    6. 기본욕구에 따른 사정
    7. 신체검진에 따른 사정
    8. 산욕기 매일 사정 기록지
    9. 현재투여중인 약물이나 처치
    10.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 산모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OECD 회원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비교적 높다.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에게는 감염과 이로 인한 사망, 전신적 기능저하, 골반 통증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고, 신생아에게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및 모유수유 지연의 문제를 초래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전체 분만 중 제왕절개를 통한 분만이 15%를 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한국은 여전히 15%를 훌쩍 넘는 제왕절개 분만율을 가지고 있다.
    제왕절개의 이유 중 반복제왕절개와 함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아두골반불균형(CPD)은 내가 실습한 OO병원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사례였고 CPD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case study로 선정하게 되었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하여 c/sec과 CPD에 대해 구체적으로 공부하고, 그에 따른 간호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00월 00일부터 00월 00일까지 5일 동안 00병원 5층 병동에 CPD c/sec으로 입원한 OOO 환자를 대상으로 문헌고찰, EMR, 간호수행 과정 중의 경험, 지속적인 관찰, 의료진과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여성 생식기 해부
    여성 생식기(female reproductive organs)는 골반강(pelvic cavity)에 위치한 내생식기와 치골(pubis)에서 회음(perineum)까지의 외생식기로 구성된다.

    (1) 외생식기
    여성의 외생식기 또는 외음(vulva)은 치골부(pu-bes)에서 회음 사이에 보이는 모든 구조물을 포함한다.

    ① 치구
    → 치구(mons pubis)는 치골 결합(pubic symphysis)의 앞면을 덮고 있는 곳으로 지방조직과 결합조직으로 채워진 융기된 부분이며, 성관계 시 치골 결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사춘기 이후 음모가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