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PR

  • CPR (ACLS – Cardiac Arrest Algorithm)

    목차

    1. Chain of Survival

    2. Cardiac Arrest Algorithm
    – CPR
    – Defibrillator
    – Endotracheal intubation
    – Airway & Drug
    – Position for 6 person high performance team
    – CPR record

    본문내용

    CPR Quality

    최소 5cm의 깊이, 분당 100~120회 속도로 빠르고 강하게 가슴을 압박

    Chest Compression 중단 최소화
    ★ Ambu-bagging/Compression 교체 시기에 Pulse/ECG를 확인

    Compression 매 2분마다 또는 힘이 들면 그보다 빨리 압박자를 교체

    Advanced Airway없는 경우는30:2 (압박 대 인공호흡비)
    Advanced Airway있는 6초에 한번 ambu-bagging

    CPR 효과 재평가 필요-PEtCO2(Pressure Endo-tidal Co2,호기말 이산화탄소압)​이10mmHg 미만일 경우 (capnography)- Arterial Pressure 중 Diastolic Pressure 20mmHg미만
    (ABP 모니터링)

    출처 : 해피캠퍼스

  • 응급약물 및 제세동기(적응증) 및 사용법, CPR

    목차

    1. 응급약물
    2. 제세동기 사용법
    3. 심폐소생술(CPR)

    본문내용

    1. 응급 약물
    (1) atropine sulfate 0.5mg/1ml

    ㉢ 용량/ 용법

    – 무수축 환자
    : 1㎎ iv push, 3~5min간격으로 반
    복 투여
    – 서맥환자
    : 0.5㎎~1.0㎎ iv, 적절한 심박 조율
    수가 유지될 때까지 3~5분간격으로
    반복 투여 총 3㎎(0.04㎎/kg)초과안
    되도록함.
    기관 투여시 1.0~2.0㎎(일반적으로
    정맥용량 2배가 필요)을 10㎖이상
    의 N/S에 mix투여하고, ambu하면
    10분 후에 흡수

    ㉣ 부작용/ 주의사항

    0.5㎎보다 적은 용량을 투여할 시
    심한 서맥, 심실세동 유발

    심근경색 또는 허혈성 빈맥은 심실
    빈맥이나 심실세동 유발
    ->반복투여X

    5㎎이상 투여시 과도한 부교감 신
    경 차단 효과

    녹내장 환자는 안내압 증가
    완전방실차단에서는 심박수 증가X
    저체온증에 의한 서맥시 사용X

    출처 : 해피캠퍼스

  • 응급처치(CPR)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현장을 조사한다. (Check)
    ① 시청각, 후각을 활용하여 현재 어떤 상황인지 파악한다.
    ② 주변 도로를 통제하는 등 자신과 환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③ 환자의 어깨를 두드리며 의식상태를 확인하고 맥박, 부상상태 등도 파악한다.
    ㉠. 의식이 있다면, 나의 신분과 응급처치 교육 여부, 현재 행할 응급처치에 대해 간단하게 알린다.
    ㉡. 의식이 없다면, 환자의 보호자에게 동의를 구하거나 환자의 반응상태가 없다면 응급처치
    자의 판단에 따라 행동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장내과] 심폐소생술(CPR) 및 자동제세동기(AED) 사용법

    목차

    I. 심폐소생술(CPR)
    1. 심폐소생술의 이해
    2. 기본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3. 시간경과에 따른 결과
    4. 심장마비란?
    5. 생존사슬
    6. 심정지 응급처치(CAB)
    7. 심폐소생술의 적용

    II. 자동제세동기(AED)
    1. 자동제세동기

    본문내용

    1. 심폐소생술의 이해
    1) 심폐소생술이란? 심장이 멈추고 숨을 쉬지 않는 사람에게 할 수 있는 응급처치법
    골든타임은 단 4분 이내

    2. 기본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
    1) 기본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 : 심폐소생술 시 최소한의 심폐소생술을 실시
    2) 전문심장소생술(ACLS,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 전문소생팀이 도착하여 시행하는
    전문적인 처치

    3. 시간경과에 따른 결과
    1) 4~5분: 임상적 사망 → 5~6분: 뇌손상 → 6~10분: 뇌사 → 10분~ : 생물학적 사망
    **임상적 사망: 심정지가 발생한 직후 제세동기나 인공호흡기계를 통해 소생 또는 생명유지가 가능한 상태

    4. 심장마비란?
    1) 심장정지 : 갑작스런 심장수축의 중단으로 사망에 이르는 과정
    → 심장정지 시 즉시 가슴 압박을 통해 조직에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해야 함.

    5. 생존사슬
    1) 생존사슬 : 심장정지가 발생한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실행되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의 연결고리
    → 심정지 발생 시 생존사슬의 각 요소가 효과적으로 실행되어야 생존 가능성이 커짐

    6. 심정지 응급처치(CAB)
    1) 심정지 응급처치 순서 : C(Circulation) → A(Airway) → B(Breathing) → D(Defibrillation)

    출처 : 해피캠퍼스

  • 심폐소생술

    목차

    1. 심폐소생술 이란?
    2. 심폐소생술의 유형
    3. 심폐소생술의 필요성
    4. 심폐소생술 기본원리
    5. 심폐소생술의 CPR법칙
    6. 심폐소생술 실행방법 (성인과 소아)
    7. AED 자동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 사용방법

    본문내용

    1. 심폐소생술 이란?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 심폐소생술이 시행된다 하더라도 모든 심정지 환자가 소생되는 것은 아니다.

    2. 심폐소생술의 유형
    (1) 기본 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사람이 현장에서 의료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심정지 확인, 119신고, 기도열기, 인공호흡, 가슴압박 등의 기본 응급처치를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의 초기 단계- 최근에는 자동제세동기(AED) 보급으로 자동제세동기 이용포함 포함

    (2) 전문 심장 소생술(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심정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한 이후에 의료진에 의하여 시행되어지는 전문기도유지술, 제세동, 약물투여, 심정지의 원인에 따른 처치 및 소생 후 처치 등의 전문 응급처치

    출처 : 해피캠퍼스

  • CPR,응급약물 종류,적응증 및 주의사항

    목차

    1. 응급 상황시

    2. 응급약물 종류
    1) 효능,효과
    2)용법,용량
    3)주의사항
    4) 적응증

    3. Emergency cart

    본문내용

    응급상황시

    1)심정지 환자 발생 시 환자상태 확인
    2)코드블루+층+장소로 도움요청
    3) CPR 시작(가슴압박:인공호흡=30:2 반복)
    4) 4분이내 심폐소생술 팀 및 제세동기 실시
    →팀리더(내과 당직의),팀의사,인턴,간호사1+2+3+4 역할 숙지

    응급약물의종류

    1.Epinephrine 1mg/1ml
    2.Atropine 0.5mg/1ml
    3.Norpine 4mg/5ml, Norpine 20mg/20ml
    4.Sodium bicarbonate 20mEq/20ml
    5.Codarone 150mg/3ml
    6.Dopamine HCL 200mg/5mL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