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RISPR/CAS9 system

  • [A+] 정신실습, 조현병, 개별화된 서비스 계획(ISP)에 관한 사례보고서

    목차

    1. 사정 기록
    1) 개인 정보
    2) Assessment
    3) 환자의 상태
    4) 기타

    2. 개인 상담 일지

    3. 개별화된 서비스 계획

    본문내용

    Assessment(병력, 일상생활, 사회기술, 직업재활, 욕구 등)
    ※외양/태도/행동
    – 외양: 머리는 감지 않아 기름지고 쉰 냄새가 나며, 빗질하지 않은 헝클어진 흰색의 긴 머리임. 계절에 적적한 반팔 티를 입고 있음. 손톱과 발톱은 자르지 않아 매우 길었음. 배가 많이 나왔고 어깨가 구부러져 있고 벽에 기대지 않으면 가만히 앉아있지 못함. 발바닥은 각질이 많았음.
    – 태도: 처음 질문을 했을 때는 눈을 마주치며 이야기를 하나, 대화 주제에 벗어난 사고이탈을 보임.
    – 행동: 대화를 나눌 때 이야기가 길어지면 눈을 깜박이고 한 곳만 응시하면서 말하는 자동증이 나타남.
    ※주 호소:
    – “돈이 없어”
    – “쓰레기봉투 버리는 날짜를 몰라 못 버리고 있어”
    – “머리를 감으면 점검하는 한 달 계획표 종이 잃어버려서 이번 달에 머리를 한 번도 감지 못했어.”
    ※과거 및 현병력
    – 조현병
    ※입원사유:
    – 행정입원
    ※주증상
    – 환청이 들릴까 봐 전화선도 빼놓은 상태
    – 사고과정에서 사고이탈을 보임.
    ※직업력: 무직
    ※대인관계:
    – 현재 홀로 살고 있으며, 가끔 일요일에 교회에 감.
    – 한 달에 2번씩 정신건강 복지센터 직원과 대화를 나누는 거 외에는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이 없음.

    출처 : 해피캠퍼스

  • CRISPR/Cas9 system

    목차

    없음

    본문내용

    CRISPR와 Cas는 각각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와 ‘CRISPR-associated sequences’의 약자로 박테리아의 면역체계에서 영감을 받은 유전자 편입 기술입니다. 박테리아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획득한 외부 DNA 조각을 기억하여, 다시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될 때에 특정 부위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기능입니다.
    CRISPR 배열은 박테리아가 과거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때 획득한 외부 DNA 조각을 기억하는 기억체와 같은 요소로,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DNA 염기서열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세균 세포가 파지라고 불리는 세균 특이적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대부분 세균은 죽지만, 일부는 살아남아 바이러스의 DNA 일부를 잘라 자신의 유전체에 차곡차곡 삽입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