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VA

  • [물리화학실험]순환 전압 전류법(CV)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토의 사항

    본문내용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일정 전위기
    일정전위기(potentiostat)는 3전극(three electrode)을 기반으로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제어하는 전기 화학 시스템을 말한다. 3전극은 관심 있는 반응이 일어나는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 전위가 바뀌지 않는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 작업 전극의 전류 흐름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 전극(auxiliary electrode, counter electrode)으로 구성된다.
    기준 전극은 작업 전극의 전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점으로서 기준 전극에 대해 전위가 작업 전극에 나타난다. 작업 전극과 보조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전류계로 측정한다. 기준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은 거의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준 전극의 전위는 거의 일정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정전위기는 전위가 제어되는 전기분해 시스템에 적합하며, 전기 회로의 구성을 위해서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를 사용해야 한다.

    나. 전위 주사 실험
    전위 주사 실험에서는 작동 전극의 전압을 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변화시키며 전류를 측정한다. 선형주사전압(linear sweep voltammetry, LSV): 초기전압에서 최종전압까지 한 번의 전압 변화를 주는 경우.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 초기전압에서 최종전압까지 도달했다가 다시 초기전압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경우. 농도 변화는 없고 지지 전해질을 사용해서 이온의 이동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전극의 면적이 작다고 가정하여 확산은 전극의 수직방향으로 선형 확산만 가능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CVA 급성기치료 및 간호

    목차

    없음

    본문내용

    뇌혈관질환의 종류
    1. CVA (Cerebral Vasculer Accident) 뇌 혈관성 장애, 뇌졸중, 중풍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

    2. EDH (epidural hematoma) 경막외출혈 (경질막바깥혈종)
    두개골(머리뼈, cranial bone)과 경막(경질 마구, dura mater) 사이에 생긴 혈종

    3. SAH (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출혈 (거미막하출혈)
    보통 뇌 표면의 파열로 인해 뇌막의 중간층인 거미막 밑 공간에 출혈
    – Traumatic SAH(T-SAH)
    외부적 충격으로 인해 대뇌동맥 중 하나가 일부 손상을 입어 발생한 출혈
    – Spontaneous SAH(S-SAH)
    외부적 충격 없이 대뇌동맥 중 하나가 일부 손상을 입어 발생한 출혈

    4. SDH (subdural hematoma) 경막하출혈 (경질막밑혈종)
    두부외상으로 경막 안쪽에 혈종이 형성된 병변

    종류
    뇌경색(Infarction)
    – 뇌혈관이 막힘으로써 혈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던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
    – 허혈성 뇌졸중(Iscemc stroke) & 경색성 뇌졸중
    뇌출혈(Hemorrhage)
    – 뇌혈관이 터짐으로써 뇌 안에 피가 고여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는 것
    –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

    증상
    – 반신마비 : 한쪽 뇌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반대쪽에 마비 발생.
    뇌간에 뇌졸중 발생 시 사지마비
    – 반신 감각 장애 : 손상된 뇌의 반대쪽 얼굴이나 사지에 감각장애가 발생.
    심한 경우 저리거나 통증 발생
    – 언어 장애(실어증) : 좌뇌에 뇌졸중 발생 시 우측 반신마비와 함께 실어증 발생
    – 구음 장애 : 말을 하거나 알아들을 수 있으나 혀,목구멍, 입술 등의 근육에 마비가 발생 정확한 발음이 어려워지고 연하장애가 동반됨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