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DDS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1. PLGA 나노 입자의 합성과 수용성 약물 봉입 방법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1) PLGA의 합성법
    2) W/O/W emulsion method
    3) PLGA 나노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

    6. References

    본문내용

    PLGA는 높은 생체 적합성과 생분해성, 가공성으로 Drug Delivery System(DDS) 등의 디바이스로 응용되고 있다. 이는 가장 효과적인 polymeric nano particle 중 하나로서, 미국 FDA에서는 몸속에서 오랜 시간 천천히 약물이 방출되는 controlled & sustained-release 특성과 낮은 독성, 조직과 세포에 대한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DDS로서 이를 사용할 수 있게 승인하였다. 하지만 낮은 세포 부착율과 큰 size가 DDS로 사용되는 데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 PLGA 분말을 Nano size화 시켜서 DDS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은 대표적인 생분해성 고분자인 PLGA의 구조적,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PLGA를 이용하여 nanoparticles를 합성하고, 이에 수용성 약물을 봉입하여 약물전달체로써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Liposome 제형을 이용한 약물전달기술

    목차

    I. Liposome

    II. Liposome 제조 기술

    III. Liposome 활용

    IV. Liposome 의약품
    1. Doxil®
    2. AmBisome®
    3. Exparel ®
    4. Liporaxel

    본문내용

    Liposome?

    정의: 인지질을 수용액에 넣었을 때 생성되는 인지질 이중층의 속이 빈 방울 같은 구조를 이룬 것을 말함
    – 인지질은 세포막의 주요 성분으로 리포좀은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수해 크기가 커질 수도 있고, 커지면 작은 리포좀 방울로 분리될 수 있음
    – 인지질은 친수성 특성을 가지는 Head 그룹과 소수성 특성을 가지는 Tail 그룹으로 나눌 수 있음.
    – 따라서, 리포좀 생성 시 이중층의 내부는 친수성의 특성을 가져 친수성 약물을 담지할 수 있고, 이중층 사이는 소수성 특성을 가져 소수성 약물을 담지할 수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