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distal radio-ulna

  • Fracture distal radio-ulna 케이스 /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 A+받음!!! / 간호과정 3개 / 치료적의사소통 / 완전!!!! 꼼꼼함

    목차

    I. 서론
    1. 입원 전 환자 Symmary
    2. 일반적 사항
    3.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1) 낙상사정 평가
    2) 욕창위험도 평가
    2. 검사 및 치료과정
    1) 활력징후 (V/S)
    2) 검사결과
    3) 약물치료
    3.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4. 간호계획 및 수행

    Ⅲ. 결론
    1. 결론 및 제언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환명
    Fracture distal radio-ulna (Lt.)

    정의

    노인에게 많은 골절로 타박상과 같은 사소한 외상에 의해서 흔히 발생한다. 골절선의 부위에 의해 내측골절, 외측골절로 나누어진다.
    – 전완골절 : 전완부에서 일어나는 골절로 요골과 척골이 동시에 골절되는 경우와, 요골 혹은 척골이 단독으로 골절되는 경우가 있다.

    ▶ 대상자는 척골과 요골 모두 하단의 폐쇄성 골절이다.

    원인

    문헌조사
    주 원인
    ① 교통사고나 타박상과 같은 직접력에 의한 경우
    ② 손을 짚고 넘어질 때 발생하는 간접력에 의한 경우
    – 직접력 : 두 뼈가 같은 수준으로 가로 골절을 일으키는 것
    – 간접력 : 서로 다른 수준으로 사선 모양 또는 나선 모양 골절을 일으키는 것

    사례대상자
    4m 언덕에서 도랑으로 떨어졌으며, 상처상태는 폐쇄성 골절이며, 골절 형태는 분쇄골절로 골절편이 3개 이상으로 부서진 상태 이다.

    증상

    문헌조사

    일반적인 골절 증상
    – 골절 발생 부위 주변으로 통증과 압통
    – 골절 부위에 체액이 증가하고 출혈로 인한 부종과 종창
    – 피부 바깥에 보이는 점상출혈
    – 신경손상이 동반될 경우 감각이상과 저린 느낌
    – 심한 외상으로 인한 골절의 경우 쇼크

    사례대상자
    수상당한 후 골절 부위의 NRS 8점의 둔하고 욱신거리는 통증이 지속 됨.
    통증과 압통을 느끼며, 골절부위의 피부 부종을 확인함.

    치료

    문헌조사
    비수술적 치료
    ① 도수정복, closed reduction
    : 골절이 되어 어긋나 있는 뼈를 수술 없이 바로 맞추는 것
    ② 고정, immobilization
    : 석고 부목, 석고붕대 고정, 보조기 이용, 견인 등

    수술적 치료
    ① 외고정, external fixation
    : 골절부 상하에 핀을 삽입한 후 외부에서 석고 붕대고정이나 금속기기를 이용하여 골절을 고정하는 방법
    ② 내고정
    : 골절 부위를 정복하고 여러 가지 내고정 기구를 이용하여 골절의 고정을 이루는 방법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