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Distributive Shock

  • [A+] 요로감염 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Urinary Tract Infection, Case Study, 신장비뇨기 실습

    목차

    1. 간호력

    2. 질병의 기술 – Urinary Tract Infection

    3. 건강사정
    1) 신장, 체중, BMI
    2) 활력징후(임상관찰기록)
    3) 항암화학요법
    4) 계통별 건강사정

    4. 입원 중의 처치
    1) 경구, 비경구적 투약 및 정맥 수액 주입
    2) 처치

    5. 진단검사
    1) 일반생화학 검사
    2) 방사선 검사 및 특수검사

    6. 간호 과정

    본문내용

    1.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 환자명: 이OO • 나이/성별: 65세/F • 신장/체중: 157.4cm/56.4kg • BMI: 22.77kg/㎡(정상)
    ● 병동: • 입원 날짜:2023.11.04. • HOD: 6일(11/10기준)
    ● 입원 동기: 내원 3일 전부터 소변량 감소하였다고 하며 내원 전일 23시 30분경부터 발열 있어 11월 4일 02시 경 본원 응급실 통해 입원함.
    ● 진단명[주] Kidney Transplant Status, 신장 이식 상태[부] Urinary tract Infection, site not specified. 부위가 명시되지 않는 요로감염

    2) 주호소: fever

    3) 현병력: fever
    ● Onset 발생 시기: 2023.11.03. 23:30
    ● Location 발생 부위: 전신
    ● Duration 지속 기간: 해열제 미투여 시 38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음.
    ● Characteristics 특징: 신장 이식 후 3번째 발열 증상으로 입원함.
    ● Aggravating/alleviating factors 악화/완화요인: 해열제 투여 시 완화
    ● Relate symptoms 관련 증상: 배뇨 시 작열감, 잔뇨감
    ● Treatment 치료: 해열제 투여, 항생제 투여 및 관찰
    ● Severity 중증도: 최고 39.2도까지 오름.

    4) 과거병력:
    ● 수술력: (+)2023.08.15.)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DDKT, 뇌사자 신이식
    ● 입원력: (+)23.08.15 신장 이식, 이후 2회 요로감염으로 입원력 있음.
    ● Chronic Pyelonephritis / GN-ESRD on HD 사구체신염-말기신부전
    ● 고혈압(+), DM(-)
    ● Epilepsy on medication

    출처 : 해피캠퍼스

  • ATLS shock

    목차

    없음

    본문내용

    Definition of shock
    Inadequate tissue perfusion and oxygenation

    Basic cardiac pathophysiology
    Preload = Right atrial pressure – Mean systemic venous pressure
    1. Venous volume that serves as reservoir
    2. Venous volume that contributes to MSVP

    Myocardiac contractility
    Preload determines fiber length according to Starling law

    Afterload : resistance to the forward flow of blood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케이스스터디,요로감염,UTI간호과정2개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3. 간호정보
    4. 신체검진
    5. 진단적 검사
    6. 약물요법
    7. 간호과정 적용
    8.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요로감염은 신장과 방광, 신장과 요도간의 거리가 성인의 비해 매우 짧고 세균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아동에게 때문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번 아동간호학실습을 통해 요로감염의 원인과 병태생리, 진단검사, 치료와 예방에 대해 자세히 공부해 보고 싶어서 case로 잡게 되었다.

    (2) 문헌고찰
    1. 원인 및 발생 빈도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가 원인일 수 있고, 상부 또는 하부요로에서 발생한다. 방광염은 요도 또는 방광을 포함한 하부요로감염이다. 깔때기공팥염은 자궁과 콩팥깔때기,신실질을 포함한 상부요로감염이다. 요로감염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요로감염은 아동에게 매우 흔한데, 7세 여아의 8%, 남아는 2%가 경험한다.

    2. 병태생리
    아동의 요로감염의 대부분은 그람음성 장내세균인 대장균이 일으킨다. 요정체는 구조적 이상이나 비정상적인 기능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성방광은 척수수막류나 척수외상으로 인해 신경공급이 중단된 것으로, 방광의 배뇨 기능을 저하시키고, 불완전한 배뇨를 유발한다. 아동은 정상적으로 하루 5회 또는 6회 배뇨를 한다. 학령기 아동에게 흔히 나타나는 드문 배뇨는 불완전한 배뇨와 요정체를 야기한다. 요로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기타 요인은 위생불량, 배변 후 불충분한 씻기, 회음 부위의 자극 등이 있다. 생후 첫 해에 포경수술을 받지 않은 남아, 변비, 여성 청소년의 성활동 또한 아동의 요로감염 발생률을 높인다. 배뇨 동안 방광에서 요관으로 소변이 역류하는 방광요관역류가 요로감염의 또 다른 원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사례 보고서 요로감염(UTI)

    목차

    I. 질병기술

    II. 일반적 사항

    III. 병력
    III-2. 과거력(과거의 건강 문제)

    Ⅳ. 간호력 및 신체검진
    Ⅳ-1. 간호력
    Ⅳ-2. 신체 사정

    Ⅴ.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Ⅵ. 약물

    Ⅷ.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로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
    1. 병태생리
    1) 정의
    ①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신생아나 영유아 요로감염은 신생아(출생 후 28일 이내)나 영유아(1~2세)에서 발생하는 요로계통의 감염을 의미한다.
    주로 세균에 의해 야기되며 대장균이 가장 흔한 감염 원인균이지만, 기타 세균도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은 비뇨관을 통해 방광으로 진입하고, 감염이 심해지면 방광 내부를 침범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영유아의 경우, 요로계통이 아직 성장 중이며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인보다 더 쉽게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우, 요로감염은 생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출생 시 비뇨관에 있는 세균이나 기타 감염 원인체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합병증 예방을 위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복구할 수 없는 요로 이상이 있지 않는 한, 적절한 치료를 받는 소아가 신부전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반복적인 UTI, 중증의 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VUR)를 앓는 소아에서 반복적인 UTI는 신장 반흔을 야기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고혈압과 만성 신장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원인
    ① 세균 감염
    대장균은 신생아와 영유아의 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신생아의 경우, 출생 시 비뇨관에 있는 세균, 기타 감염 원인체가 원인이 될 수 있다.

    ② 비뇨기관의 불완전한 발달
    비뇨기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하다. 요로관의 길이나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세균이나 감염 원인체가 쉽게 침입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pproach to shock

    목차

    없음

    본문내용

    DEFINITION

    State of cellular and tissue hypoxia due to reduced oxygen delivery and/or increased oxygen consumption or inadequate oxygen utilization

    Reversible -> irreversible organ dysfunction

    “Undifferentiated shock”

    CLASSIFICATION AND ETIOLOGY

    Distributive

    Cardiogenic

    Hypovolemic

    Obstructive

    Combined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