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DLS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8. Polyethylenimine (PEI)을 이용한 siRNA 응축과 나노 입자 형성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1) 각 N/P ratio에 따른 크기 및 zeta-potential 값을 비교하고 어떤 경향성이 있는지 찾아보시오.
    2) 저분자량 PEI와 고분자량 PEI를 사용하였을 때 나노입자의 크기를 비교하시오.

    5. Discussions
    1) siRNA의 작용원리에 대해 조사하여 introduction에 쓰시오.
    2) N/P ratio, PEI 분자량이 siRNA/PEI 나노복합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찾아보시오. (크기 및 표면 전하 외에도 영향을 받는 다른 것이 있으면 찾아보아라.)
    3) 상용화된 양이온성 유전자 전달용 고분자에 대해 좀 더 조사하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이번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유전자 전달용 양이온성 고분자인 polyethylenimine (PEI)을 이용해 siRNA/PEI 나노입자를 만들고, DLS와 zeta potential 측정을 통해 결과를 확인해보았다. 또한 저분자량 (low molecular weight 0.8 kDa) PEI와 고분자량 (high molecular weight 25 kDa) PEI를 사용하였을 때의 나노입자 크기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실험 결과 N/P ratio가 5, 10, 20으로 증가함에 따라, 0.8 kDa의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각각 303.8 d.nm, 677.4 d.nm, 452.8 d.nm였다. 25 kDa의 경우,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각각 383.4 d.nm, 677.4 d.nm, 452.8 d.nm였다. 두 결과 모두 특정한 경향성을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이론적인 결과는 N/P ratio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입자의 크기는 감소해야 한다. 다음으로 N/P ratio가 5, 10, 20으로 증가함에 따라, 0.8 kDa의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zeta-potential은 각각 -0.676 mV, 0.079 mV, 6.001 mV였다. 25 kDa의 경우, siRNA/PEI 나노 복합체의 zeta-potential은 각각 9.33 mV, 11.8 mV, 4.74 mV였다. 두 결과 모두 Free-siRNA의 zeta-potential이 -8.03 mV인 것에 비해 대체적으로 양전하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N/P ratio에서 저분자량과 고분자량 PEI를 사용한 나노 복합체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대체적으로 저분자량 PEI를 사용했을 때가 고분자량 PEI를 사용했을 때보다 나노 입자의 크기가 더 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2. PVA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 변화 관찰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1) PVA의 농도에 따른 PLGA 나노 입자의 크기와 zeta-potential이 어떻게 변하는지 그 경향성을 밝히고 그 이유를 써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은 저번 실험과 같이 이미 존재하는 PLGA[lactic acid: glycolic acid(65:35)] 분말을 사용해, W/O/W double emulsion method를 통해 methylene blue가 봉입된 nano particle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PVA 농도가 PLGA 나노 입자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PLGA의 PVA 농도를 1%, 5%로 나누어 만들고 Dynamic Light Scattering(DLS)로 입자의 크기, PdI, Zeta-potential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PVA의 농도가 증가할 경우, 입자들 간의 반발력이 커져 응집현상을 막아 나노 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나노 입자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 우리 조의 결과는 PV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증가하였다. 하지만 전체의 데이터를 분석했을 때는 PV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나노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고, zeta-potential의 절댓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 W/O/W double emulsion 기법을 이용해서 methylene blue가 봉입된 PLGA 나노 입자를 만들고 PVA의 농도에 따른 나노 입자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한다.
    – 실험 원리
    1. W/O/W emulsion method
    오일이 물에 분산되거나 반대로 물에 오일이 분산된 것을 emulsion이라 한다. 물과 유기 용액을 매우 균일하게 섞어 o/w emulsion을 만든 후에 이를 다시 물에 넣어 균일하게 섞은 후에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나노 입자를 고체 상태로 얻는 방법이 w/o/w emulsion method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강대 화공생명공학실험1 A+ < 콜로이드 나노 입자의 안정성 > 레포트

    목차

    <Pre-Report>
    Ⅰ. 실험 목적
    Ⅱ. 배경 이론
    Ⅲ. 유의사항
    Ⅴ. References

    <Main Report>
    Ⅰ. 실험 방법
    Ⅱ. Data & Results
    Ⅲ. Discussion
    Ⅳ. Conclusion
    Ⅴ. References

    본문내용

    Ⅰ. 실험 목적
    구리 나노 입자(Cu NP)를 합성한다. 분광학을 이용하여 UV absorbance와 Size distribution을 측정한다. 이를 통해 Cu NP 콜로이드의 안정성을 분석한다.
    Ⅱ. 배경 이론
    1. 콜로이드
    콜로이드는 수 nm부터 수 μm 사이의 크기를 가진 입자가 다른 물질에 분산된 혼합물이다.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입자가 용매에 떠다니는 상태이며, 수용액에서 전하에 의해 분산된다. 틴들 산란, Brown 운동, 흡착이 콜로이드의 대표적 특징이다. 분산계는 미세한 입자가 다른 매질에 흩어진 물질계이고, 분산질은 분산된 입자, 분산매는 분산질을 둘러싼 물질이다. 콜로이드 분산계는 최소 2개 이상의 상으로 구성되며 분산질과 분산매의 상에 따라 분류된다. 이번 실험에서 합성할 Cu NP는 분산질은 고체, 분산매는 액체 수용액이므로 Sol(졸)이다.

    <중 략>

    Ⅳ. Conclusion
    이번 실험에서는, Di water, KI, CuSO4, NaBH4 를 첨가하여 Cu NP 합성 반응을 진행한 결과, 붉은색 용액을 얻을 수 있었다. 이후 일부를 공기에 노출해 산화시키고, H2SO4 를 첨가해 응집시켰다. 산화된 Cu NP 는 노란색, 응집된 Cu NP 는 검은색을 띠는 것을 확인했다. 색 변화 외에도 UV-Vis Spectrum 으로 fresh Cu NP 용액을 분석한 결과, 약 550nm 에서의 강한 흡광을 확인하여 LSPR 을 일으키는 Cu NP 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고 판단했다. DLS 를 이용하여 size 를 특정한 결과, fresh Cu NP 는 10~100nm 사이에서, 응집된 Cu NP 는 400~1000nm 사이의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합성한 물질이 Cu NP 임을 확신했다. 실험 종료 후, 반응물 시약 별 첨가 순서와 농도를 반드시 지켜야 하는 이유에 대해 분석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