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doxorubicin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7. PLGA-doxorubicin 나노 입자를 이용한 세포 독성 평가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s
    1) 같은 농도의 항암제가 포함된 나노 입자와 free doxorubicin의 독성을 비교했을 때, 왜 free doxorubicin에서 세포 독성이 더 높게 나타나는지 그 이유를 예측해보아라.
    2) 일반적으로 Doxorubicin과 같은 항암제는 장기간 사용 시 후천성 내성이 발현되어 약물의 암세포 내 유입을 감소시키고 약물의 필요를 증가시킨다. 암세포의 다수 약물에 저항성 (Multi-drug resistance, MDR)에 대해 조사하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이번 실험에서는 PLGA-doxorubicin 나노 입자를 이용하여 암세포 치료 효과를 다양한(0.04 ug, 0.16 ug, 0.3 ug) DOX 농도별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나노 입자를 통한 약물 전달과 free DOX를 통한 세포 치료 효과를 각각 비교해 보았다.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MTT에 의한 세포 대사 활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항암제를 투여하지 않은 배지와 농도별로 항암제를 처리한 배지의 UV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세포의 생존 비율(cell viability)을 계산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크게 두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각 DOX 처리하는 방법 별로 DOX의 농도의 변화에 따라 cell viability를 비교할 수 있다. DOX-PLGA NPs와 Empty PLGA NPs를 처리하였을 때는, DOX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ell viability가 감소하였다. 반면 Free DOX를 처리하였을 때는, DOX의 농도가 변화해도 일정한 cell viability를 보였다. 두 번째로, 각 농도 별로 DOX의 처리 방법에 따른 cell viability를 비교해보았다. 0.04 ug의 DOX를 처리하였을 때는, Empty PLGA NPs, DOX-PLGA NPs, Free DOX 순으로 cell viability가 감소하였다. 0.16 ug의 DOX를 처리하였을 때는, Empty PLGA NPs, Free DOX, DOX-PLGA NPs 순으로 cell viability가 감소하였다. 0.3 ug의 DOX를 처리하였을 때는, Free DOX, Empty PLGA NPs, DOX-PLGA NPs 순으로 cell viability가 감소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6. MTT assay를 통한 세포 viability 측정 (엑셀 계산과정 포함)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1) DOX 농도에 따른 세포 viability를 구하라.

    5. Discussions
    1) 생존 세포수가 MTT assay를 통한 UV 흡광도와 비례하는지 확인하고 그렇지 않았다면 그 이유를 예측해보아라.

    6. References

    + 엑셀 계산 과정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에서는 MTT assay를 이용하여 항암제로부터 살아있는 세포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이를 통해 암세포에 대한 doxorubicin의 독성평가를 해보았다. MTT assay는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MTT에 의한 세포 대사 활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항암제를 투여하지 않은 배지와 농도별로 항암제를 처리한 배지의 UV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세포의 생존 비율(cell viability)을 계산할 수 있다. 실험 결과, DOX의 농도(첨가된 질량)가 untreated, 0.2 ug, 0.4 ug, 0.8 ug으로 증가할 때, UV의 흡광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백분율로 나타낸 cell viability는 untreated sample에서 100%라고 했을 때, 처리된 DOX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ell viability가 55.12%, 28.32%, 26.21%로 점점 감소하였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DOX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암세포에 대한 독성은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항암제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적인 세포 생존성 측정 방법인 MTT assay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험 방법을 배운다.
    1. MTT assay
    : 세포 대사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colorimetric assay로,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을 청자색의 비수용성의 MTT formazan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4. PLGA-doxorubicin 나노 입자의 약물 봉입 효율 평가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1) 실험 결과에 drug encapsulation efficiency를 구하는 방법을 서술하고 값을 나타내라.

    5. Discussions
    1) PLGA 나노 입자의 drug loading efficiency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토의하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이번 실험에서는 double emulsion 방법을 이용하여, 항암제인 doxorubicin(DOX)이 봉입된 PLGA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저번 실험을 통해 얻은 standard curve(y=0.0044x)를 이용하여, PLGA 나노 입자의 약물 봉입 효율(drug encapsulation efficiency)을 정량해보았다.
    Doxorubicin은 암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유방암, 방광암, 백혈병, 림프종, 신경모세포종, 육종 등 많은 종류의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treptomyces peucetius 세균에서 유래하며, DNA에 손상을 입혀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 DOX를 약물에 주입하면 drug delivery system에 의해 항암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3. 흡광도를 이용한 Doxorubicin 농도 구하기 (엑셀 계산과정 포함)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1) DOX 용액의 빛 흡수 스펙트럼을 얻고 최대 흡광도가 관찰되는 파장을 정의하라.
    2) 2.DOX 용액의 농도에 따른 흡광도 값을 이용하여 standard curve를 완성하고 농도와 흡광도에 대한 관계식을 각각 구하라.

    5. Discussions
    1) 실험 결과가 Beer-Lambert 법칙과 일치하는지에 대해 토의하라.

    6. References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은 항암제인 Doxorubicin에서 얻어지는 빛 흡수 스펙트럼을 구하고,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파장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Doxorubicin을 희석하여 농도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standard curve를 그림으로써 Beer-Lambert Law와 성립하는지 알아보았다.
    Beer-Lambert Law에 따르면, 용액의 농도와 흡광도는 비례한다. 이번 실험의 결과로 얻은 standard curve의 평균 기울기는 0.0044로, ‘y=0.0044x’의 관계식에 따라서 Doxorubicin 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도 증가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약간의 오차를 보이지만 전체적인 경향으로는 농도와 흡광도가 비례하므로 Beer-Lambert Law에 성립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항암제인 Doxorubicin에서 얻어지는 빛 흡수 스펙트럼을 구하고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파장을 찾아본다. Beer-Lambert을 이용하여 각 농도별로 흡광도를 구하고 이를 통해 각 화합물의 흡광도 vs 농도에 관한 standard curve를 얻는다.
    1. Beer-Lambert Law
    기체 및 용액에서 빛의 흡수에 관한 Lambert 법칙 및 Beer의 법칙을 합친 것이다. 기체나 용액에 빛을 쪼인 뒤 통과해 나오는 빛의 세기는 흡수층의 두께와 몰농도의 영향을 받고, 기체나 용액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는 흡수층의 분자수에 비례한다. 이를 설명하는 수식은 아래와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