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dyslipidemia

  • A+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골반염증성질환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CASE STUDY(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간호과정의 적용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골반염증성질환(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정의
    골반염이란 자궁, 난관, 난소, 복막 및 인접 조직 등을 침범하는 염증성 질환을 말하며 보통의 경우 하부 성기에 침입한 각종 세균이 상향 이동해 발생하는 속발성 질환이다. 대부분의 경우 난관염에서부터 시작되며 2차적으로 난소와 골반, 복막으로 퍼져나가는 양상을 보인다. 많은 예외는 있으나 일반 경향은 급성으로 시작하여 완전히 치료가 되거나 혹은 계속적으로 재발되는 만성 과정으로 이행한다.
    많은 경우에 골반과 하복부에 심한 통증, 근육 경직을 보이며 더 광범위한 경우에는 복부팽만, 오심과 구토, 고열 등의 증상을 보이고 대부분의 경우 생리 기간 혹은 생리 직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발병원인
    골반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세균이며, 성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임질균(Neisseria gonorrhoeae)과 클라미디아 균(Chlamydia trichomatis)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그 외에 인플루엔자균(Haemophillus Influenzae), A군 연쇄구균(Group A Streptococcus), 폐렴구균(pneumococcus) 등도 골반염의 원인균이 될 수 있다. 대부분의 골반염증성 질환은 미생물이 질과 자궁경부에서 상부생식기로 상행 전파되므로 발생한다. 이러한 전파는 감염원이 들어온 뒤 월경 바로 직후에 가장 흔히 일어난다. 보통 성병에 의한 감염, 산부인과적 수술, 즉 산후 감염이나 소파 수술 등의 감염이 주된 원인 경로가 된다.
    → 골반 내 염증을 일으키는 요소들
    • 과거 골반 내 염증(PID)의 재발
    • 성병에 의한 감염
    • 산후 감염이나 소파 수술
    • 최근에 자궁 내 피임기구를 삽입한 경우
    • 월경이 끝난 직후 (가장 흔히 일어남)
    • 요도염이나 성병이 있는 상대와 성적 접촉을 갖은 경우
    • 여러 명과 성적 접촉을 한 경우
    • 미산부
    • 대부분은 성전파성 감염의 결과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골반 염증성 질환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Case Study(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골반염이란?
    2. 원인
    3. 전파경로
    4. 골반염의 위험인자.
    5. 골반염 증상
    6. 진단
    7. 치료 및 간호
    8. 후유증

    Ⅱ. 간호사정

    Ⅲ. 간호과정 적용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골반염이란?

    골반염(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란
    여성의 자궁, 난소 및 나팔관에 중대한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여성에서 불임의 중요한 원인이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2. 원인
    골반염증성 질환의 원인균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한 가지 이상의 균주에 의한 감염도 드물지 않다.
    그 중 가장 중요한 4가지 균은 성매개성 감염으로 오는 임균, 클라미디아균, 마이코플라즈마와 그람 음성과 양성 세균, 혐기성 연쇄 상구균과 호기성균과 같은 화농성 균 등이 있다.

    3. 전파경로

    ★ 대부분의 골반염증성 질환은 미생물이 질과 자궁경부에서 상부생식기로 상행 전파되므로 발생한다.
    – 성전파성감염
    자궁경부에 집락을 이루고 있는 임균, 클라미디아균, 마이코플라즈마균이 점막을 따라 난관, 난소, 복막, 자궁 주위 등으로 상행성 전파된다.
    – 비성전파성감염
    유산, 골반수술, 소파수술, 분만 후(산후 감염)에도 발생할 수 있는데 비성 전파성의 화농성 균들이 주로 자궁경부염이나 자궁내막염이 있을 때 자궁주위의 혈관이나 림프관을 따라 골반 주위와 난관으로 파급되어 염증반응을 초래한다.

    4. 골반염의 위험인자.

    성교
    임질이나 클라미디아 또는 매독 등의 성병에 노출되었다면 골반염의 발생에서 아주 높은 위험 요소가 된다. 성교 상대자가 여러 사람이거나 성병 가능성이 많은 남성과 성교하는 것도 위험 인자가 된다.

    인위적 조작
    소파수술, 자궁 내 장치, 자궁 난관 조영 촬영, 질 세척 등이 있는데 이들은 외음부, 질, 자궁 경부에 있는 병균을 자궁 안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고 피가 나거나 조직을 파괴함으로써 병균이 자라기 좋은 조건을 만들어서 골반염 발생을 증가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PID 골반염 질환의 정의, 진단, 치료, 후유증, 원인균

    목차

    1. 정의

    2. 역학

    3. 원인균

    4. 진단
    1) 증상 및 징후
    2) Acute PID의 진단기준
    3) Acute salpingitis의 골반경 소견
    4) Gonorrheal PID의 증상 출현 시기: 월경중이나 월경이 끝난 직후

    5. Acute PID의 치료

    6. Acute PID의 입원 치료 기준

    7. 후유증

    8. 퇴원가능여부

    9. 예방방법

    본문내용

    1.정의
    질과 자궁경관을 통해 세균이 들어와 자궁 및 난관, 난소, 그리고 복강 내에 염증을 일으켜 생기는 질환. 대개 성교 전파성 균에 의해 초래.

    2.역학
    1) 최근 10년간 선진국에서 증가(20%→50%)
    2) 15-24세 여성 1000명당 18-20명의 급성 난관염 환자 매년 발생
    3) 대부분의 경우 성병으로 발생하며 STD와 유사
    4) 25% 이상의 환자가 25세 이하
    5) 75% 분만력이 없는 여성
    6) 성관계가 왕성하며 multiple partners인 젊은 여생에서 많이 발생

    3. 원인균
    1) Neisseria gonorrhoeae: m/c
    2) Chlamydia trachomatis
    3) Bacterial vaginosis에서 보이는 anaerobic bacteria들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음
    * 자궁경부염의 상행감염이므로 원인균이 같다. 치료도 동일함.

    출처 : 해피캠퍼스

  • 고지혈증, 이상지지혈증 ppt 자료

    목차

    1. 정의
    2. 원인&증상
    3. 치료

    본문내용

    01. 정의
    고지혈증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질이 혈액 중에 많아진 상태
    혈중 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인 경우

    이상지질혈증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증가된 상태
    HDL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DL cholesterol)
    혈관 벽에 동맥경화 발생
    심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 유발
    130mg/dl이하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HDL cholesterol)
    혈관 벽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는 역할
    동맥경화를 예방
    60mg/dl이상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200mg/dl이하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