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EDH

  • 성인간호학실습 경막외혈종 케이스스터디입니다 (간호진단7가지, 간호과정1가지, 사례, 문헌고찰 포함)

    목차

    1. 사례연구
    1) 간호사정
    2) 욕창, 낙상 위험도 사정
    3) 진단검사
    4) 투여약물

    2. 질병 Study
    1) Dx(진단명) : EDH(epidural hematoma) 경막외혈종
    2) 대상자 비교 분석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경질막외혈종은 동맥이나 정맥의 열상으로 인한 출혈이 두개골 내측면과 경질막 사이에 있는 공간에 생긴 혈종으로, 경질막은 혈종 형성부위에서 머리뼈와 분리되면서 혈종이 커지게 되어 두개내압이 높아지고 뇌조직에 압력을 가하면서 신경계 합병증 증상이 나타난다.

    (2) 원인
    경질막외혈종의 70~80%는 대개 관자뼈의 골절에 의한 중뇌막동맥열상으로 발생한다. 충격에 의한 외상이 주 원인으로 교통사고, 낙상, 폭행으로 머리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받을 경우에 발생한다.

    (3) 증상 및 징후
    수분에서 수시간까지 지속되는 의식명료기가 나타난 다음 바로 의식을 잃는다. 졸음, 혼란,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빠른 의식저하가 나타난다. 다른 신경계 증상으로 손상쪽의 동공확장, 두통, 운동능력 감소, 병리적 자세가 나타날 수 있다.
    – 두개내압 상승 : 고혈압 및 맥압 상승, 불규칙한 호흡, 느린맥, 동공의 크기와 모양 및 반응의 변화

    (4) 진단검사
    ➀ 임상 검사
    – 신경학적 검사 : 의식, 동공, 뇌줄기반사 및 안구운동 검사를 실시한다. 대뇌 및 뇌줄기의 손상 정도에 따라 의식장애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GCS로 의식수준을 평가한다. 동공의 크기 및 운동, 안구두부반사를 통해 뇌병변, 뇌압상태, 뇌줄기의 기능을 추정한다. 두개내압 상승이 심한 경우 혈압상승과 느린맥이 나타나는 쿠싱반응이 나타나거나 맥압이 상승한다.
    – 혈액검사 : 일차적 뇌손상을 진단하기 위한 혈액검사는 없지만, 이차적 뇌손상을 예방하고 진단하기 위해 사용한다. 산소와 이산화탄소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동맥혈가스분석검사를 한다. 전혈구검사와 혈당, 전해질, 삼투질 농도를 분석한다. 혈액역동 상태와 전해질 불균형이나 감염 유무를 확인한다.

    ➁ 방사선 검사
    – CT : 뇌손상의 정도와 범위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한다. 정확한 손상부위를 확인하고 수술적 중재가 필요한지 파악한다. 경막외혈종은 뼈와 경질막 사이는 비교적 결합이 강하기 때문에 이곳으로의 출혈이 확대되지 않고 국한되어 볼록렌즈 형태로 보인다.
    – 경추, 두개골 X-선 검사 : 골절과 탈구 진단을 위해 시행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실습 ticu case study, 외과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T-SDH, T-EDH, SAH, 비효과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

    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및 해석
    6. 진단검사 및 특수치료
    7. 현재 투여약물
    8. 간호과정

    본문내용

    #1 두부 외상으로 인한 부종 및 뇌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

    객관적 자료
    – 진단명: T-SDH, T-EDH, SAH (12/3)
    – 구급차에서 2회 구토를 하였음 (12/3)
    – 입원 당시 SBP: 165mmHg
    – brain CT 검사 결과: 양쪽 전두엽에 타박상 출혈과 T-SAH, T-SDH, 왼쪽으로 midline이 옮겨져 있음, 오른쪽 전두-두정-측두엽과 왼쪽 전두-후두에 혈종 있음 (12/3)
    – decompressive craniectiomy을 시행함 (12/3)
    – GCS: 2점(E1M1VE) (12/4)
    – mental state: coma (12/4)
    – pupil size (Rt/Lt) : 5.95/5.19mm (12/4)
    – pupil reflex (Rt/Lt): fix (12/4)
    – 이뇨제 (mannitol, furosemide) 투여 중임을 관찰함 (12/4)
    – Articsun을 적용하여 TTM 시행 중인 것을 관찰함. (12/4)

    목적
    대상자는 정상적인 뇌 조직 관류를 유지한다.

    평가기준
    – 대상자가 중환자실 퇴원하기 전까지 GCS 점수가 5점으로 오른다 ( E 항목 2점 상승/ M항목 3점 상승/ V는 인공호흡기 적용 중이라 오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
    – 대상자는 12/8일까지 cushing triad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SBP는 처방된 범위인 120-160 유지, 서맥 발생하지 않음. 불규칙적인 호흡양상 보이지 않음)
    – 대상자는 중환자실 퇴실 전까지 동공 반사 결과 prompt하게 줄어든다.

    계획
    1. 대상자의 의식 수준과 동공 반응을 사정한다. (12/4)

    중재
    1. sedation 종료 후 매일 1시간 마다 GCS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고 기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2/8)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