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Title
2.Purpose
3.Theory
4.Apparatus and Reagent
5.Procedures
6. Data & Result
7. Discussion
8. Reference
본문내용
1.Title: EDTA Titration of Ca 2+ and Mg2+ in Tap Water & Milk
2.Purpose: Multidentate ligand인 EDTA의 화학적인 성질과 구조로부터 metal ion과 EDTA의 착물 형 성에 관한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complexometric titration을 이용하여 우유와 수돗물 속에 들어있는 multivalent 금속이온인 Ca2+와 Mg2+의 농도를 구한다. 각 금속 이온의 Kf 값, pH에 따른 Kf ’을 계산할 수 있고, pH 변화에 따른 침전현상에 대해 이해한다.
3.Theory
1)리간드, 금속-킬레이트 착물
리간드는 배위화합물에서 중심금속원자나 이온과 만나는 이온이나 분자를 뜻한다. 배위 원자의 수에 따라 그 이름이 달라진다. 1개의 결합이 가능한 리간드는 한 자리 리간드라 하며, 두가지 이상의 결합이 가능할 경우 여러자리 리간드(Multidentate ligand) 혹은 킬레이트 리간드(chelating ligand)라 한다. 리간드는 중심 금속과 배위 결합을 통해 착물이 된다. 배위결합은 물질이 결합할 때 전자가 한쪽에만 관여하는 결합이다. 배위결합을 확인할 수 있는 화합물을 배위화합물이라 한다. 배위결합에선 비어있는 오비탈을 가진 분자나 이온이 반응에 참여해야한다는 조건이 있다. 이러한 배위화합물에선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므로 산-염기를 통해 정의가 가능하다. 전자를 주는 쪽인 리간드는 루이스 염기이고, 받는 쪽인 중심 금속은 루이스 산이다. 전이 금속에 리간드가 결합한 물질을 착물이라하며, 화합물 중 착물이 포함된 것을 착화합물이라 한다. 이 중 여러자리 리간드와 배위결합해 형성된 착화합물을 킬레이트 화합물이라 한다.
2)킬레이트 효과
유사한 두 리간드가 있을 때 한자리 리간드에 비해 킬레이트 리간드가 안정한 금속 착물을 형성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