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epilepticus

  • [간호진단5, 간호과정3]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신손상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사례연구보고서

    목차

    I.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자료

    II.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1) 간호력
    2)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혈액 및 소변, 심전도 등)
    4) 진단(치료)을 위한 수(시)술 및 검사
    5) 주요약물요법
    6) 입실 후 경과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우선순위 근거
    3)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4) 간호과정적용
    (1) 간호과정 #1
    (2) 간호과정 #2
    (3) 간호과정 #3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환명
    AKI (Acute Kidney Injury)

    정의
    급성신손상은 신기능이 갑자기 상실되는 것으로, 신기능이 빠르게 감소하여 소변감소증(핍뇨)이 나타나며, 혈중요소질소 BUN과 혈청 Creatinine의 수치가 급증한다. 특징은 신장단위(네프론)의 토리(사구체)여과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빨리 그원인을 찾아 잘 치료한다면 원래의 기능으로 회복 가능성이 있지만, 경우에 따라 급격한 신장 기능 저하로 심각한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폐부종에 의한 호흡곤란, 고칼륨혈증, 대사성산증 등이 동반돼 생명을 위협하기도 하며, 일시적으로 투석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통계
    급성신부전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약 20%에서 발생하는 흔한 합병증으로, 그 사망률이 50%에 이른다. 급성신부전이 있는 중환자 중 신대체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는 70% 정도로 간헐적 혈액투석 요법 혹은 지속적 신대체 요법(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의 치료를 선택할 수 있다.

    – 문헌조사

    원인

    ① 신전성(Prerenal)
    출혈이나 체액손실로 인한 순환혈액량 감소, 신장으로 유입되는 혈관의 협착이나 폐쇄, 심박출량의 저하 등으로 인해 신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어 토리(사구체)의 여과율이 저하된 상태이다. 신장 자체에는 장애가 없기 때문에 재흡수, 분비 등의 기능은 유지된다. 급성신기능상실의 55~70%가 대부분 신전성으로 인해 일어난다. 신장으로 가는 혈액량이 줄어들면, 자동조절기전체계가 작동하여 소변량이 감소하여 소변 감소증(1일 소변량 400ml 미만)을 야기한다.

    ② 신성(Intrarenal)
    신장질환이나 독성 물질에 의해 신장 실질조직이 파괴되어 초래되는 것으로, 급성신기능상실의 25~40%를 차지한다. 급성 요세관 괴사는 급성신기능상실의 주요 원인이다. 독성물질은 콩팥에서 혈관수축 반응을 일으키며, 이로 인해 콩팥혈류가 감소하여 콩팥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ICU 중환자실 pneumonia 폐렴 실습 케이스 보고서

    목차

    Ⅰ.인적사항

    Ⅱ. 대상자 사정

    Ⅲ. 관련검사
    1. 진단검사 자료
    2. 치료적 자료

    Ⅳ. 질병스터디

    Ⅴ. 간호과정 기록지

    Ⅵ. 출처

    본문내용

    Ⅰ. 인적사항
    진단명 : Heart failure, Pneumonia(주진단), Artrial fibrillation,Angina pectoris
    정보제공자 : 배우자

    Ⅱ. 대상자 사정
    영역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내원 이유/주호소(C/C) : dyspnea, sputum (호흡곤란, 가래)
    과거력 : 입원 및 수술경험 : 5년 전 Lung cancer 수술, 2년 전 재발 CRRT PCI 올해 폐렴 치료를 위해 입원, 퇴원 무렵 RT Hip FX 발견하여 수술 이후 심장약 복용
    기타 질병, 건강문제 : MRAB, 고혈압
    현재의 질병에 대한 자기관리 : 무
    간호, 치료에 대한 기대 : 긍정적
    전반적 대상자 상태 : 양호 불량 √ 만성적인 문제 √
    질병과 관련된 정서 상태 : 안정적
    흡연 : 알 수 없음
    음주 : 알 수 없음
    알레르기 : 예 내용 아니오 √
    건강관리 방법 : 약물 복용

    약명

    횟수
    이유
    릭시아나정
    30mg
    1회
    심재성 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의 치료
    플래리스정
    75mg
    1회
    허혈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말초동맥성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의 개선
    네비스톨정
    2.5mg
    1회
    1. 본태성 고혈압
    2. 만성 심부전 (경증~중등증의 만성 안정형 심부전이 있는 70세 이상 노인 환자에서 표준치료시 보조치료)
    복용 약물(입원 전) : 폐암 med, IP 및 IC med

    영역 2. 영양 (Nutrition)
    신장 : 167 cm 체중 : 75kg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실습 ticu case study, 외과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T-SDH, T-EDH, SAH, 비효과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

    목차

    1. 일반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검사 및 해석
    6. 진단검사 및 특수치료
    7. 현재 투여약물
    8. 간호과정

    본문내용

    #1 두부 외상으로 인한 부종 및 뇌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 조직 관류의 위험

    객관적 자료
    – 진단명: T-SDH, T-EDH, SAH (12/3)
    – 구급차에서 2회 구토를 하였음 (12/3)
    – 입원 당시 SBP: 165mmHg
    – brain CT 검사 결과: 양쪽 전두엽에 타박상 출혈과 T-SAH, T-SDH, 왼쪽으로 midline이 옮겨져 있음, 오른쪽 전두-두정-측두엽과 왼쪽 전두-후두에 혈종 있음 (12/3)
    – decompressive craniectiomy을 시행함 (12/3)
    – GCS: 2점(E1M1VE) (12/4)
    – mental state: coma (12/4)
    – pupil size (Rt/Lt) : 5.95/5.19mm (12/4)
    – pupil reflex (Rt/Lt): fix (12/4)
    – 이뇨제 (mannitol, furosemide) 투여 중임을 관찰함 (12/4)
    – Articsun을 적용하여 TTM 시행 중인 것을 관찰함. (12/4)

    목적
    대상자는 정상적인 뇌 조직 관류를 유지한다.

    평가기준
    – 대상자가 중환자실 퇴원하기 전까지 GCS 점수가 5점으로 오른다 ( E 항목 2점 상승/ M항목 3점 상승/ V는 인공호흡기 적용 중이라 오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
    – 대상자는 12/8일까지 cushing triad 증상이 보이지 않는다. (SBP는 처방된 범위인 120-160 유지, 서맥 발생하지 않음. 불규칙적인 호흡양상 보이지 않음)
    – 대상자는 중환자실 퇴실 전까지 동공 반사 결과 prompt하게 줄어든다.

    계획
    1. 대상자의 의식 수준과 동공 반응을 사정한다. (12/4)

    중재
    1. sedation 종료 후 매일 1시간 마다 GCS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하고 기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2/8)

    출처 : 해피캠퍼스

  • The management of status epilepticus

    목차

    1. Definition
    2. Causes
    3. Physiology
    4. Treatment
    5. SE in children
    6. Summary

    본문내용

    Definition and Incidence
    .STATUS EPILEPTICUS
    defined usually as a condition in which epileptic activity persists for 30 minutes or more.
    .Incidence of tonic-clonic status
    18–28 cases per 100,000 persons per year
    .About 5% of all adult patients attending an epilepsy clinic will have at least one episode of status in the course of their epilepsy; in children the proportion is between 10–25%.

    Treatment of status epilepticus
    1. Protection of cardiorespiratory function
    2. Emergency investigations
    3. Initial treatment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