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FDIU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조별과제 홍역 meales

    목차

    본문내용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다. 법정전염병의 신고 누락 및 지연 시 건당 최소 200만 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이러한 가운데 2002년에는 신고가 늦어져 진료의사가 전염병 예방법위반으로 형사 입건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현대의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전염병은 사라지지 않고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에 사라졌던 전염병이 재출현한다든지 신종전염병의 출현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
    다. 이 중 법정전염병은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염병관리의 일환으로, 전염병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함께 철저한 예방법을 준수하여 타인에게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Yoo, 2003) 전염병을 예방하고 발생 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환자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태풍, 집중호우와 같은 일반적 자연재해 뿐 아니라 지진과 미세먼지, 조류독감, 살충제 계란 파동 등 재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시민의 일상생활 깊숙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2014년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정부는 종합적 재난관리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형태의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각종의 재난을 관리하여 사전에 재난을 예방. 대비하여, 재난 발생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본래의 상태로 복구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FDIU(fetal death in uterus)로 인한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 c/sec cast study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3개

    목차

    Ⅰ. 서론
    -간호사례 선정 이유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해부, 병리, 생리
    -원인
    -증상
    -진단적 검사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건강사정
    -진단적 검사 및 투약
    -병의 경과(Progress of disease)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기술
    -모성간호학 실습 소감 간단히 기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ⅰ. 간호사례 선정이유
    임신 20주에서 출생 후 한 달까지의 시기에 일어나는 태아사망, 사산, 신생아 사망 등을 합하여 주산기 사망이라고 한다. 이런 상실을 경험한 부모는 거의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애도기간을 거치게 된다.
    자궁 내 태아사망(Fetal Death In Utero)은 정신적인 상처가 된다. 임신 초기에는 임부 스스로 태아가 사망 했는지 알 수 없지만, 후반기에 태동을 경험한 다음에는 태아의 사망을 알 수 있다. 산전진찰로 이상이 있으면 태아를 인공유산 시키기도 하며, 태아가 사산되었을 경우에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기에 대한 애착은 출생 전부터 시작이 되므로, 언제 유산이 일어났든지 간에 상실과 슬픔반응이 나타난다. 임신 3기 이후의 상실과 슬픔반응은 일반적으로 임신 1기 때보다 크다. 태아사망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면 임신단계에 따라 분만을 유도하기도 하고, 자연적으로 배출되기를 기다릴 수도 있다.
    분만의 과정은 거쳤으나 정상분만한 산모와는 달리 대상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따라 간호행위의 수행이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궁 내 태아사망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대상자를 바탕으로 상황에 따른 올바른 치료와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이다.

    ⅱ.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상기 37세 primi para는 금일 IUP(37+1)wks로 08/27 myoma 7.5cm c/sec 원하였고 09/18 MD CPD&Myoma of uterus c/sec 예정이었다. 그러나 8/29 chest 상 cardiomegaly, blunting of Rt CP시 태동이 없었고 09/03 sono상 fetal(-) FDIU로 2pm on call c/sec 시행하였다.

    Ⅱ. 문헌고찰

    ⅰ. 정의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