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Formaldehyde Resin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2) A+ 자료) 10.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을 이용한 카페인 검출

    목차

    1. Abstract

    2. Introduction
    1) Chromatography
    2)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3) HPLC의 작동 방식
    4) HPLC detector
    5)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 (LC/MC)
    6) ESI (Electrospray Ionization)
    7) SQ (Sequential Quadrupole)
    3. Materials & Methods

    4. Results
    1) LC-MS를 통해 측정한 분자량과 이론적 분자량을 비교하라.
    2) LC-MS를 통해 검량한 커피와 녹차(이번 실험에서는 커피와 핫식스)의 caffein 함량과 실제 표시되어있는 caffein 함량을 비교하라.
    3) 미지의 시료(미유 커피) 함유된 caffeine의 농도를 계산하라.

    5. Discussions
    1) 검량한 커피와 녹차(이번 실험에서는 커피와 핫식스)의 caffeine 함량이 다른 이유를 생각해보시오.

    6. References

    본문내용

    Ⅰ. Abstract
    이번 실험은 LC/MS를 이용하여 커피에 있는 caffeine을 정량 분석하였다. 이외에도 시중에 판매하는 커피와 핫식스, 미지 시료에 있는 caffeine도 검량해 보았다. 실험 결과, LC-MS를 통해 측정한 이온화된 상태의 caffeine의 분자량은 195.1 g/mol이었다. 여기서 수소 이온의 분자량인 1 g/mol을 제외하면 194.1 g/mol이며, 이론적인 분자량인 194.194 g/mol과 비교하여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오차율 0.048 %) 다음으로 커피의 caffeine은 실제 표시된 함량 400 ppm보다 크게 낮은 281.4 ppm을 얻었고, 오차율은 29.65%로 높은 편이었다. 반면 핫식스의 caffeine은 실제 표시된 함량인 240 ppm과 거의 비슷한 249.9 ppm을 얻었고, 오차율은 4.125%로 비교적 낮았다. 마지막으로 미지의 시료를 LC-MS를 통하여 검량한 caffeine의 농도는 2.453 ppm이었다. 여기에 희석배수 100을 곱하면 245.3 ppm이 된다. 따라서 미지의 시료에 함유된 caffeine의 농도는 245.3 ppm이다. 더 나아가 일반 커피와 비교하였을 때, 미지의 시료로 사용한 커피에서의 caffeine 함량이 더 낮았다. 일반 커피보다 미지의 시료(미유 커피)가 더 연한 커피라고 할 수 있다.

    Ⅱ. Introduction
    – 실험 목표 : LC/MS를 이용하여 커피에 있는 카페인을 정량 분석한다.
    1. Chromatography
    Chromatography는 고정상과 이동상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물질들이 섞여 있는 혼합물을 이동속도 차이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합공학실험]Synthesis of Urea-formaldehyde Resin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및 원리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토의 사항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가. Urea-formaldehyde 수지의 합성에 대한 이해 및 합성법 습득
    나. 부가축합 반응에 대한 이해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Urea-formaldehyde Resin (UF)
    Urea와 formaldehyde의 pH의 조절과 축합반응에 의해 생성된 열경화성 수지로 가격이 저렴하고, 반응시간이 빠르며, 수용성이 높고, 내마모성과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 때문에 널리 활용된다. 용도는 화장품의 용기 캡 및 식기 부품의 성형품, 합판과 목재 접착재, 알코올 첨가한 도료용, 산성으로 열경화한 섬유 가공용 등이 활용되며 용도에 따른 제법이 달라진다.
    Urea-formaldehyde polymer의 화학 구조는 반복단위로 구성되며 [그림 1]은 Urea-formaldehyde의 prepolymer의 합성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첫 번째 반응은 urea와 formaldehyde의 부가반응이고 두 번째 반응은 부가반응으로 생성된 methylol urea이 반응해 탈수축합반응으로 두 반응이 단계적으로 일어난다. 이를 부가축합 반응이라고 한다.

    <중략>

    3. 실험 기구 및 시약
    가. 실험 기구
    2구 둥근 플라스크, 오일배스, 아답터, 비커, 삼각 플라스크, 실리콘 오일, 교반기, 핫플레이트 /

    나. 실험 시약
    urea, formaldehyde, ammonia water, butanol, phosphoric acid

    4. 실험 방법
    가. Urea-formaldehyde 수지의 합성 방법
    1) 40% Formaldehyde 1.8 g과 25% aqueous ammonia 1방울을 2구 둥근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65 ℃에서 1 hour 동안 교반 및 가열을 실시한다.
    2) Aqueous ammonia를 이용하여 반응기의 pH가 7.5~8.5가 되도록 조절한다.
    3) 2)의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urea 1.5 g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100 ℃가 되도록 천천히 승온을 실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