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GERD

  • 성인간호A+, 위역류성질환, GERD 사례, 간호진단 3가지(급성 통증, 위험성 있는 건강행동, 영양불균형)

    목차

    1. 대상자 정보
    2. 사례(내원동기 및 주호소)
    3. 간호진단

    본문내용

    #10
    대상자 정보

    이름
    이OO
    진료과
    응급
    성별/연령
    F/28
    신장/체중
    163cm/55kg
    정보제공자
    본인
    복용약물
    아스피린, 제산제 복용
    알레르기 유/무

    과거력/입원력

    내원경로
    직접내원
    내원수단
    자차

    #11
    사례(내원동기 및 주호소)
    ∎ 28세 여성 이OO님은 속쓰림으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며 ER을 통하여 병원에 내원하였다. 이OO님은 첫 입사 후 신입사원으로 근무한지 6개월째이며 “잦은 회식으로 인해 매번 술을 먹게 되는데 제대로 쉬지 못하니 피곤하고 몸이 안 좋아지는 느낌이 들어 속상해요.”라고 말하며 우울한 기색을 보였다.
    ∎ 통증의 양상으로는 “2~3개월 전부터 가슴 중앙 부위가 아프더니, 몇 주 전부턴 목까지 타는 듯이 아파요.”, “보통 식사 후에 통증이 시작되는데 1~2시간까지 지속되는 것 같아요.”, “소화가 잘 안되고 트림이 자주 나와요.”, “목의 끝에서 신맛인지 쓴 맛이 나는 것 같아요.”, “밤에 누워있으면 기침을 자꾸 해서 힘들어요.” 라고 호소했다.
    ∎ 평소 섭취하는 약물로는 통증 시 아스피린과 제산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섭취 시 통증이 완화된다고 하였다. 이전의 과거력은 없다. 식이양상은 최근 속쓰림으로 인해 음식섭취를 꺼리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평소에는 야식을 자주 섭취하며 식사 후 바로 눕는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간호학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GERD 위 식도 역류질환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구토와 관련된 잠재성 기도흡인, 식욕부진 및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불균형, 구토와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목차

    1. 간호사정
    2. 영아 예방접종력
    3. DDST
    4. 신생아 간호사정
    5. 검사 및 투약
    6. 간호진단
    1) 구토와 관련된 잠재성 기도흡인
    2) 식욕부진 및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불균형
    3) 구토와 관련된 수면양상장애
    7. 간호과정 1, 2순위
    8. 발달 및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9. 영아의 성장발달 특성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7) 발달 및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성장발달상의 특징 및 관련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로서 아래의 내용 포함
    ▪ 대상 아동의 성장발달 특성을 이론적 근거와 비교
    ▪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시 간호진단에 대한 간호중재의 이론적 근거 제시

    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1. 정의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이로 인하여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 이때 불편한 증상이란 위식도 역류와 관련된 증상들이 삶의 질에 나쁜 영향을 줄 때로 간주되며 역류 증상들이 있지만 환자의 관점에서 별로 불편하게 느끼지 않는 경우에는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진단되지 않는다.
    2. 원인하부식도괄약근은 지속적인 압력을 유지하고 삼키는 동안에만 이완되어 정상적으로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는 것을 예방한다. 이 식도와 위 사이에서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의 일시적인 이완과 관련된 위산 역류가 위식도역류질환의 주된 원인이며, 하부식도괄약근 압력의 감소, 식도열공 헤르니아와 같은 해부학적 결손, 그리고 식도운동기능 저하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산성의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면 그 결과로 위 점막과는 달리 산성에 약한 식도의 점막에 손상이 발생하고 식도염 또는 식도 점막의 염증이 초래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