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gram positive

  • 미생물학 Gram staining(그람염색) 실험보고서

    목차

    I. Introduction

    II. Materials
    1. 실험 균주
    2. 사용시약

    III. Methods

    IV. Results

    V. Discussion

    VI. Reference

    본문내용

    Gram staining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 차이에 기반해 크게 두 그룹으로 구별하는 실험으로 1884년 Hans Christian Gram이라는 세균학자가 고안해낸 기법이다. 세균의 동정 및 구분에 쓰이는 가장 중요한 염색방법으로 염색 결과에 따라 첫 번째 염료인 crystal violet에 염색되는 경우를 그람 양성균, 두 번째 염료인 safranin에 염색되는 경우를 그람 음성균으로 나눈다.
    그람 염색 반응의 차이는 그람 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의 세포벽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람 양성균의 경우 세포벽이 주로 peptidoglycan층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그람 음성균은 peptidoglycan 층은 얇고 그 바깥쪽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지닌 외막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