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Gram staining

  • 인천대학교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2. Gram staining, Streaking

    목차

    1. 실험 일시 및 장소
    2. 실험 도구
    3. 이론
    4. 실험 목표
    5. 실험 방법
    6. 결과
    7. 고찰
    8.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일시 및 장소 : 2023년 00월 00일, 29호관 618호

    2. 실험 도구
    – Sample : 흙을 재료로 sampling, spreading 과정을 거쳐 배양한 colony 중 뚜렷한 것을 채취하여 사용
    – 실험 기자재 : 마이크로 피펫 & 마이크로 피펫 팁 (1000 μL, 200 μL), tube (10 mL, 50 mL), tube rack, 슬라이드, clean bench, plate, 알코올램프, 라텍스 장갑, 광학현미경, 백금이
    – 시약 : LB 배지, crystal violet, Gram lugol, alcohol, safranin

    3. 이론
    ① Gram staining(그람염색법)
    세균을 염색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분열염색법 중 한 종류이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은 세포벽 구조에 따라 구분된다. 세균을 슬라이드글라스에 고정시킨 후 1차 염색약인 cristal violet으로 1∼2분 동안 염색한다. 이후 cristal violet을 세포에 강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매염제인 Gram lugol을 사용한다. 이는 1차 염색약과 결합하면서 불용성 화합물인 Cristal violet-iodine complex를 형성하며 짙은 보라색을 띤다. 이후 대비 염색제로 safranin 등의 붉은색 계통 색소를 1∼3분 동안 염색을 하고 물로 씻어 말린 후에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② Gram-positive bacteria(그람양성균), Gram-negative bacteria(그람음성균)
    Gram staining 시 탈색 과정에서 탈색되는 세균을 Gram-positive bacteria, 탈색되지 않는 세균을 Gram-negaitive bacteria로 분류한다. Gram-positive bacteria는 여러 겹의 펩티도글리칸이 중첩되어 형성된 두껍고 단단한 세포벽을 가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미생물학 Gram staining(그람염색) 실험보고서

    목차

    I. Introduction

    II. Materials
    1. 실험 균주
    2. 사용시약

    III. Methods

    IV. Results

    V. Discussion

    VI. Reference

    본문내용

    Gram staining은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조 차이에 기반해 크게 두 그룹으로 구별하는 실험으로 1884년 Hans Christian Gram이라는 세균학자가 고안해낸 기법이다. 세균의 동정 및 구분에 쓰이는 가장 중요한 염색방법으로 염색 결과에 따라 첫 번째 염료인 crystal violet에 염색되는 경우를 그람 양성균, 두 번째 염료인 safranin에 염색되는 경우를 그람 음성균으로 나눈다.
    그람 염색 반응의 차이는 그람 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의 세포벽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난다. 그람 양성균의 경우 세포벽이 주로 peptidoglycan층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그람 음성균은 peptidoglycan 층은 얇고 그 바깥쪽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지닌 외막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미생물학 gram staining 실험 레포트

    목차

    1.실험제목(title)
    2.실험날짜(date):
    3.실험목적(purpose):
    4.실험 준비물(material-reagent, instrument)
    5.실험 방법(method)
    6.실험 결과(result)
    7.실험 고찰(discussion)
    8.참고문헌(reference)

    본문내용

    실험제목(title): 대장균 계대배양-선상 도말 평판 배양법(linear streak plate method)과 gram staining
    · 실험날짜(date):
    · 실험목적(purpose): 대장균의 세포증식을 위해 계대배양을 수행하고 gram staining을 실시하여 그람 양
    성균과 음성균을 구별

    · 실험 준비물(material-reagent, instrument)
    (1) Linear streak plate method
    백금이, 패트리접시, 배양된 S. aureus 와 E. coli
    (2) Gram staining
    슬라이드글라스, 백금이, 증류수, 알콜램프, Iodine, 95% 알코올, safranin, crystal violet, 현미경, pipet, 배양된 S. aureus 와 E. coli

    · 실험 방법(method)
    (1) Linear streak plate method
    ① 배양된 대장균 S. aureus 와 E. coli 중에서 colony 하나를 백금이의 loop 부분으로 딴다.
    ② LB agar plate에 옆의 이미지와 같이 4차 tracking을 하여 대장균을 배지에 도말한다.
    ③ 배지를 뒤집은 후, 37℃에서 over night 하여 균을 배양한다.
    (2) Gram staining
    ① 슬라이드 글라스를 깨끗이 닦는다.
    ② 피펫을 10㎕으로 맞춘 후 슬라이드 글라스에 멸균 증류수 한방울을 떨어뜨린다.
    ③ 일회용 백금이의 loop부분으로 배양된 E. coli와 S. aureus 를 딴 후, 슬라이드 위의 물방울과 잘 섞어 얇게 피면서 도말한다. (smearing)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