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hematochezia

  • 성인간호학실습 case A++받은 응급실 케이스(혈변) Melena, Hematochezia

    목차

    1. 서론
    -연구필요성 및 목적, 연구기간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2. 본문
    -대상자 사정
    -1차 표준사정, 2차 사정
    -진단검사
    -검사결과( Esophagogastroduodenoscopy 상부위장관내시경)
    -약물요법
    -간호진단(3개)
    -간호계획(2개)
    -평가

    3. 결론

    본문내용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혈변 또는 흑변은 소화관 내부로 출혈이 발생하여 항문으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소화관이란 입에서부터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을 거쳐 항문까지 이르는 기관을 말하며, 섭취한 음식을 소화하고 영양소를 흡수한 후 찌꺼기를 대변으로 배설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응급실에 혈변이나 토혈 대상자들이 많이 있었으며, 성인간호학때 이론으로 배운 적이 있는 질환이었다.
    대상자는 고령으로 요양병원에 있던 환자로 COPD 기저질환이 있어 호흡곤란을 호소하였으며, 부동으로 인한 피부손상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여 증상완화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연구기간: 본 사례의 연구기간은 2023년 9월 18일부터 2023년 10월 6일까지였음.
    (9월 21일 대상자가 퇴원하였음.)
    ⋅연구방법: 환자의 EMR, 각종 검사결과, 간호 기록지, 직접관찰, 성인간호학 책 등을
    참고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3. 문헌고찰

    ① 질병의 정의: 혈변은 대변에 선홍색의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한다. 선홍색의 혈변은 소장, 대장이나 직장과 같은 하부 위장관의 출혈을 의미한다. 하부 위장관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 혈액이 위액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대변의 색깔이 검지 않다. 출혈 부위가 항문에 가까울수록 대변에 섞여 나오는 혈액의 색깔이 선홍색을 띤다.혈변의 형태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붉은 피만 보이는 경우도 있고, 핏덩어리가 보일 수도 있으며, 형태를 갖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또는 피가 섞인 설사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Hematochezia_아동케이스_간호진단 및 과정 3개

    목차

    1. 신생아의 일반적인 사항
    1) 환자소개
    2) 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3. 산모의 일반적인 사항

    4. 신생아의 생리적 적응 상태
    1) Apgar Score
    2) 신체사정
    3) 수유
    4) 출생 후의 일반적인 상태

    5. 검사 및 치료과정
    1)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결과
    2) 특수검사(특수치료)
    3) 경구, 비경구적 투약과 정맥주입

    6.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7. 결론 및 제언

    8. 문헌고찰

    본문내용

    1. 신생아의 일반적인 사항

    1) 환자소개

    환자명
    18번 아기(쌍둥이 둘째)
    성별
    M(남)
    출생일시
    0000년 00월 00일 00:00
    입원일
    0000년 00월 00일 00:00
    의학적진단명
    Hematochezia
    질병과정
    신생아실에서 의심증상 나타나 전원옴.
    제태기간
    35주 3일
    출생시
    체중: 2400g 신장: 46.6cm 두위: 33cm 흉위: 29.5cm 복위: 29cm

    2) 기간 및 방법
    0000년 00월 00일 00:00~0000년 00월 00일 00:00까지 본 학생은 분당차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중인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검진과 문진, 아동의 chart 등을 통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2. 문헌고찰

    1) 정의
    혈변은 크게 흑변과 혈변으로 나뉜다.

    흑변은 자장면 소스나 타르처럼 검정색을 띠는 변을 보는 것을 말한다. 상부위장관 출혈이 있는 경우, 혈액의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이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반응하여 헤마틴(hematin)으로 변하면서 어두운 색을 띠게 된다. 이 경우 대변에 헤마틴이 섞여 나오므로 변의 색깔이 까맣게 된다. 그러나 상부위장관 출혈이라고 해도 출혈량이 너무 많거나 출혈이 급속히 일어날 경우에는 혈액이 위산과 섞일 시간이 없기 때문에 변의 색깔이 검은 빛을 띠지 않고 밝은 적색의 혈변을 배설하기도 한다. 보통 상부위장관 출혈이 발생하면 구토나 현기증, 어지러움, 창백, 쇠약감, 발한, 동통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혈변은 대변에 선홍색의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한다. 선홍색의 혈변은 소장, 대장이나 직장과 같은 하부 위장관의 출혈을 의미한다. 하부 위장관에 출혈이 발생한 경우 혈액이 위액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대변의 색깔이 검지 않다. 출혈 부위가 항문에 가까울수록 대변에 섞여 나오는 혈액의 색깔이 선홍색을 띤다.
    혈변의 형태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붉은 피만 보이는 경우, 핏덩어리가 보이는 경우, 형태를 갖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또는 피가 섞인 설사의 경우로 나타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