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Hemocytometer

  • [생화학실험] A+, 동물세포 배양 및 세포계수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재료
    4. 실험과정
    5. 실험결과
    6. 고찰
    7. Reference

    본문내용

    [ 실험목적 ]
    – 생존세포와 사멸세포를 구분하여 세포 계수를 해본다.
    – 세포의 생존률을 계산해본다.
    – 실험 연구에 사용되는 세포가 잘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해본다.

    [ 이론 ]
    ⏹ 물질대사
    :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 반응으로, 반드시 에너지의 출입이 일어나며 생체 촉매가 관여함
    ① 이화작용 : 자발적 반응이며, 에너지 생성을 위한 화합물 분해함.
    ② 동화작용 : 비자발적 반응이며, 작은 분자를 큰 분자로 합성함.

    ⏹ 효소
    – 생화학적 경로에 있는 각 단계의 촉매로, 활성화에너지를 조절하여 세포의 전체적인 대사 활성을 조절함
    – 효소는 연결·분해·중화작용 등의 촉매반응에 관여해도 소모되지 않음
    – 주성분이 단백질으로, 고유의 입체구조를 가짐 (RNA 분자로 된 효소도 존재)
    – 단백질에 보조인자가 결합하여 완전한 촉매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를 완전효소(holoenzyme)라 하며 단백질 부분만을
    apoenzyme이라 함.
    – 전이상태의 안정화 : 효소는 전이상태의 자유에너지를 낮춰서 안정화 함
    * 전이상태 : 가장 높은 자유에너지를 갖는 계로, 전이상태에서 생성물을 얻는 과정이 전체반응의 속도결정과정
    – 활성화 에너지 감소 : 전이상태의 안정화로 활성화 에너지가 감소하고, 기질이 생성물로 전환되는 속도를 증가시킴
    – 효소반응의 조건 : 적정한 pH, 적정농도의 완충용액, 최적온도, 금속이온 또는 금속이온 착염형성제, 효소의 안정화
    물질
    – 동위효소(allozyme) : 동일한 유전자 자리에 있는 다른 대립유전자의 산물로, 다른 동위효소와 구조적으로 다르지만
    가능적으로는 동일한 반응을 촉매함.

    출처 : 해피캠퍼스

  • Cell counting and seeding on plate for downstream experiment A+레포트

    목차

    1. Title
    2. Date
    3. Name
    4. Purpose
    5. Materials
    6. Methods
    7. Results
    8. Discussions
    9. Project
    10.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Cell counting and seeding on plate for downstream experiment

    2. Date

    3. Name

    4. Purpose
    Hemocytometer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실험에 필요로 하는 적정량의 세포 수를 계산할 수 있다.

    5. Materials
    MCF-7 Cells (cultured in T25 flask), DPBS, 0.05% Trypsin-EDTA solution, Media (RPMI1640, FBS, P/S), alcohol lamp, pipette aid, serological pipette, incubator, conical tube, centrifuge, micropipette, tip, rack, beaker, 1.5㎖ ep-tube, trypan blue solution, hemocytometer, 35㎜ dish, 70% ethanol, tissue, clean bench, 광학현미경, 계수기

    6. Methods
    ① 4℃에서 냉장보관 중이던 media를 37℃ water bath에서 충분히 pre-warmed.
    ② Clean bench에 넣기 전, pre-warmed media 및 필요한 실험기구들을 70% 에탄올로 소독한다. (Cell이 들어있는 flask는 에탄올로 소독하지 않고 clean bench로 옮겨준다.)
    ③ 세포주를 배양 중인 flask 내부의 media를 pipette aid를 이용해 aspiration & discard.
    ④ DPBS washing: DPBS 3㎖을 flask에 조심히 분주하고 좌우로 gently washing 해준 후, DPBS를 다시 aspiration & discard.

    출처 : 해피캠퍼스

  • 실험실습보고서_Hemocytometer, 세포카운

    목차

    1. 생명공학 기초실험I 실험실습 보고서 (1)
    1) 실험주제 및 목표
    2) 사용한 실습장비
    3) 실험원리
    4) 실험과정

    2. 생명공학 기초실험I 학습활동보고서 (2)
    1) 실험결과
    2) 고찰
    3) 좋았던점
    4) 아쉬웠던점 (건의사항)

    본문내용

    실험주제 및 목표
    현미경을 이용하여 혈구 세포를 관찰하고 각각의 구조적 차이를 통해 혈구 세포를 구분한다.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를 counting하는 방법을 알고 직접 실행해본다.

    사용한
    실습장비
    Wright&Giemsa 시약, immersion oil, 광학현미경, slide glass, cover glas, hemocytometer, counter(어플), 살아있는 세포, trypan blue, micropipette, 96well, tips, 알콜솜, 사혈침, 사혈기, 3DW, 비커

    실험원리
    혈액 내에는 다양한 세포가 존재하며, 핵의 유무나 모양, 크기, 과립의 유무 등으로 혈과 세포를 구분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