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ict

  • 서비스마케팅_서비스마케팅 믹스, ICT기술에 기반한 구독경제의 의미, 고객관리지향성(관계vs거래)와 서비스 개별화 표준화에 따른 서비스 전략 4가지 각각에 관하여, 의미와 적합한 상황과 구체적 전략 방안, 서비스 포지셔닝의 원칙, 서비스 포지셔닝의 일반적 방법, 서비스 상품의 구성, 서비스 신상품의 유형

    목차

    주제1. 첨부파일 PPT 2장 참고
    * 서비스마케팅 믹스 (7P) – 사례와 함께 정리하기

    주제2. 첨부파일 PPT 3장 참고
    * ICT기술에 기반한 구독경제의 의미- 다양한 사례와 함께 정리하기
    * 고객관리지향성(관계vs.거래)와 서비스 개별화/표준화에 따른 서비스 전략 4가지 각각에 관하여, 의미와 적합한 상황과 구체적 전략 방안을 정리하기

    주제3. 첨부파일 PPT 4장 참고
    * 서비스 포지셔닝의 원칙
    * 서비스 포지셔닝의 일반적 방법

    주제4. 첨부파일 PPT 5장 참고
    * 서비스 상품의 구성-교재(또는 다른)사례와 함께 정리
    * 서비스 신상품의 유형- 교재 (또는 다른) 사례와 함께 정리

    주제5. 첨부파일 PPT 6장 참고
    * 구매전 과정의 대기시간 관리 기본 원칙
    * 구매과정의 대기시간 관리를 위한 고객의 인식관리
    * 서비스 청사진의 요소 (관심 있는 서비스 기업 사례에 적용)

    본문내용

    * 서비스마케팅 믹스 (7P) – 사례와 함께 정리하기

    기업은 ‘최대 이익의 추구’라고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추구하는데 서비스 마케팅 믹스의 7P 전략 역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기업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제가 가능한 마케팅 변수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를 전개한 바, 이 요소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곧 마케팅 효과의 극대화를 통한 이익의 추구로 이어질 수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구체적인 사례로는 스타벅스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용되는지를 논하고자 한다.

    <그림1> 프랜차이즈 카페 커피 가격(출처: 네이버 블로그)
    1) 제품(Product): 제품은 고객에게 직접 판매되는 ‘상품’을 의미한다. 하지만 마케팅에 있어서 이 제품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상품 그 자체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다. 고객에게 전달된 후 사용된 뒤 폐기되는 그 주기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품을 포장하는 디자인과 포장,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 상품의 브랜드, 품질 등 다양한 요소가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 ‘많이 팔아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우리 상품이 다른 경쟁사의 상품에 비해 어떤 점에 있어서 그 매력을 구매자에게 어필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부터 제품과 관련된 마케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어쨌든 어떤 제품을 제공하느냐에 따라 그 어필 방법이 달라질 수는 있을 것이지만 기본적인 본질은 우리 제품을 소비해 줄 그 대상을 중심으로 제품과 관련된 상품 전략을 세우는 것이 이에 해당하는 내용이라고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4차산업혁명과 간호. 간호의 현재와 미래. 퀄리티 좋은 후회없을자료!!

    목차

    1. 4차 산업혁명과 간호의 현재
    2. 4차 산업혁명과 간호의 미래 _간호사의 업무 변화 및 대응전략

    본문내용

    현재 ICT와 의료기술의 융합을 통해 개발된 다양한 신기술들이 간호현장에서 시도 및 적용되고 있는 중이다.
    보건복지부의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 지원사업은 ICT를 의료에 활용하여 의료 질을 높일 수 있는 선도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사업이다. 실제 활용 사례로는 ① CCTV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낙상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탐지하여 의료진에게 알리는 낙상예방시스템, ➁ 입원한 암환자가 치료과정 중 발생한 통증 정도를 환자용 앱에 입력하면 의료인이 즉각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항암병동시스템, ③ 무선 웨어러블 의료기기로 환자의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체온을 클라우드 모니터링 서버에 저장하여 30분 간격으로 EMR로 자동 연동되는 스마트응급실시스템, ④ 병동에서 사용하는 진료재료의 표준수량을 예측하는 자동 재고관리 시스템과 스마트 카트장을 연동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