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문헌고찰-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2. 사례연구- 일반적 사항, 입원 시 상태, 혈액검사결과, V/S, 약물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정의
자궁경관무력증은 임신 제 2,3분기에 진통이나 자궁 수축 없이 자궁 경관이 개대되어 임신
유지가 되지 않는 질환이다. 자궁경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에 진통이나 자궁 수축 없이 자궁 경관이 개대되어 태아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자궁경관무력증이 발생할 시 개대된 자궁 경관을 통해 양막이 돌출되기도 하며, 조기 양막 파수가 동반 되기도 한다. 임신 2기에 중단되는 경우 중 10~20% 이상은 자궁 경관 무력증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유산이나 조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습관성 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2. 원인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인으로는 외상성과 비외상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외상성으로 자궁 경부가 손상을 받게 되는 여러 경우, 즉 과거 분만 시 자궁 경관 열상, 소파 수술이나 생검 시 과다한 자궁 경관 확장, 자궁 경부암의 진단과 치료로 시행하는 자궁 경부 원추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또 인공 유산과 관련하여 자궁 경부를 인위적으로 개대한 경우를 말할 수 있다. 비 외상성으로는 선천적으로 짧은 자궁 경관이나 자궁 기형이 있다. 자궁 경부의 선천적 이상이나 임신 중 태아의 자궁 내 약물 노출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른 관련요인으로 자궁 경관 조직의 구성 및 모체의 스트레스가 조기 자궁 경관 개대와 연관이 있다.
3. 증상
자궁경관무력증은 보통 임신 제 2,3분기에 특별한 자궁 수축이나 진통 없이 자궁 경부가 개대되는데, 특별히 4가지의 증상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