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IIOC

  • 자궁경관무력증_IIOC_간호과정_케이스스터디

    목차

    1. 사례에 따른 간호과정 적용
    2. 정의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
    8. 최종 해석
    9. 출처

    본문내용

    사례에 따른 간호과정 적용

    ○○도에 사는 김모(32·여) 씨는 지금까지 가슴에 묻은 아이만 셋이나 된다. 2019년 처음 임신했으나 A 대학 병원에서 선천적 기형 자궁의 일종인 쌍각자궁에 자궁경관무력증까지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아이는 오래 견뎌주지 못한 채 18주에 하늘나라로 갔다. 2년 뒤에 다시 가진 아이는 다행스럽게 엄마 뱃속에서 잘 자랐고, 32주 만에 1.9㎏의 남자아이를 얻었으나 ‘장 괴사’로 끝내 숨을 거뒀다. 김 씨 부부는 마음을 추슬러 2022년 다시 아이를 가졌으나 이 역시 20주를 넘기지 못한 채 유산했다. “우리는 도저히 아이를 가질 수 없는 것일까.”라고 김모 씨는 정 씨(남편)에게 자주 말하곤 했다. 임신 12주 차인 김모 씨는 B 대학 병원에서 자궁경부무력증 클리닉 의료진과 수시로 면담하면서 맥도날드술을 받을 준비를 하고 있다. 김모 씨는 주치의에게 “이 수술만 기다려왔지만, 막상 수술이 다가오니 불안하네요.”라고 표현하고 있다. 또한, 간호사 콜벨을 많이 누르는 모습을 보였으며,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불안 사정을 하였고, 불안 척도(Beck) 25점을 나타냈다.

    주관적 자료
    1. “이 수술만 기다려왔지만, 막상 수술이 다가오니 불안하네요.”라고 표현함

    객관적 자료
    1. 콜벨을 많이 누르는 모습을 보임
    2.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이 관찰됨
    3. 불안 척도(Beck) 25점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