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iso9001

  • 05-342-Q, FMEA 작성 및 관리규정(자동차산업,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부칙 및 부표

    본문내용

    1. 적용범위
    본 규정은 당사에서 제품 및 공정의 잠재적 고장형태 (FMEA) 를 작성, 협의, 승인 및 유지관리 방법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당사의 설계단계에서 잠재적 고장 형태와 이에 연관된 원인/메커니즘이 고려되고 지정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제조 및 조립 요구사항에 대한 초기설계에 도움을 주며, 위험감소 조치의 추진과 추적을 위한 문제 제기와 고객불만, 설계변경을 평가하고 향상된 설계를 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설계 FMEA (Design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제품설계시 잠재적 고장유형 및 영향을 분석하여 고장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문서를 말한다.
    3.2 공정 FMEA (Process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제조공정설계 시 잠재적 고장유형 및 영향을 분석하여 고장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문서를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05-341-Q, 박판성형 해석지침(자동차산업,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업무절차
    5.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본 지침은 당사 에서 설계, 생산하는 신규 아이템의 개발 또는 개선을 위하여 개발 검토 단계에서 PRESS 가공 공정의 성형 가능성 판단 및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성형해석업무에 대한 지침을 마련한다.

    2. 목적
    본 지침은 당사에서 개발하는 제품의 성형성에 대하여 사전 또는 사후 검증 업무를 체계화함으로써 제품과 공정 설계에 효율성을 증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박판성형해석
    박판의 재료를 성형하는 일련의 공정을 컴퓨터와 상용화된 software 등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제품의 성형성을 예측, 평가하는 활동을 말한다.

    3.2 아이템 구분
    1) A급 PART
    고객사 사급 아이템으로 대형 주물 금형을 사용하는 PART를 말한다.
    2) B급 PART
    자체 제작 아이템으로 주물 금형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PART를 말한다.
    3) C급 PART
    자체 제작 아이템으로 STEEL 금형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PART를 말한다.

    3.3 성형해석 관련 TOOL
    1) AutoForm
    박판성형해석을 위한 상용화된 software로써, 초기공법 검토 및 전 PART의 성형 경향 파악에 사용하게 될 박판성형해석 프로그램을 말한다.
    2) PAM-STAMP
    박판성형해석을 위한 상용화된 software로써, A·B급 PART 및 Deep Drawing PART, 성형난이 PART의 성형 경향 파악에 사용하게 될 박판성형해석 프로그램을 말한다.
    3) HyperMesh
    PAM-SATMP에서 성형해석을 시행하기 위한 유한요소 작성 작업을 수행하는 software를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05-340-Q, 검사업무 규정(자동차산업,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본문내용

    1.적용범위
    이 규정은 당사의 제품생산에 사용되는 모든 자재 및 제품의 검사업무에 대하여 적용한다.

    2.목적
    당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자재와 반제품 또는 요구된 품질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제품이 고객의 요구된 품질을 만족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3.용어의 정의
    3.1 수입 검사
    제품생산에 필요한 자재의 구매 시 자재의 품질 적합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말한다.

    3.2 자주 검사
    작업자가 생산공정 중 입고품, 반제품, 완성품의 품질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한 검사를 말한다.

    3.3최종 검사
    생산 완료된 제품 LOT가 고객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검사로서 초/중/종품 검사 및 완성품검사를 말한다.

    3.4출하 검사
    완성된 제품의 출하 전 부품식별표 부착, 사양관리, 제품/PLT 오염상태 및 제품 외관상태를 점검하여 양품을 고객에게 인도하기 위한 검사를 말한다.

    4. 책임과 권한
    4.1 품질관리팀장
    1) 입고품의 수입검사와 공정/완성품의 자주검사 및 출하검사 유/무를 확인할 책임
    2) 검사상태가 적합한 제품만이 출하, 사용될 수 있도록 관리할 책임
    3) 사내 입고품의 품질보증에 대한 책임
    4) 검사업무와 관련된 기준서, 한도견본을 변경 관리 및 승인
    5) 검사 표준의 확정 및 검사 기록의 승인

    4.3 관련 팀장
    1) 검사 결과품의 처리
    2) 부적합품 식별관리 및 개선조치의 책임

    5. 업무절차
    5.1 일반 관리
    5.1.1 계수치에 대한 합격 판정기준
    1) 계수치에 대한 합격기준은 무결점으로 한다.
    2) 신차품질 담당자는 개발단계에서 C/F 및 I/F PLANNING에 근거하여 검사기준서를 작성하여 관련부문에 통보한다.

    5.1.2 입고품 품질
    1) 입고품 품질에 대하여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입검사를 해야 한다.
    (1) 통계적 데이터의 접수 및 평가

    출처 : 해피캠퍼스

  • 05-339-Q, 생산업무 규정(자동차산업,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이 규정은 당사의 모든 생산 공정에 적용한다.

    2. 목적
    제품생산 각 공정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합리적으로 조치할 수 있게 하여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관리하여 보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중요공정
    제품이 출하되어 고객으로부터 품질 불만이 예상되는 공정으로 제품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공정을 말한다.

    3.2 일반공정
    고객의 품질불만이 예상되지 않거나 특성에 미미한 영향만 주는 공정을 말한다.

    3.3 초도품
    고객이 요구하는 데로 설계되고 또한 제품이 만들어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양산 이전의 시점 생산으로 문제점 발췌 및 보완을 위한 행위를 말한다.

    3.4 공정설계
    제조공정도, 관리계획서, 설비계획을 근거로 Line을 구성하고 설비를 배치하는 계획을 말한다.

    3.5 공정
    원/부자재 투입에서 완성제품을 제작하는 전 과정을 말한다.

    3.6 4M
    생산 공정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를 마하며 대표적으로 다음으로 구성된다.
    – MAN(사람), MACHINE(장비/설비), METHOD(방법), MATERIAL(재료)

    3.7 공정 변경 통보서
    생산 공정의 4M 변동사항에 따른 정보들을 기록하여 고객 및 관련부서에 통보하는 양식을 말한다

    4. 책임과 권한
    4.1 공장장
    1) 중요 생산, 공정, 품질 업무에 대한 승인
    2) 공정관리 전반에 대한 승인 및 통제

    4.2 개발팀장
    1) 제품사양 접수, 검토 및 품질기준 설정
    2) 초도품 생산 주관 및 양산이관 회의 주관
    3) 고객이 요구한 특별특성 제공 및 관리방법 설정
    4)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방법 설정

    4.3 생산팀장
    1) 공정관리 및 개선
    2) 작업표준서 및 초/중/종품 검사표준 작성 및 시행
    3) 공정(4M) 변경 통보 및 조치

    4.4 공정기술팀장
    1) 공정이상 발생 통보 및 조치
    2) 설비 일상점검 및 조치
    3) 예방보전 계획 수립 및 실시
    4) 양산 설비 및 조립 치공구 보전 및 정도 유지

    출처 : 해피캠퍼스

  • 05-338-Q, 실러도포 관리지침(자동차산업)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본 지침은 당사에서 사용하는 실러 및 실러 장치에 관한 점검 절차 및 관리방법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실러 도포 관리를 통한 품질 확보 및 예방관리 체제를 수립하여 고객의 품질 요구 수준을 만족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당사 및 당사 거래 외주 협력사에서 생산되어 입고되는 제품의 개선 또는 신제품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3. 용어의 정의
    실러(Sealer): 실러(Sealer)란 란 차체에 도포 및 충전하여 방음, 방청, 방진, 수밀 역할을 하며 강성 보강 효과가 있다.
    1) BPR 실러(BODY PANEL REINFORCEMENT)
    DR, HOOD, S/OTR, T/LID, T/GATE, ROOF 등의 외관 강도 취약부에 적용되어 국부적인 차체 외판 보강 및 강판 떨림 감소에 사용된다.
    2) 마스틱 실러(Mastic Sealer)
    HOOD, T/LID, DR 등의 외판과 보강판 사이에 접착되는 형태로 비교적 갭이 불규칙한 부위에 적용되며 균일한 충진의 접착, 제진의 효과로 사용된다.
    3) 헤밍 실러(HEM`G Sealer)
    DR, HOOD, T/LID 등의 헤밍 플랜지 내부에 적용되며 접합부의 녹 방지(방청) 및 차체공정의 용접 삭제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05-337-Q, 용접조건 관리지침(자동차산업)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본 지침은 양산 전∙후 공정 및 완제품과 출하제품 등 전체 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본 지침은 생산 제품에 대한 용접 품질 관리를 위해 용접조건을 설정하고 유지, 관리하여 고객의 요구 품질을 만족시키는데 있다.

    3. 용어의 정의
    차체 부품의 용접은 일반적으로 SPOT 용접(저항용접)을 말하며 용접을 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용접전류, 통전시간(용접시간), 가압력을 기본으로 하고 기타 초기가압시간, 유지시간, 권선비 등을 설정하여 TIMER에 입력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4. 책임과 권한
    4.1 생산팀장
    1) 공정 및 완제품의 주기적인 용접 품질확인을 실시하여 용접 품질을 확보할 책임이 있다.
    2) 생산기술팀에서 설정된 용접 조건으로 양산 후 품질 안정을 위해 주기적인 확인 및 이력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4.2 품질팀장
    양산 전 용접기준서에 의한 용접 품질 확보를 위해 용접 조건 설정을 요구하고 품질 확인을 실시하며 양산 후 생산품의 용접 품질에 대해 주기적인 검사를 실시 할 책임이 있다.
    4.3 생산기술팀장
    양산 전 용접 품질 확보를 위해 최적의 용접 조건을 설정하고 결과를 보전에 인계하여 양산 후 주기적인 용접 조건 관리가 되도록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05-336-Q, 신차부품 품질확보 시스템 운영지침(자동차산업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이 규정은 당상의 전 공장, 전 계열사에서 조립되는 신차종에 관련하여 전부문에 적용한다.

    2. 목적
    본 표준은 당사에서 개발하는 신차종의 양산이행을 위해 개발시작 단계에서부터 단품 및 완성품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로 품질확보회의를 운영하여 고객 요구품질을 조기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품질 평가
    제품의 품질수준을 검사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으로 평가 항목별 점수를 부여하고 단품 및 END ASSEMBLY(납품단위)의 전체적 품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1) 부품 치수정도(I/F 및 C/F SETT’G 기준)
    치수 정도 및 관련 부위간의 정렬상태의 정도를 평가하고 검사기준서에 의거하여 합격률을 평가한다: 총 측정 포인트 중 규격 내 만족하는 합격 포인트의 백분율로 합격률을 산정한다.
    2) 부품 치수 정도 산포
    각 해당 부위 치수의 데이터 일치화의 정도(산포량)를 평가하고 합격률을 산출한다. 동일한 측정부위의 시료수별 DATA 차이가 0.5 이상/이하의 여부평가
    예) 1번 POINT X₁시료수의 산포 DATA: 0.0이고, X₂ 시료수의 산포DATA: 0.6인 경우, 제품별 산포량이 0.6으로서, 기준의 0.5 이상이므로 NG로 판정함.
    3) 용접품질
    완성품 용접부에 대한 용접강도(분리, 누락, 위치, 너겟경, 피치, 정렬상태)와 용접외관 (압흔, 변형, 스패터, 탐 등)을 평가하여 총 용접 타점수중 규격 내 만족하는 합격 포인트의 비율로 평가한다.
    – 협력사 SUB ASS’Y 부품과 당사 생산라인 MIP 용접을 구분하여 평가하고 종합한다.
    – 완성품 용접 전파괴는 각 단계 해당부서(P단계: 신차품질팀, M단계 이후: 양산공장 품질관리팀)에서 실시한다.
    – 대표사양 제품 1대를 용접 전파괴 실시하여 평가한다. 파이롯트 단계에서 동일사양 생산 시 1대로 평가할 수 있고, 추가확인 필요 시에는 추가할 수 있다.
    – 용접불량 유형별 점수산출 기준은 [첨부-1]에 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05-335-Q, 통계적기법적용지침(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이 규정은 당상의 생산공정을 평가,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에 대해 적용한다.

    2. 목적
    공정분석을 통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고 지속적 개선을 통하여 공정의 산포를 줄이고 최종적으로 고객만족을 시킴에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변동
    공정의 자재, 설비, 작업자 및 작업방법 등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품질 특성의 흩어짐 정도를 말하며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이 있다.

    3.2 우연 원인
    공정이 안정된 상태로 흘러가고 있으나 불가피한 원인에 의하여 나타나는 변동

    3.3 이상 원인
    공정의 어떤 특정한 변화에 의해서 예측할 수 없이 불안정하게 나타나는 변동의 원인으로 반드시 그 원인을 규명하여 제거해야 한다.

    3.4 관리 상태
    변동의 원인은 우연 원인뿐이며 관리도에 타점된 점이 관리한계 이내에 들어있어 공정이 안정된 상태이며 이러한 공정에서는 변동이나 불량 등을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다.

    3.5 관리도
    공정이 관리 상태에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또는 공정을 관리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평균을 중심으로 그 상하에 3배의 표준 편차법을 적용한 관리 한계선을 그려 넣고 실제 측정값을 타점함으로써 서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그림이다.

    3.6 초기 공정능력 (PRELIMINARY PROCESS CAPABILITY: Ppk)
    공정이 관리 상태에 있을 때 우연 원인에 의한 변동의 통계량이며 비교적 단기간에 평가되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05-334-Q, BSC 평가지침(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업무절차
    5.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이 지침은 당사에 근무하는 사무관리직 전사원에게 적용된다.
    단. 임시직, 촉탁직, 수습기간 중인 자는 제외하며, 소정의 평가기준 중에 있어 휴직 중인 자 및 근무기간이 6개월 미만 자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할 수 있다(교육기간 3개월 포함).

    2. 목적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근무태도, 능력, 업적 등을 검토, 평가하여 승진, 임금 및 보상 등의 처우 개선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객관적이고 공정한 보상으로 능력주의 인사제도를 구현하여 조직 구성원과 회사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BSC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BSC)는 과거의 성과에 대한 재무적인 측정지표에 추가하여 미래성과를 창출하는 동안에 대한 측정지표인 고객, 공급자, 종업원, 프로세스 및 혁신에 대한 지표를 통하여 미래가치를 창출하도록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4. BSC평가절차
    4.1 평가시기와 평가절차
    BSC평기시기는 다음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 05-333-Q, 지속적 개선 업무규정(표준)

    목차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관리

    본문내용

    1. 적용범위
    이 규정은 당사의 품질, 서비스, 생산성, 가격 및 업무활동 부문의 지속적인 개선활동에 대한 절차 및 방법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전 직원의 지속적 개선에의 참여를 통하여 품질, 서비스, 생산성 등의 업무향상을 통한 기업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해당 없음.

    4. 책임과 권한
    4.1 대표이사
    전사적인 개선활동에 대한 승인

    4.2 공장장
    전부서의 개선 활동 결과를 확인 검토 후 시정 지시 및 관리 감독

    4.3 품질관리팀 팀장
    1) 전부서의 지속적인 개선업무의 결과 취합 및 집계
    2) 개선활동 결과 경영층에게 보고, 지시사항 F/UP 및 시정요구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