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l-tube

  • 상부위장관 출혈, L-tube_성인2 시뮬 사전과제

    목차

    I. 상부위장관 출혈
    1.1 정의
    1.1 원인
    1.1 병태생리
    1.2 증상
    1.3 진단검사
    1.2 치료와 간호
    1.4 생리적 보상반응

    II. L-tube
    1.1 삽입
    1.1 위세척
    1.1 위치 확인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상부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한다. 간경변증이나 식 도정맥류, 궤양 등이 원인이 되어 점막이 파열되어 피가 나오는 내출혈 등이 많다.

    1. 원인
    상부위장관 출혈의 원인 중에는 소화성 궤양이 50% 정도로 가장 많다. 그 밖에 식도정 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미란성 위염 등의 급성 위점막 병변, 위암 등이 있다.
    1) 약물: corticosteroids, NSAIDs, salicylates(aspirin)
    1) 식도: 식도정맥류, 식도염, Mallory-Weiss 식도열상
    1) 위와 십이지장: 위암, 출혈성 위염, 소화성궤양질환, 용종, 스트레스 관련 점막질환
    2) 전신질환: 혈액질환(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신부전
    *위와 식도의 연결지점에서 점막내 상처로 인한 출혈로 대개 알코올의존증이나 폭식증으 로 인한 구토로 발생한다.

    원인
    비율
    소화성 궤양
    35-50%
    정맥류
    5-12%
    Mallory-Weiss tear
    2-5%
    각종 염증
    20-30%

    1. 병태생리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벽 내층을 이루는 점막층에 괴사가 일어난다. 점막 하층과 근층 에 괴사가 일어나고, 간경화증으로 간을 통과하는 혈관의 압력이 높아진다. 그러면서 위와 식도 주변의 혈관을 따라 혈액이 우회하게 되고, 위와 식도 주변의 혈관이 늘어나면서 정 맥류가 형성된다. 이 정맥류가 터지게 되면서 출혈을 일으킨다. 작은 혀로 간의 미란은 빈 혈과 대변 잠혈반응을 나타내고, 큰 혈관의 미란은 선홍색의 토혈이나 커피 찌꺼기 같은 음식물이 섞인 토혈과 혈변을 초래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